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기타질병
· ISBN : 978898445376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0-01-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신종 인플루엔자 A(H1N1)란 무엇인가?
제2장 대유행병이란 무엇이며, 과거 대유행병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제3장 H1N1 독감의 증산은 무엇인가?
제4장 신종 플루 증상의 치료
제5장 항바이러스제와 항생제의 역할
제6장 신종 플루 백신
제7장 신종 플루의 확산 방지
제8장 신종 플루, 얼마나 위험한가?
맺음말
자주 묻는 질문
신종 플루 치료거점병원
리뷰
책속에서
H1N1 독감의 오진
겨울철에는 신종 플루와 겨울철에 흔히 발생하는 그 외 바이러스 질환을 구분하는 것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기관지염(폐와 연결된 좁은 기도인 세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은 매년 겨울에 유아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유행병이다. 이 질환은 RSV(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라고 알려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것으로서 매년 수백 명의 어린이들, 특히 생후 1세 미만의 영아들이 이 질환으로 병원에 입원을 한다. 북반구에서는 11월과 2월 사이가 절정기이다. RSV에 감염된 아이들에게는 발열, 기침, 콧물, 가쁜 호흡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모두 신종 플루와 유사한 증상들이다. 이 경우 병원을 방문하면 코 뒤쪽에서 표본을 채취하여 당일에 바로 RSV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중략)…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는 RSV 치료제가 아닐 뿐만 아니라 RSV를 악화시키지도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아이에게 아무 이득 없이 불필요하게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가 투여될 경우, 약품의 비축량만 줄어들고 아이는 약물 부작용에 노출될 수 있다.
더 심각한 상황을 가정해 본다면, 한 아이가 독감 유사 증상을 보여 진료를 통해(직접 진찰을 받았거나 전화 상담을 통해) 신종 플루라는 진단을 받고 오셀타미비르(타미플루)를 처방받아 집에 머물러 있었는데, 실제로는 그것이 더 큰 중증 질환 초기 단계의 한 증상이었을 수도 있다. …(중략)… 필자가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해줄 수 있는 조언은 방심하지는 말고, 제시되는 어떠한 의견이라도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이미 아이에게 ‘신종 플루’라는 진단이 내려진 후에도 그러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