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84946187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고구려 廣開土王의 백제 정벌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392~394년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광개토왕 즉위 무렵의 주변정세와 백제정벌
Ⅲ. 393~394년 북중국‧몽골 지역의 정세와 고구려‧백제의 공방
Ⅳ. 맺음말
제2장 고구려 廣開土王代의 稗麗 征討와 後燕과의 冊封이 가진 의미
Ⅰ. 머리말
Ⅱ. 고구려의 패려 정벌이 가진 의미
Ⅲ. 고구려와 후연의 책봉이 지닌 실제적 의미
Ⅳ. 맺음말
제3장 동아시아의 정치적 정세와 고구려의 동향-397년(廣開土王 6)~400년(廣開土王 9)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397년(광개토왕 6)~398년(광개토왕 7) 後燕‧百濟의 정세와 高句麗의 국력 비축
Ⅲ. 399년(광개토왕 8)~400년(광개토왕 9) 後燕의 약화와 고구려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확대
Ⅳ. 맺음말
제4장 401년(廣開土王 10)~404년(廣開土王 13) 동아시아의 정세와 고구려의 동향
Ⅰ. 머리말
Ⅱ. 401년(광개토왕 10)~402년(광개토왕 11) 北魏‧後秦의 격돌과 고구려의 동향
Ⅲ. 403년(광개토왕 12)~404년(광개토왕 13) 後燕 慕容熙의 失政과 고구려의 동향
Ⅳ. 맺음말
제5장 405년(廣開土王 14)~407년(廣開土王 16) 동아시아의 정세와 고구려의 동향
Ⅰ. 머리말
Ⅱ. 405년(광개토왕 14)~406년(광개토왕 15) 後燕의 契丹‧高句麗 공격과 고구려의 대처
Ⅲ. 407년(광개토왕 16) 후연의 멸망과 고구려의 백제 공략
Ⅳ. 맺음말
제6장 東晉의 北進과 고구려의 대응
Ⅰ. 머리말
Ⅱ. 南燕 慕容超 시기의 정치적 불안정과 고구려의 남연에 대한 千里人‧千里馬 공헌
Ⅲ. 高句麗 長壽王의 東晉에 대한 朝貢과 冊封
Ⅳ. 맺음말
보론1 백제 枕流王‧辰斯王代의 정국과 고구려의 동향
Ⅰ. 머리말
Ⅱ. 침류왕대의 주변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요동 장악
Ⅲ. 진사왕대의 정국과 고구려와의 공방
Ⅳ. 맺음말
보론2 신라 瑞鳳塚의 銀盒 연대와 그 築造時期에 대한 신 검토-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Ⅰ. 머리말
Ⅱ. 은합의 연대에 대한 견해와 분석-故國壤王 8年의 기사와 관련하여-
Ⅲ. 역사적 맥락에서 본 서봉총의 축조연대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