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84913257
· 쪽수 : 187쪽
· 출판일 : 2009-12-16
목차
Ⅰ. 서 장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1) 문헌연구
2) 결혼이주여성 심층면접조사
3) 전문가 면접 및 서면조사
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Ⅱ. 기존연구 검토 및 분석틀
1. 기존연구 검토
1) 결혼이주여성 실태 및 현황에 관한 연구
2) 이주민의 지역사회 참여 - 외국의 연구 동향
3) 한국의 이주와 지역사회 관련 연구 검토
2. 주요 개념 및 분석틀
1) 주요 개념의 정의
2) 분석틀
3. 소결
Ⅲ.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배경과 지역사회 참여
1. 면접 참여자 특성과 가족관계
1) 출신국가와 한국어 능력
2) 결혼과정과 가족관계
2. 이주 이전의 생애경험과 특징
1) 교육수준
2) 직장 및 사회경험
3. 지역사회 참여와 취업
4. 소결
Ⅳ. 지역사회 참여의 경로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1. 지역사회 참여의 경로
1) 배경
2) 지역사회 참여의 경로
3) 지역사회 활동 참여와 가족관계
2. 이주여성의 사회관계망
3. 공동체, 자조모임의 형성
1) 본국과의 연계, 초국적 공동체의 단초
2) 이주여성 자조모임
4. 소결 : 공동체, 사회관계망, 갈등
Ⅴ. 지역사회 내 이주민의 생활경험과 참여
1. 이웃·동네 주민과의 대면
1) 친밀한 이웃에서 마을 공동체 참여까지
2) 불편한 시선, 이웃과의 갈등
2. 자녀교육과 지역사회 참여
3. 지역사회 정책과 이주여성의 경험
1) 정책 서비스 수혜자로서의 경험
2) 지역사회 정책 참여의 경험
4. 소결
Ⅵ. 이주여성의 시민사회 참여
1. 이주여성의 시민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시민사회 활동 참여 동기 및 유형
1) 동기
2) 활동 내용 및 유형
3. 이주여성의 시민사회 참여와 다양한 경험
4. 소결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1) 심층면접 조사
2) 전문가 조사
2. 정책제언
1) 초기 적응단계 이후의 지역사회 참여 지원정책 체계화
2) 지역사회 네트워크, 협의체 구성
3) 정책결정과정에 이주민의 참여기회 확대
4) 이주민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브리지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5) 이주여성 역량강화 및 평생교육 체계화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설문지(심층면접)
부록 2 전문가 서면조사 설문지 및 답변 내용 요약
부록 3 호주의 정책사례 자료 - ‘Living in Harmony Project’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