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수학 일반
· ISBN : 9788984328877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4-12-29
목차
1. 단위가 뭐예요
2. 단위는 왜 생겼을까
3. 단위의 시작
4. 아라비아 숫자와 십진법
5. 동양의 단위
6. 우리나라의 단위
7. 나라를 다스리는 신물인 금척, 암행어사의 유척
8. 서양의 단위
9. 오늘날의 국제단위계(SI), SI의 기본단위
10. 국제단위계의 올바른 사용법(숫자, 접두어 및 단위)
11. 국제단위계의 산실 국제도량형국(BIPM)
12. 국제단위계를 사용하는 법정계량단위
13. 쓰지 말아야 할 비법정계량단위(평, 돈, 리)
14. 길이를 재면서 가는 자 벌레, 미터(m, 길이단위)
15. 측정 표준의 소급성
16. 마라톤의 42.195 km 거리의 유래, 자주 틀리는 km 표기법
17. 정동진의 모래시계로 시간만 잰다. 시각은 잴 수 없다. 초(s, 시간단위)
18. 표준시(시각)와 그리니치 천문대
19. 사이좋게 피자 나누기, 각도
20.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동물은? 킬로그램(kg, 질량단위)
21. 만유인력과 힘, 뉴턴(N, 무게, 힘의 단위)
22. 토리첼리의 진공, 파스칼(Pa, 압력 및 진공단위)
23. 참새는 왜 감전되지 않을까? 암페어 (A, 전류단위)
24. 지구도 자석이라는데, 얼마나 센 자석일까? 테슬라 (T, 자기장의 단위)
25. 삼중점이 뭐예요? 켈빈 (K, 온도단위)
26. 습도가 높으면 싸우기 쉽다? 습도의 단위 (% R.H.)
27. 아빠 공부방이 너무 어두워요! 칸델라 (cd, 광도의 단위)
28. 몰! 몰! 물질량이 뭐예요? 몰 (mol, 물질량의 단위)
29. 소리는 데시벨(dB)로 듣는다! 데시벨 (dB, 음압의 단위)
30. 헌혈은 아무나 하나 밀도와 비중, 혈액밀도로 빈혈을 안다.
31. 아인슈타인의 E = mc2, 줄(J) 및 칼로리(cal), 에너지의 단위 아인슈타인의 건망증 이야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유럽뿐만 아니라 중국 등 전통이 있는 여러 나라에서는 고유의 단위체계를 사용해 왔습니다. 우리나라도 단군조선 때부터 약 4000년 동안 ‘결부속파법(結負束巴法)’이라는 우리 고유의 단위체계를 사용해 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많은 제도가 중국과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만 생각하지만, 한줌(1巴), 한뭇(1束), 한짐(1負), 한멱(1結) 등 10진법으로 면적단위를 정한 ‘멱짐뭇줌법’은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우리 고유의 전통 단위입니다.
이밖에 고대 농경사회인들 사이에서 발전된 우리의 독자적인 실용단위인 ‘섬’,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부피단위인 ‘되’, 중국 당나라로부터 유입된 무게단위인 ‘근·냥·전’ 등의 단위들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다 1902년 광무 6년 10월에 ‘대한제국 도량형규칙’이 제정되었고, 이 규칙은 1905년 ‘대한제국 법률 제1호’로 제정되었습니다.
이때 면적단위인 한줌(1巴)은 1 m²로, 한뭇(1束)은 10 m², 1짐(1負)은 100 m²(=1 a(아르))로, 한멱(1結)은 10,000 m² 즉, 1 ha(헥타아르)로 정하였습니다. 현재 전 세계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10진법 단위인 미터 단위와 일치하는 우수한 단위체계를 갖춘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고유의 훌륭한 단위체계가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전국토를 ‘평’단위로 측량하면서 현재의 ‘평’단위가 도입되어 사용되었고, 일본 진주양식업자들이 사용하던 ‘돈’도 이 당시 유입되어 아직까지도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