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고] 젠더와 사회

[중고] 젠더와 사회

이남희, 김현미, 하정옥, 이나영, 황정미, 나임윤경, 김양선, 허민숙, 신경아, 엄기호, 김예란, 송다영, 마경희, 정현백, 김민정(金民晶, KIM, Minjung) (지은이), 한국여성연구소 (엮은이)
동녘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37% 2,500원
0원
1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고] 젠더와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고] 젠더와 사회 
· 분류 : 중고샵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U853320487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여성학과 페미니즘은 오직 여성만을 위한 것이다? 여성스럽거나 남성스러운 것은 타고난 것이다? 여성과 남성의 이름으로 만들어지는 상징, 정체성, 이데올로기, 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국내 연구자 15명이 한국적 상황에 맞게 풀어 쓴 젠더 연구서다.

목차

1부 성별화된 사회와 젠더 체계

[역사] 여성주의 역사와 젠더 개념의 등장 (이남희)

근대 사상과 페미니즘의 탄생/ 계몽주의에서 자유주의 여권론으로/ 사회주의 페미니즘의 등장에서 세계대전까지/ 새로운 페미니즘, 새로운 여성운동/ 여성해방운동의 이론가들/ 성해방과 여성해방
* 한눈에 보는 여성주의 운동사

[이론] 젠더와 사회구조 (김현미)

젠더의 의미/ 젠더 불평등/ 젠더 분석법/ 그녀의 역사/주변적 남성의 목소리 듣기/ 젠더 개념의 확장/ 젠더와 실천 운동

[문화] 인류학으로 젠더 읽기 (김민정)

문화와 섹스, 젠더/ 젠더 위계와 사회 위계/ 근대 사회의 변화와 성 정체성

[과학] ‘두개의 성’과 성차에 대한 과학적 신념 (하정옥)

생물학적 성차와 사회적 성차, 그리고 과학의 물신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세계관의 변화와 두 가지 성의 등장/ 생물학적 성차 연구의 역사적 사례/ 생물학적 성차 연구의 규칙과 맥락: 과학의 객관성 실천 양식과 사회문화적 배경

[섹슈얼리티] 성별화된 섹슈얼리티와 여성주의 성정치학 (이나영)

누가 누구와 사랑해야 하는가/ 섹슈얼리티란 무엇인가? : 생물학적 본능인가, 사회·문화적 구성물인가?/ 여성주의자들의 도전/ 성적 쾌락과 위험 사이에서: 성폭력과 성매매 생각해 보기/ 여성주의 성정치학의 지향점

[이주] 지구화 시대의 이주와 젠더 (황정미)

이주와 젠더/ 왜 여성들은 길을 떠나는가?/ 다양한 이주 과정과 새로운 성별 위계/ 한국 사회의 이주 현상과 젠더/ 지구화 시대의 젠더 문제: 전망과 과제

2부 젠더와 일상

[연애] 이성애 연애와 친밀성, 드라마처럼 안 되는 이유 (나임윤경)

‘작업의 정석’/ 지금 한국사회는 (이성애) 연애 중/ 대학생들의 연애/ 페미니즘과 ‘낯선’ 일상성

[몸] 신자유주의 시대 경쟁하는 몸 (김양선)

몸의 사회/ 한국사회의 몸 만들기 열풍/ 몸 만들기 열풍의 원인/ 몸자본, 몸의 계급화, 조형적 몸/ 몸 프로젝트의 문제점과 원인/ 몸 중심 사회에서 탈주와 저항은 가능한가

[가족] ‘가족들’ 안과 밖의 여성 그리고 남성 (허민숙·신경아)

“가족은 OOO이다.”/ 가족과 개인/ 가족이란 무엇인가?/ 작아지는 가족, 혼자 사는 사람들의 증가/ 변화하는 가족, 다양한 가족들/ 밀한 관계의 폭력을 해석하는 관점/ 가족에 대한 새로운 상상 시작하기

[노동] 불안정한 노동시장에서 살아남기? (신경아)

졸업 후 뭐하세요?/ 노동자, 그 이름이 낯선 이유/ 젠더와 노동시장/ 남성중심적 조직 문화와 성차별/ 성평등을 향한 실천

[남성성] 남성성의 위기와 한국의 남성문화 (엄기호)

위기의 남성과 남성문화/ 한국에서 남자로 산다는 것/ 한국의 남성문화와 남성동성사회/ 남성성과 능동성, 그리고 자유/ 남성성의 위기와 ‘루저’ 문화/ 젠더 질서의 위기와 새로운 남성성의 모색/ 새로운 남성성 출현을 기대하며

[미디어] 아이돌 공화국: 소녀 산업의 지구화와 소녀 육체의 상업화 (김예란)

