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얼터너티브 시나리오

얼터너티브 시나리오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들은 요즘 어떻게 쓸까?)

켄 댄시거, 제프 러시 (지은이), 안병규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810원
26,190원 >
2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얼터너티브 시나리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얼터너티브 시나리오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들은 요즘 어떻게 쓸까?)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시나리오/시나리오작법
· ISBN : 9788984996625
· 쪽수 : 644쪽
· 출판일 : 2006-08-30

책 소개

시나리오 쓰기를 여타의 스토리텔링 형식과 연결시키면서 내러티브 구조, 장르의 활용과 거스르기, 등장인물과의 동일시, 시나리오 형식의 함의와 같은 이슈들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친다.

목차

1 규칙을 뛰어 넘어
전통적 관습들
구조 거스르기
인물의 대안들
대사의 대안들
분위기의 대안들
전경이야기와 배경이야기의 대안들
상승하는 액션 대안들
내러티브 전략 개발하기
결론

2 구조
복구적 3장 구조
활용하기 : 복구적 3장 구조
결론

3 복구적 3장 구조에 대한 비평
텍스처보다 중요한 이야기
톤의 일관성
결심의 공간
동기 이해하기
이원의 인물 심리
배경으로서의 역사
사건보다 중요한 동기
얼굴이 지워진 내레이터
결론

4 반-구조
전경에 배치되는 구조
다큐멘터리적 임의성
혼합 양식들
결론

5 내러티브와 반-내러티브: 두 스티븐의 사례
스티븐 스필버그와 스티븐 소더버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스티븐 스필버그: 인물에 대한 접근방식
스티븐 소더버그: 인물에 대한 접근방식
결론

6 장르 활용하기 1
장르와 관객
장르들
웨스턴
갱스터 영화
필름 누아르
스크루볼 코미디
멜로드라마
시추에이션 코미디
공포 영화
공상 과학 영화
전쟁 영화
어드벤처 영화
서사 영화
스포츠 영화
전기 영화
풍자 영화
결론

7 장르 활용하기 2: 멜로드라마와 스릴러
전통적 멜로드라마
전통적 멜로드라마의 사례: 디파 메타의 <땅>
전통적 스릴러
전통적 스릴러 사례: <요람을 흔드는 손>
변주들
스릴러-멜로드라마 혼종 사례: <서든 피어>
<로렌조 오일>
<인사이더>
멜로드라마의 최근 경향
스릴러의 최근 경향
다른 읽기, 다른 장르

8 장르 거스르기
모티프 바꾸기
장르의 혼합
상반된 장르 혼합의 사례 1: <추적의 밤>
상반된 장르 혼합의 사례 2: <울프>
유사 장르 혼합의 사례: <블레이드 러너>
악몽으로서의 경찰 이야기 사례: <도망자>
스크루볼 코미디의 사례: <섬씽 와일드>
성과 장르 혼합의 사례 1: <리틀 조의 발라드>
성과 장르 혼합의 사례 2: <크라잉 게임>
풍자 어드벤처 영화의 사례: <아리조나 유괴사건>
실패한 장르 혼합의 사례: <원초적 본능>
모티프 변화주기와 장르 혼합의 사례: <범죄와 비행>
결론

9 능동적.수동적 인물 특징의 재구성
수동적 주인공의 사례 1: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수동적 주인공의 사례 2: <아이다호>
촉매자인 주인공의 사례 1: <누가 이 비를 멈추랴>
촉매자로서의 주인공에 대한 사례 2: <싸일런트 저스티스>
관찰자인 주인공에 대한 사례 1: <인사이드 무브>
관찰자로서의 주인공에 대한 사례 2: <블랙 로브>
이방인으로서의 주인공에 관한 사례: <매혹의 소나타>
매개자인 주인공에 관한 사례: <꿈의 구장>
주인공 분리에 관한 사례: <미스틱 피자>
주인공을 보완하는 적대자에 관한 사례: <작은 여우들>
결론

10 등장인물 동일시의 한계 확장하기
카리스마의 사례: <추악한 사냥꾼>
카리스마와 비극적 결함의 사례: <분노의 주먹>
자기 폭로와 영웅주의의 사례: <맨츄리안 캔디데이트>
공감과 부정적 주인공에 대한 사례: <하얀 마스크>
부정적 주인공의 사례: <동조자>
모호한 주인공의 사례: <헤드 오버 힐즈>
동일시와 관음증에 관한 사례: <블루 벨벳>
관음증을 뛰어 넘는 사례 ― 감정이입의 발견: <성 빈센트 고아원의 소년들>
결론

