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연출/연기/제작
· ISBN : 9788984995550
· 쪽수 : 553쪽
· 출판일 : 2009-04-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대한 찬사
제2판 서문
01_ 서문
다큐멘터리를 정의한다면
논픽션 영화나 비디오의 한 부류로서의 다큐멘터리
주관성
다큐멘터리에는 이야기가 있다
다큐멘터리의 이야기를 만드는 사람
이야기 만들기와 글쓰기
이 책에 대해
예상 독자
이 책의 구성과 방법론
끝으로 몇 마디 더
1부 이야기의 설계
02_ 이야기의 기본 요소
설정
서사 골격, 서사 열차
테마
극적 계기
줄거리와 인물
극적 긴장감이 있는 이야기
03_ 다큐멘터리 이야기 만들기
저작권
촬영하면서 이야기 ‘찾아내기’
뜻밖의 발견
이야기의 틀에 대한 평가
이야기의 틀 발전시키기
이야기의 결론에 맞춘 내용 구성
과거의 사건을 현재 시점의 이야기로 풀어가기
04_ 접근법
다큐멘터리인가 훈계인가?
기록보존 자료를 사용한 다큐멘터리
재연과 다큐드라마
과학 다큐멘터리
05_ 구조
이야기 구조의 구성 요소
3막의 극적 구조
다큐멘터리의 구조 만들기
06_ 시간의 처리
연대기적 이야기를 비연대기적으로 풀기
시간의 축소와 확대
긴 시간을 두고 제작하는 다큐멘터리
인터뷰 내용의 축소
07_ 사례연구
'다낭의 딸'
'머더볼'
'슈퍼 사이즈 미'
2부 작품 구상과 개요 쓰기
08_ 조사연구
조사연구는 언제 하는가?
전문가의 자문
전화를 통한 조사연구
사실 확인
지엽적 사실의 활용
통계와 기타 형식의 자료
사건 연대기의 작성
출판물과 인터넷 조사연구
기록보존 영상자료
조사연구의 종료와 다음 단계
09_ 등장인물의 선정
인물은 언제 선정할 것인가
누구를 선정할 것인가
진행자와 해설자
출연료의 지불
10_ 작품 구상 발표와 제안서 쓰기
작품 구상 발표
작품 제안서의 작성
작품 구상에 대한 지적재산권 보호
11_ 작품 요약, 개요 그리고 대본의 작성
요약
트리트먼트
촬영 트리트먼트
대본
트리트먼트 쓰기
요약, 트리트먼트, 대본의 예
3부 촬영과 편집
12_ 촬영
촬영팀의 구성
이야기를 염두에 두고 촬영하기
편집을 염두에 두고 촬영하기
시각 보조물의 제작
작품의 분위기와 스타일
자비로 촬영하기
인터뷰
13_ 편집
초벌판 만들기
초벌판에서 정밀판으로
정밀판에서 영상 고정까지
다큐멘터리 영화의 길이
문제점의 해결
고착 상태에 빠졌다
첫 번째 관객이 되어
14_ 해설 쓰기와 보이스 오버
관점
다양한 해설 양식
해설은 언제 쓰는가?
해설은 누가 쓰는가?
영상에 맞춰 해설 글쓰기
발음하기 좋은 해설 글
해설을 쓸 때 유의해야 할 점
15_ 이야기 구성의 점검
4부 다큐멘터리 제작자와의 대화
16_ 스티븐 애셔와 진 조던
17_ 빅토리아 브루스와 캐런 헤이스
18_ 릭 번스
19_ 존 엘스
20_ 니콜라스 프레이저
21_ 수전 프롬키
22_ 샘 폴러드
23_ 켄 레이빈
24_ 페르 사리
25_ 온예카치 왐부
5부 부록
문헌 출처와 정보
다큐멘터리 영화 목록
리뷰
책속에서
사람들은 다큐멘터리의 이야기를 사실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으며, 이 신뢰야말로 다큐멘터리 영화가 갖는 힘과 영향력의 근원이다. 만일 중요한 사건을 실제로 발생한 것과 다르게 표현하거나, 자기의 주장을 지지하는 사실만을 선택해 제시하거나, 혹은 “극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실을 적절하게 각색한다면, 그것은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객의 믿음을 배반하고, 다큐멘터리의 형식을 저버리는 것이며, 이와 함께 작품도 망가지게 된다. 이 말은 다큐멘터리 제작자가 어떤 문제에 대해 강한 주장을 하거나 혹은 입장을 견지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 아니다. 또 중립적인 자세를 취하는 작품을 창조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뜻하지도 않는다. 그것은 다만 그런 주장이나 중립적 주장을 내세울 때는 확실한 사실적 증거가 밑받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