소녀 육체의 상업화/ 걸 파워의 지구화/ 한국 소녀 산업의 부상/ 소녀의 재성애화: 모호성이라는 미화 전략/ 아이돌 공화국의 탄생과 롤리타 민족주의 부상/ 대안적 소녀 문화를 위해

3부 젠더를 넘어서 성평등으로

[복지] 돌봄은 누구의 책임인가 (송다영)

새로운 정책 이슈로서 돌봄 문제와 복지국가/ 복지국가, 돌봄, 젠더 레짐/ 국내 돌봄 정책의 전개와 한계/ 탈성별화·탈계층화된 돌봄 정책을 위하여

[정책] 여성주의, 국가, 성평등 (마경희)

여성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여성주의 성평등 비전과 의미 변화/ 한국 여성 정책의 변화와 현주소

[운동] 시민사회와 성평등운동 (정현백)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과 성평등운동의 시작/ 성평등운동의 여러 갈래/ 글로벌 시대 성평등운동과 ‘연대의 정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정현백 (감수)    정보 더보기
1953년 4월 9일 한국 부산 출생으로 여성가족부 장관(2017. 7 - 2018. 9)을 지냈고, 현재 성균관대 사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1984년 이래 성균 관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주로 독일노동사, 여성사분야 연구로 많은 저서를 출간하였다. 그 외에도 정현백은 열정적인 시민운동 활동가이다. 한 국여성운동의 우산조직인 한국여성단체연합의 공동대표를 역임하였고, 이어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의 공동대표로 활동하였다. 주로 여성문제 와 통일 평화운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노동운동과 노동자문화』(한길사, 1991), 『민족과 페미니즘』(당대, 2003), 『여성사 다시 쓰?』(당대, 2007), 『주거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주거개혁과 주거정치』(당대, 2015), 『연대하는 페미니즘』(동녁, 2021), 『The History of Korean Women』(공저, 한국학중앙연구 원, 2022)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황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사회학과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공저, 2014), 《국경을 넘는 아시아 여성들》(공저, 2009)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현대사회의 성 / 사랑 / 에로티시즘》(공역, 2001)가 있다.
펼치기
신경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서강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여성학, 여성노동, 가족 등이며, 노동과 돌봄, 일-삶 균형work-life balance, 여성의 노동시장 조건, 감정노동 등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한국여성학회장, 한국사회정책학회장 등을 지내며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 해소를 위한 이론과 정책 개발의 토대를 구축해왔고, 서울시 성평등임금격차개선위원장을 맡아 국내 최초 성평등임금공시제 시행을 이끌었다. 지은 책으로 《젠더와 사회》(공저), 《여성과 일》(공저), 《감정노동의 시대, 누구를 위한 감정노동인가》(공저),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공저) 등이 있으며, 〈저출산 대책의 쟁점과 딜레마〉, 〈노동의 불안정성과 젠더〉, 〈젠더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의 필요성과 딜레마〉, 〈시간선택제 여성노동자의 조직 내 주변화에 관한 연구〉,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 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김양선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일송자유교양대학에 재직 중이다.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과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경계에 선 여성문학』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젠더와 사회』(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수학했고 현재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진행되는 커뮤니케이션 문화와 사회 현상에 대해, 특히 주체의 윤리학과 감수성의 사회적 실천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친다. 저서 『말의 표정들』과 논문 「우리-사람: 생명들의 더불어 있음에 관해서」, 「죽음과 기억의 미디어 쟁투」를 비롯해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펼치기
송다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펜실베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여성복지정책, 가족정책, 여성의 사회적 권리 향상 등이다. 최근에는 여성복지 정책과 실천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가족 정책: 복지국가의 새로운 전망》(공저, 2011), 《새로 쓰는 여성복지론: 쟁점과 실천》(공저,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에서 나고 자랐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영국여성참정권운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성의 역사와 지금 여기에서의 삶에 관심이 많아서 자율적 여성모임과 강좌, 생활밀착형 여성 정책을 만들고 실행하는 일에 꾸준히 참여해 왔다. 《여성과 사회》 편집장, (사)여성문화예술기획 사무처장, 여성가족부 장관정책보좌관,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하자 운영위원, 유한회사 미디어일다 사원, (사)한국여성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성 / 사랑 / 사회》(공저, 2006), 《세계화 시대의 서양현대사》(공저, 2010), 《몸으로 역사를 읽다》(공저, 2011), 《나에게 품이란 무엇일까?》(공저,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이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학 박사로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포스트식민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을 고민하면서, 일본군성노예제, 미군 기지촌 ‘위안부’, 성매매, 여성운동과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제에 천착해 왔다. 논문으로는 “Un/forgettable histories of US camptown prostitution in South Korea : Women’s experiences of sexual labor and government policies”(2018),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2016)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여성주의 역사쓰기 : 구술사 연구방법》(공저, 2012),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2013), 《젠더와 사회》(공저, 2014), 《누가 여성을 죽이는가》(편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나영의 다른 책 >
