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84992788
· 쪽수 : 233쪽
· 출판일 : 2005-04-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머리말 2
제1장 21세기와 위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제2장 커뮤니티 구조와 미디어의 위험 보도
1. 지역사회의 구조가 뉴스기관에 미치는 영향
2. 권력 구조가 위험 기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3. 다양한 사례
4. 결론
제3장 미디어, 위험 평가 그리고 수치
1. 서언
2. 에일라의 경우
3. 다이옥신 논쟁
4. 공중인식과 위험 보도
제4장 정보채널과 공공장으로서 매스미디어
1. 기술관료적인 미디어 비판
2. 매스미디어의 위험커뮤니케이션 기능과 방식
3. 저널리스트적 목적인 갈등과 화해로서 매스미디어 보도
제5장 환경위험에 관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역할
: 산림고사, 체르노빌 그리고 광우병 파동의 예
1. 산림고사와 관련한 보도
2. 체르노빌 대재앙
3. 광우병 파동
제6장 매스미디어와 위험커뮤니케이션
1. 서론
2. 위험 개념의 정의
3. 위험커뮤니케이션
4. 위험 보도
5. 위험 보도의 수용과 영향
6. 결론
제7장 과학저널리즘과 독일의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
1. 미디어와 과학 : 포퓰러화, 계몽 그리고 과학기술에 대한 찬반 논쟁
2. 70년대 중반 이후 과학과 기술보도의 변화
3. 학문과 기술보도에 대한 비난
4. 맺는 말
제8장 저널리스트와 과학전문가의 상호 작용
: 두 전문가 문화 간 협력과 갈등
1. 서론
2. 다른 문화 간 충돌로서 전문가와 저널리스트의 상호작용
3.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문화 차이의 증거
4. 논의점
제9장 과학, 미디어 그리고 여론의 관점에서 본 위험
1. 들어가는 말 125
2. 위험에 대한 과학기술적 관점, 위험 평가
3. 위험에 관한 미디어의 관점, 위험저널리즘
4.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위험 인지 관점
5. 여러 개로 분산되는 위험 구성 : 정치적인 위험 규제의 결과
제10장 유전공학에 관한 신문과 텔레비전 보도가
수용자의 생각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제11장 위험커뮤니케이션에서 학술적 전문가의 역할
1. 도입
2. 학자와 전문가 사이의 차이점
3. 학자의 공적인 기능
4. 전문가의 역할
5. 불안전하고 사회적 가치와 혼재하는 전문성
6. 공적인 전문가의 자격
7. 요약과 결론
제12장 원자력 발전, 화학물질의 위험, 그리고 보도의 양
1. 보도의 양
2. 전국적인 뉴스 의제
3. 여론에 대한 신문과 텔레비전의 영향력
4. 결론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