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4712386
· 쪽수 : 243쪽
· 출판일 : 2010-02-22
책 소개
목차
서문
역자의 글
서론: 독특한 침례교인?
제1장 침례교인의 독특한 장르 정의하기
제2장 교리의 형성
제3장 독특한 새로운 전통
제4장 독특한 권위
제5장 독특한 교회론
제6장 독특한 의식
제7장 독특한 정치
제8장 독특한 능력
제9장 독특한 자유
결론: 독특한 침례교인
각주
참고도서
책속에서
제2장 교리의 형성
그리스도인의 체험
침례교에게 있어 성서의 권위는 첫 번째로 중요한 특징이었다. 20세기 초에 또 다른 구성 원리가 중요한 신학적인 특성으로 전개되었다. 멀린스는 그의 영향력 있는 책 「종교의 원리들」에서 그리스도인의 체험(즉, 영혼의 능력)이 침례교인의 특성들을 전개시키는 핵심 원리로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멀린스의 그리스도인의 체험이라는 이 새로운 개념은 침례교인의 특성을 다루고 있는 저서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전통을 가져다주었다. 결과는 침례교인의 특성에 대한 새로운 전통이 탄생했다.
그리스도인의 체험은 이제는 분명한 특징으로서 성서적 권위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성서의 권위라는 중요한 원리와 같이 그리스도인의 체험은 몇 가지 유형 속에서 발견된다. 영혼의 능력, 종교의 자유, 신자의 침례, 그리고 그리스도의 주되심이 그것이다.
제6장 독특한 의식
침례교는 전통적으로 두 가지 의식인 침례와 주의 만찬을 주장한다. 어떤 저서들은 종종 의식들을 교회론적 요소의 한 표현으로 논의한다. 경우에 따라서 침례와 주의 만찬이 하나의 장르 안에서 검토된다. 하지만 침례가 훨씬 더 주목을 받는다. 이것에 대한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대부분의 기독교 교단들의 경우, 어느 특정의 의식 혹은 성례전의 본성에 대한 신념들은 종종 또 다른 의식 혹은 성례전에 대해 갖는 신념들과 유사하다. 침례교는 침례에 대해 기념설을 주장하기 때문에 그들은 주의 만찬에 대해 기념설을 주장한다. 침례는 종종 대표적인 의식으로 간주된다. 둘째, 침례는 신자가 교회의 회원이 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의식으로 간주된다. 앞서 논의된 것처럼, 거듭난 신자의 교회 회원 자격에 대한 문제는 자연적으로 누가 진정으로 침례의식에 참여해야 하며 교회의 회원이 되는가의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제9장 독특한 자유
오늘날 대부분의 개신교 교단들은 이러저러한 형태의 신앙의 자유를 옹호한다. 그렇다고 항상 그래 왔던 것은 아니다. 몇 세기 동안 침례교는 신앙의 자유를 유일하게 그리고 최일선에서 옹호해 온 사람들이다. 침례교는 신앙의 자유를 항상 주장해 왔다. 그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예배와 하나님께 대한 봉사는 강제에 의하지 않고 자원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종교적인 활동들은 무가치하다.
침례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신앙의 자유는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강요 없이 자유롭게 추구할 혹은 추구하지 않을 각 개인의 권리이다. 다른 기독교 교단들로부터 침례교단을 구별시키는 신학적인 특징들은 그들로 하여금 타협하지 않고 자유로운 국가 안에서 자유로운 교회를 가질 권리를 주장하게 한다. 침례교인의 견해에 따르면, 그 어떠한 사람도 자원하여 그리스도를 주인으로 영접하지 않은 사람과 이러한 복종에 대한 개인적 고백의 의지적인 침례를 받지 않는 자에게 교회의 회원이 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자유롭게 표현된 신앙과 개인적으로 증언한 침례는 교회 회원이 되는 데 필요한 자격 조건이다. 이러한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생활에 대한 이해는 신앙의 자유라는 상황 속에서 가장 잘 실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