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정보관리
· ISBN : 9788984454880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1-12-19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논리표현력은 모든 업무의 기초!
이 책의 구성
|기초편|
제1장 메시지, 정확히 알자-문서 작성에서 기본이 되는 부분
메시지의 이해
메시지의 종류
기술 메시지
평가 메시지
규범 메시지
메시지 종류의 활용
테마
연습해 보기
제2장 메시지의 명료한 표현-주어, 접속어, 구체성이 포인트
명료한 표현의 3요소
주어의 중요성
자동사적 사고와 타동사적 사고의 적절한 사용
애매한 격조사는 배제한다
주어를 명시할 때 유의할 점
논리접속어
구체성 중시
패러그래프의 개념
연습해 보기
제3장 메시지 구성법-자유자재로 구사하고 싶은 사고표현 기술
피라미드 구조
메시지 디자인
메시지의 종류별 결론짓기(논증방법)
요약화
추상화의 기술
톱다운 방식
테마·피라미드 구조
MECE의 중요성
연습해 보기
|실천편|
제4장 문제해결 과정-스토리 전개의 기초
문제해결 5단계
① 문제를 발견한다
② 구체적인 과제를 설정한다
③ 과제에 대한 대체안을 마련한다
④ 대체안을 평가한다
⑤ 해결책을 실시한다
연습해 보기
제5장 스토리 전개-명료한 흐름이 이해를 촉진
스토리의 본질
S-C-Q-O-R
Situation(상황설정)
Complication(문제발견)
Question(과제설정)
Obstacle(장애 극복)과 Resolution(해결 정리)
문제유형별 O-R
제6장 포맷에 적용한다-리포트, 프레젠테이션의 전개
설계도 확인
리포트 형식에 적용
프레젠테이션 형식에 적용
제7장 설득력을 한층 더 높인다-실천을 위한 기술
메시지를 전달하는 순서
문제유형과 제안의 조화
리스크 처리법
대체안의 수와 제시 순서
규범 메시지의 설득력
묘사 메시지의 설득력
정답과 해설
책속에서
논리표현력에서 테마는 메시지와 같이 중요한 개념이다. 왜냐하면 테마를 메시지가 들어가는 그릇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그릇, 다시 말해 용기와 같이 테마는 그 안에 들어가는 메시지를 규정한다. 예컨대 마켓에서 파는 우유팩 안에는 대부분 우유가 들어 있으며, 가스 판매점에서 취급하는 LPG(액화석유가스) 통에는 LPG가 들어 있을 것이다. 물론 속이 비어 있거나 전혀 다른 물질이 들어 있을 수도 있다. 생수병에 휘발유가 들어 있거나 원유 탱크에 설탕이 저장되어 있거나 등. 이런 예외적인 이야기는 별도로 하고 일반적으로 용기는 그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메시지의 본질은 명료성이라 할 수 있다. 표현상의 명료성을 추구하면 저절로 이해하기 쉬운 메시지가 된다. 왜냐하면 명료한 메시지는 읽는 사람의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이다. 가령 독해력 테스트가 목적인 시험에서는 의도적으로 읽는 사람에게 부담을 줄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비즈니스 문서에서는 가능한 한 읽는 사람에게 부담을 주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 설명하는 명료성은 어디까지나 표현 자체에 대한 것으로서 메시지 내용의 난이도와는 별개의 것이다. 이 책에서 익힌 기술을 실천한다고 해서 아무리 어려운 내용이라도 명료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다만 내용 자체가 어려울 때는 적어도 표현상의 부담을 가능한 한 줄여주는 것이 상대의 이해를 돕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공감할 것이다.
논리표현력에서는 명료한 메시지의 기본을 ‘SP관계의 명료성’으로 본다.‘S’는‘주어subject’의 S, ‘P’는‘술어predicate’의 P이다. 잘 알고 있듯이 문장 속 주어란 행동을 관장하거나 특정 상태의 주체인 경우이다.‘지금 나는 원고를 쓰고 있다’의 주어는 ‘나’이다. 주어는 ‘쓰고 있다’는 동작이나 상태를 지배하는 주체이다. ‘쓰고 있다’는 술어이다. 술어는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쓰다’는 동작이며, ‘있다’는 상태이다. 나는‘쓰는’ 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다.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인 상세한 해설은 다른 서적에 위임하기로 하고 실천을 중시하는 이 책에서 주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 술어는 동작이나 상태, 이른바 문장의 내용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명료하게 표현하려면 주어를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