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환경학
· ISBN : 9788984648784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4-10-31
목차
제1장ㆍ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주요 연구 내용
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다. 연구 방법
제2장ㆍ환경재난 발생 추이 및 주요 특징
1. 환경재난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
가. 환경재난의 개념 정의
나. 환경재난의 범위 설정
2. 환경재난 발생 여건 변화 및 발생 추이
가. 환경재난 발생 여건의 변화
나. 최근 20년간 환경재난 발생 변화 추이
3. 최근 환경재난의 주요 특징 분석 및 유형화
가. 최근 환경재난의 주요 특징
나. 환경재난의 유형화
제3장ㆍ동북아 지역의 환경재난 실태
1. 동북아 국가별 환경재난 실태
가. 한국
나. 중국
다. 일본
라. 몽골
마. 북한
바. 러시아
2. 동북아 지역 차원의 환경재난 실태 분석
가. 동북아 환경재난 발생 현황
나. 동북아 지역 자원의 주요 환경재난
3.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의 주요 특징 분석 및 유형화
가.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주요 추이 및 특징
나.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특징에 따른 유형화
제4장ㆍ동북아 각국의 환경재난 대응 국내 정책 및 지역협력
1. 동북아 각국의 국내 환경재난 대응 정책 및 시스템 분석
가 .한국의 환경재난 대응 정책 및 시스템
나. 중국
다. 일본
2.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국가간 협력 현황 분석
가. 한ㆍ중ㆍ일 환경장관회의
나. 한ㆍ중ㆍ일 재난관리기관장회의
다. 한ㆍ중ㆍ일 원자력안전 최고규제자회의(TRM)
라. 지진재해 경감 및 화산재해 대응: 한ㆍ중ㆍ일 지진협력청장회의
마. 조류인플루엔자 공동 대응: 한ㆍ중ㆍ일 농업장관회담
바. 해양사고 대응 국가간 공동대응 시스템: NOWPAP MERRAC
3. 환경재난 대응 역내 협력의 성과 및 한계 분석
제5장ㆍ유럽 지역 환경재난 대응 협력 사례
1. 유럽 지역 환경재난 실태
가. 자연재난
나. 사회적 재난
2. 유럽 지역 환경재난 대응 현황
가. 재난 예방
나. 재난 대응
다. 재난 유형별 대응 체계
3. 유럽 지역 환경재난 협력 시사점 도출
제6장ㆍ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전략
1.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잠재적 위험 요인
가. 분야별 환경재난 위험 요인
나. 대기 분야 환경재난 위험성 및 영향 평가
2.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의 중요성 평가
가. 지역협력 중요성 평가 기준 및 평가 속성
나. 지역협력 중요성 평가
3.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우선 분야
4. 동부강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의 비전과 목표
가 .지역협력 추진 여건(SWOT) 분석
나. 지역협려그이 비전과 목표 및 기본 방향
5.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추진 전략과 주요 사업
가. 통합 위험관리 협력체계 구축 방안
나. 주요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강화 방안
다. 국내 협력대책의 개선 방향
제7장ㆍ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