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B. 파이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 대학 디자인 대학원 도시 계획 설계학과에서 부동산 개발학 최초의 Michael D. Spear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1986년 이후 남가주 대학 교수로 있다가 1998년 하버드 대학으로 옮겼다. 그는 남가주 대학에서 러스크센터(Lusk Center) 부동산 개발국장으로 일했으며 1986년에 자신이 설립한 프로그램인 Master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gram의 학술국장으로 일했다. 그 전에는 댈러스에 있는 남감리 대학(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콕스 경영 대학원 MBA 프로그램에서 부동산 및 지역 과학 조교수로 있었다.
파이저는 학문적 경력과 직업적 부동산 개발 경험을 모두 가지고 있다. 부동산 금융 전문가이자 계획가, 개발 사업가이기도 한 그는 공간 및 디자인 문제와 토지 개발의 경제학에도 관심을 보여왔다. 그는 텍사스 주와 캘리포니아 주에서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주택 건설과 아파트 건설, 그리고 대규모 토지 개발 및 관리에 참여했다. 그의 최근 개발 및 투자 활동은 중저소득층 아파트 개발과 산업용 상품 취득에 집중되어 있다.
그의 주요 연구는 시장과 제도적 사업 환경에 대한 부동산 디벨로퍼들의 대응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으로, 특히 도시 개발, 어포더블 하우징(affordable housing), 교외 확산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뉴타운 개발, 도심 성장, 개발 규제, 인프라 자금 조달, 부동산 금융 등의 주제에 관해 학술 저널과 전문 저널에 수많은 기사를 발표했다.
그는 Reducing Crime through Real Estate Development and Management(ULI, 1998)의 편집인이며, Strategies and Structure of Real Estate Development Firms:Lessons from Management Research(ULI, 1991), Special Districts:A Useful Technique for Financing Infrastructure(ULI, 1987), Financing Infrastructure to Support Community Growth(ULI, 1984)를 집필했다.
파이저는 예일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토지 경제학 박사 학위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받았다. 그는 ULI의 이사이자 평의원이며, Journal of Real Estate Portfolio Management의 공동 편집인이자 Elliot House 조교수이다. 또한 현재 American Realty Advisors와 Berkshire Income Realty, Inc의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앤 B. 프레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ULI 사무용 산업용 개발국장으로서 사무용, 산업용 개발 정책과 실무 분야의 조사, 교육, 프로그램을 책임지고 있다. 그녀는 최근에 비즈니스 파크 및 산업용 부동산 개발 핸드북의 프로젝트 매니저로 일했으며, 현재는 물류, 유통, 산업용 개발에 관한 두 권의 ULI 책의 배경 조사를 지휘하고 있다. 2000년에 ULI에 합류하기 전에 프레이는 Jones Lang Lasalle와 폴란드 바르샤바의 Arthur Anderson에서 부동산 컨설팅 서비스를 총괄했다. 이곳에서의 컨설팅 활동은 주로 기업들에게 입지 조언을 제공하고 중부 유럽에서 활동하는 현지 및 국제적 디벨로퍼들에게 시장 타당성 조사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녀는 1988년부터 1995년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부동산 시장 분석가로 일하면서 이 지역 호텔, 리조트, 쇼핑센터, 복합용도 개발의 타당성 조사와 개발 컨셉을 담당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의 Kaplan/Mc- Laughlin/Diaz Architects와 워싱턴 D.C.의 역사적 Historic American Engineering Record 및 기타 민간 계획 건축 회사에서 도시 계획가로도 일했다. 그녀는 조지 워싱턴 대학에서 도시 및 지역 개발 석사 학위를 받았고, 명예 토지 경제학회인 Lambda Alpha International의 회원이다.
펼치기
홍선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졸업 후 하버드 대학원(Graduate School of Design) 디자인 석사 그리고 동경대학 도시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큐빅디자인연구소에서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BHP코리아(현 세빌스)에서 부동산개발을 자문, ‘도시와사람’에서 부동산개발 실무를 수행했다.
현재 서울사이버대학교 건축공간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부설 ‘Center for Place Making’의 소장직을 맡아 우리 주변의 공간을 더 멋진 모습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각 작 품을 전문적으로 전시하는 모란미술관의 부관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체계적으로 접근한 부동산 개발론》, 《부동산 개발 총론》, 《부동산 디벨롭먼트》가 있고, 번역서로 《부동산 개발의 원칙(Real Estate Development principles and process)》과 《프로페셔널 부동산 개발(Professional Real Estate Development)》이 있다.
펼치기
박노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대구대학교 대학원 도시학과(부동산학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SK Telecom, 글로벌텍디벨롭먼트㈜, PNC건축사사무소, 도시통계표준연구소㈜ 등에서 근무하였다. 상암동 DMC내의 IBC빌딩 사업성분석, 동백 택지개발지구내 PUD사업성분석, 오피스빌딩의 리모델링 사업성 분석, 제주도 KJ리조트 개발 사업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삼일회계법인, 자산관리공사, 대한공인중개사협회, 용인시여성회관, 강남대 대학원, 대구대 사회교육원, 경희대 사회교육원 등에서 강사로 활동하였다. 현재 CCIM, CPM, Cips 정회원이며 ULI 학생회원이기도 하다. 또한 MAI associate 회원이기도 하였다. 공인중개사, 부동산컨설턴트, 부동산 경매사, 법률중개사이며 공인중개사 시험 출제위원을 역임하였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