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84332768
· 쪽수 : 467쪽
· 출판일 : 2004-12-06
목차
머리말
제1부 고려 처용가의 전승과정 연구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2. 연구의 전제와 방향
고려 처용가의 형성과정
1.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조'의 함축과 전승
2. 고려 처용가의 형성 및 전승과정 추적
3. <악학궤범>에의 정착과정
<악학궤범> 이후 처용가무의 후대적 수용
1. "합설"의 지속과 연희적 기능의 부각
2. 노랫말의 소멸과 연회악으로의 성립
3. 지방문화와 민속놀이로의 잔존
전승과정을 통해 본 고려 처용과의 미학적 특질
1. 개방적 무가로서의 문학적 측면
2. 가무의 복합체로서 종합예술적 측면
3. 제의성과 연회성의 공존으로 본 연행적 측면
결론
제2부 각론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으로 본 헌화가
1. 문제의 제기
2. '수로부인'조 설화문맥의 검토와 기존연구의 문제점
3. 세 남성성의 정체와 의미
4. 여성성 부각의 심층 - 미의 화신 수로부인
5. 결론: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으로 본 헌화가
연행상황으로 살펴본 연등회의 문학사적 의의
1. 서론
2. 고려 불교의 복합적 성격과 연등회
3. 연행상황으로서의 연등회
4. 결론
<동문선>소재 치어`구호를 통해본 고려시대 정재의 연행양상
1. 서론
2. <동문선>소재 작품의 개관
3. 치어`구호`구합곡`염어 등의 개념 및 의미의 변천
4. 정재의 연행방식과 치어`구호의 성격
5. 치어`구호의 사적 의의와 국문가요와의 관계
6. 결론
처용 탈의 변모 양상에 관한 통시적 고찰
1. 서론
2. 처용전승에서 탈이 차지하는 역할과 의미
3. 처용 탈의 시대적 기능과 변모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