나임윤경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커리어 초반 가졌던 성인 여성에 대한 관심을 추구하면서 결국 한국 성인 여성의 해방은 자녀, 특히 자녀의 대입을 위한 사교육과 뗄 수 없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 후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갖고 미래 세대인 그들이 좀 더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성장하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다. 고양시 청소년문화협동조합과 서울시 오디세이 학교를 현장으로 딛고, ‘교육’으로 세상이 나아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배워 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제적 주체로서의 여성만이 해방된 여성이라는 ‘젊은’ 시절의 사고가 많이 바뀌었다. 다른 사람들과의 협업, 연대, 보살핌, 그렇게 함으로써 사회적 존재로 자신을 구성하는 것이 진정한 해방일 수 있음을 ‘가정’ 주부이지만 가족 밖 세상을 향해 열려 있는 통 큰 그녀들에게서 배웠다. 앞으로도 계속 이 현장을 맴돌며 더 많이 배우고 성장하길 기대한다. 지은 책으로는 《여성교육의 이론과 실천》, 《여자의 탄생》, 공저로 참여한 《젠더와 사회》, 《엄마도 아프다》 등이 있다.
펼치기
나임윤경의 다른 책 >
엄기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에서 나고 자랐다. 초등학교 2학년 때 폭력적이고 부패한 교사를 만나 교육과 학교에 대한 문제의식에 눈떴다. 전교협 해직교사들의 편지글 모음인 《내가 두고 떠나온 아이들에게》를 중학교 때 읽으며 다른 교육의 가능성을 갈망하게 되었다. 사회학과에 진학하였지만 학부 시절에는 거의 공부를 하지 않고 가톨릭학생회 동아리 활동에 푹 빠져 있었다. 대학원 석사과정에 진학하고서야 공부를 시작하였지만 곧 국제단체에서 일하자는 제안을 받고 국제가톨릭학생운동 아시아․태평양 사무국에 나갔다. 당시 한창 달아오른 반세계화 현장에 참가하며 주로 대학생들의 사회의식을 고양하는 양성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을 했다. 그 후 한국으로 돌아와 하자센터에서 글로벌학교 팀장을 하고 늦은 공부를 마무리하기 위해 문화학과 박사과정에 들어가 신자유주의와 청년 하위문화를 주로 연구하였다. 돌아보면 늘 교육의 언저리에서 살아온 셈이다. 성장이 불가능한 시대의 페다고지를 만드는 것을 삶의 화두로 삼고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교육공동체 벗’에서 발간하는 《오늘의 교육》 편집위원을 맡았다. 2013년 박사학위를 마치고 덕성여대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로 일하고 있다.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2018), 《공부 공부》(2017), 《나는 세상을 리셋하고 싶습니다》(2016), 《단속사회》(2014),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2013),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2011),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2010), 《아무도 남을 돌보지 마라》(2009), 《닥쳐라, 세계화!》(2008)를 냈고, 이 외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공부 중독》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허민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여성학 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에서 연구 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Women’s Movement and the Politics of Fram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a Human Rights Frame in South Korea」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최근에는 「너 같은 피해자를 본 적이 없다」, 「성폭력 피해자를 처벌하다」 등 성폭력 무고를 연구하고 글을 썼다. 지은 책으로 《폭력의 얼굴들》(공저, 2013), 《젠더와 세계정치》(공저, 2013)가 있다.
펼치기
마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사회정책 체제의 젠더계층화 논리와 여성의 사회권〉으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8년부터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성 주류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2007), 〈맞벌이 부부 젠더체제 유형과 여성의 일-삶 경험의 차이〉(2008), 〈돌봄의 정치적 윤리: 돌봄과 정의의 이원론을 넘어〉(2010), 〈보편주의 복지국가와 돌봄〉(2011)가 있고, 공저로 《국가, 젠더, 예산: 성인지 예산 분석》(공저,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민정(金民晶, KIM, Minjung)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서강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공부하고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필리핀 농촌 마을의 모성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세계화와 여성 이주, 가족과 친족, 필리핀 지역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8년간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는 명예 교수의 위치에서 국제이주로 인해 젠더와 가족, 국가의 경계가 유지되면서도 교란되고 재규정되고 변화해나가는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글을 쓰고 있다.
펼치기
김민정(金民晶, KIM, Minjung)의 다른 책 >
한국여성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사단법인 한국여성연구소는 1989년 한국여성연구회로 출발해 가족, 노동, 문학, 여성사, 이론, 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학술 활동을 전개해 왔다. 《여성학강의》, 《새 여성학강의》, 《새 여성학강의-한국사회, 여성, 젠더》를 출간했고, 2001년부터는 전문학술지 《페미니즘 연구》를 내고 있다. 여성주의 이념과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지속하고 있다. www.kwsi.or.kr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