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84918566
· 쪽수 : 527쪽
· 출판일 : 2017-12-31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 필요성
나. 연구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
가. 공공장소에서의 위험과 여성안전
나. 젠더관점에서의 위험과 안전
다. 공공장소 안전정책
라. 성인지적관점에서의 여성안전교육
Ⅱ. 공공장소 안전인식 현황에 대한 언론보도 자료 분석: 공중화장실을 중심으로
1. 연구의 목적 및 분석방법
2. 분석내용
가. 공중화장실 안전과 관련된 기사 수 분석
나. 공중화장실 안전과 관련된 사건 분석
다. 공중화장실 안전과 관련된 대안 분석
3. 소결
Ⅲ.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
1. 조사개요
가. 조사목적
나. 조사방법
2. 생애주기별 공공장소 이용경험 및 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가. 생애주기별 공공장소 이용경험의 성별차이
나. 생애주기별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다. 생애주기별 남성과 여성의 공공장소 안전사고 경험률의 성별차이
라. 공공장소에서의 안전사고 재발방지 행동
3.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 조사 분석
가.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나.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 수강 의향
다.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 방법 선호도
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수강 의향이 없는 이유
4. 가구소득별 공공장소 이용경험 및 안전사고 위험도와 경험의 성별차이
가. 가구소득별 공공장소 이용경험의 성별차이
나. 가구소득별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다. 가구소득별 성별 공공장소 안전사고 경험
라. 가구소득별 안전사고 재발방지 행동의 성별차이
5. 자녀의 발달단계별 공공장소 이용경험 및 안전사고 위험도와 경험의 성별차이
가. 자녀의 발달단계별 공공장소 이용경험의 성별차이
나. 자녀의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다. 자녀의 발달단계별 성별 공공장소 안전사고 경험
라. 자녀의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재발방지 행동의 성별차이
6. 소결
Ⅳ. 일반여성의 안전경험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1.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FGI(Focused Group Interview) 개요
가.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FGI 목적
나. FGI 참여대상 및 내용
다. 조사일정 및 조사방법
2. 조사결과
가. 공공장소에서의 안전인식 및 안전사고 경험, 사고 이후 대처경험
나. 공공장소/다중이용시설에서의 안전교육 욕구
3. 소결
Ⅴ. 지역여성안전정책의 사례분석: 시민안전파수꾼
1. 시민안전파수꾼 소개 및 특성
가. 시민안전파수꾼 사업의 취지
나. 시민안전파수꾼의 현황 및 법적 근거
다. 시민안전파수꾼 모델: CERT
2. 시민안전파수꾼의 공식적 교육과정 분석
가. 시민안전파수꾼의 교육범위
나. 시민안전파수꾼의 교육과정별 교육내용
3. 참여관찰 결과: 시민안전파수꾼의 실질적 교육과정
가. 실제 교육과목 진행 현황
나. 교육과목 별 세부사항
다. 수강대상에 따른 강사진의 강의 역량
4. 소결
Ⅵ. 안전교육수요에 대한 전문가조사
1. 안전교육 이수자 및 주체 FGI 개요
가. 안전교육 이수자 및 강사 FGI 목적
나. FGI 참여대상 및 내용
다. 조사일정 및 조사방법
2. 안전교육 이수자 FGI 결과: 안전교육에 대한 여성의 니즈
가. 생애주기별 여성의 안전교육 니즈
나. 공공장소별 여성의 안전교육 니즈
3. 안전교육 주체 FGI 결과: 여성 안전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과 효능감
가. 여성 안전교육의 특징 및 문제점
나. 여성 안전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
4. 소결
Ⅶ. 결론
1.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강화를 위한 법적 개선사항
가. 공공장소의 안전에 대한 현행 법령의 분석
나. 공공장소의 여성안전 관련 법령의 쟁점
다. 공공장소에서의 범죄안전에 대한 인식
라. 안전조치 규정 등의 실효성 확보
2.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대안
가.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관련 법 개선방안
나. 공공장소 여성안전 정책 강화 방안
다.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공공장소 안전교육 강화 방안
ㆍ참고문헌
ㆍ부록
〈부록 1〉공공장소에서의 안전실태 조사 설문지
〈부록 2〉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부록 3〉가구소득별 분석 결과
〈부록 4〉자녀의 발달단계별 분석 결과
ㆍ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