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88984338791
· 쪽수 : 345쪽
· 출판일 : 2013-03-27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알아줌’이 중요한 이유
그간의 연구 동향
연구의 전제와 방향
제1장 지인의 유래와 지인담의 개념
1. 지인(知人)의 유래와 개념 변화
2. 지인담의 범주와 여성 지인담의 개념
제2장 여성 지인담의 전개 양상
1. 자료 개관과 해당 유화(類話) 선정
2. 여성 지인담의 계열과 그 특징
(1) 기생 계열의 여성 지인담의 특징
(2) 부요녀 계열의 여성 지인담의 특징
3. 여성 지인담에 나타난 지감의 실체와 그 변이
(1) 관상에 근거한 지감(知鑑)-기생 계열
(2) 학식에 근거한 지감-부요녀 계열 여항인
(3) 추리에 근거한 지감-부요녀 계열 천민
제3장 여성 지인담의 대표 작품 분석과 소설적 변용
1. '일타홍' 유화의 변이 양상
(1) 연구사 및 자료개관
(2) '천예록' 계열의 전승과 특징
(3) '동패낙송' 계열의 전승과 특징
(4) 기타 계열의 전승과 특징
2. '이기축 처' 유화의 변이 양상
(1) 자료 및 내용단락 개관
(2) ‘주막집 딸’-선견지명을 지닌 여인
(3) ‘촌여자’-관상술을 지닌 여인
(4) ‘퇴기의 딸’-추리력을 가진 여인
3. '백연전'에서의 소설적 변용
(1) 서지와 작품 내용상의 특징
(2) 여성 지인담의 서사구조와 그 의미
(3) 여성 지인담 '고유 처'와의 비교
(4) 소설적 변용의 특징
4. '옥단춘전'에서의 소설적 변용
(1) 연구사 검토
(2) '옥단츈니 상긔봉'의 이본적 특징과 여성 지인담적 성격
(3) 소설적 변용의 특징
제4장 지인담의 시대적 변이와 문학사적 의의
1. 여성지인 이야기의 서사문학사적 전통
2. 여성 지인담의 시대적 변이
3. 문학사적 의의
나오는 말
[보론]
구비 지인설화의 양상과 의미
1. 머리말
2. 구비 지인설화의 자료양상
3. 남성지인 이야기의 내용과 의미
4. 여성지인 이야기의 내용과 의미
5. 변이형 지인이야기의 내용과 의미
6. 야담과 구비설화의 지인 서사의 비교
7.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