11 주인공과 조연
드라마적 민주주의에 대한 사례: <러브 위드 더 프로퍼 스트레인저>
등장인물에 대한 플롯 우위의 사례: <사랑의 블랙홀>
주인공이 여럿인 사례: <미스틱 피자>
적대자인 주인공 사례: <행운의 반전>
균형의 사례: <누가 이 비를 멈추랴>
목격자로서의 주인공 사례: <풀 메탈 자켓>
내성적 주인공과 외향적 조연에 관한 사례: <파리 텍사스>
역할 전도에 관한 사례: <섬씽 와일드>
결론

12 서브텍스트, 액션, 그리고 등장인물
전경이야기 우위의 사례: <뮤직 박스>
전경이야기의 전복에 관한 사례: <호미사이드>
배경이야기가 우위를 차지하게 되는 사례: <사랑과 슬픔의 맨하탄 Q & A>
배경이야기를 중요하게 다루는 작가의 사례: <사랑의 행로>와 <악몽>
배경이야기 우위의 사례: <문스트럭>
‘그 순간’과 서브텍스트
‘그 순간’에 관한 사례: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
결론

13 액션보다 인물 우위: 비미국적 시나리오
전통적 스토리텔링의 사례: 에밀 쿠스트리차의 <집시의 시간>
아이러니컬한 구조의 사례: <베로니카의 이중생활>
전경-배경이야기 변주에 관한 사례: <사랑과 영혼>와 <유령과의 사랑>
주인공의 지위에 관한 사례: <늑대와 춤을>, <블랙 로브>, 그리고 <우르가>
장르 혼합에 관한 사례: <쉰들러 리스트>와 <유로파 유로파>
결론

14 시나리오 형식의 미묘함과 함의
쇼트와 장면
촬영대본과 시나리오
시나리오 형식의 기본적 요소들
장면 시퀀스와 화면전환
언어
누가 보고 있는가?
드라마틱한 액션
비트를 위한 지문쓰기
시나리오 형식에 대한 대안들
결론

15 인물, 역사, 그리고 정치
형식에 대한 사례: <캠페인 매니저>와 <후보자>
인물, 역사, 그리고 정치
메우기, 리드미컬한 분절, 그리고 개인화
결론

16 톤: 아이러니의 불가피성
인물
대사
분위기
내러티브 구조
아이러니컬한 터치
3장 구조
결론

17 드라마적 보이스와 내러티브 보이스
보이스와 구조
결론

18 디지털 영화
상호텍스트성 대 형식주의
혼합 매체
혼합매체: 인물의 표현인가 매체 비평인가?
동시에 보이는 4분할된 프레임
디지털 영화에서의 보이스
결론

19 내러티브 보이스로 쓰기
도입
발전
결말
결론

20 다시 쓰기
제안의 수용
실습 과제들
결론

21 현대 문학의 각색
성공적인 각색
내러티브 보이스
도덕적 모호성의 감소
결론

22 개인적인 시나리오 쓰기: 경계에서
여러분 자신의 이야기
구조에 대한 접근방법
인물에 대한 접근방법
인물 대 플롯
인물의 유형들
유혹과 시나리오 쓰기
어떻게 시나리오를 여러분의 것으로 만들 것인가
시나리오 쓰기와 여타의 예술들
시나리오 작가와 시장

23 개인적인 시나리오 쓰기: 경계를 넘어서
자기 자신 보기
<필> 과 <몰리는 순례자>
<죽느냐 사느냐>
<딸이 되는 절차>
<가족 모임>
<나이스 컬러 걸즈>
요약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 소개
옮긴이 소개

저자소개

켄 댄시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대학교 예술대학의 영화과 교수로 영화제작과 시나리오 작법, 편집 기법 등과 관련한 많은 저서를 집필했다. 대표적인 저서로 Writing the Short Film, Alternative Scriptwriting: Successfully Breaking the Rules, The Director’s Idea: The Path to Great Directing 등이 있다. 시나리오 작법과 관련해 미국과 유럽,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국제적인 포럼과 워크숍을 주관하고 있다.
펼치기
제프 러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라델피아 템플 대학교(Temple University)의 영화학과 교수이며 커뮤니케이션 대학의 부학장이다. 아메리칸 필름 인스티튜트(American Film Institute)와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에서 시나리오 작법과 관련해 MFA학위를 받았으며, 프리랜서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면서 시나리오 작법과 관련해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2006년 현재 템플 대학교에서 시나리오 작법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안병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 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EBS에 근무했다. 미국 University of North Texas에서 다큐멘터리 이론과 제작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Temple University에서 제작석사(MFA)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인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원래는 다큐멘터리가 전공이나 최근에는 뉴스에도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저서에는 <방송학 입문>(2010, 2014), 역서에는 <중요한 뉴스 - 텔레비전과 여론>(2015), <얼터너티브 시나리오>(2006), <권력의 투사법>(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