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연출/연기/제작
· ISBN : 978898499990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8-09-19
목차
역자 서문
감사의 글
머리말
일러두기
1 프로덕션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인의 간략한 역사적 개관 │프로덕션디자인은…
2 각본의 시각화
삼위일체 │스크린을 위한 글쓰기 │디자인을 고려한 시나리오 쓰기 │내러티브 도구로서의 프로덕션디자인 │삼위일체의 특성과 상호작용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주의할 점 │정보│각본 분류 │세트드레싱 │소품 │특수효과 │영화의 모습 찾기 │시각화 기술의 향상을 위한 연습
3 디자인 은유
프로덕션디자인의 심리적인 성향 │프로덕션디자인의 분위기 │내러티브를 시각적인 방식으로 해석하기 │등장인물의 시각적 해석 │영화의 이야기 전개를 위한 배경 설정 │시각화 연습
4 연구
디자인 자료 │그림 │사진 │잡지 │문학 │비디오 │구술기록 │인터넷 │허가와 승인 │간접광고│조사를 위한 가이드라인
5 미술부
디자인팀 │아트디렉터 │세트디자이너 │세트장식가 │리드맨 │스윙갱 │헤어와 메이크업 │건축 코디네이터 │건축팀 │소품담당자 │로케이션스카우트 │로케이션매니저 │그린맨 │바이어 │배경화가 │의상디자이너 │제작도해가 │도안가 │세트드레서 │미술부에 대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책임 │프리프로덕션 초기 단계에서 미술부의 역할 이해하기
6 프리프로덕션
개념 스케치 │승인 │스토리보드 │제도 │실전 연습 │제도를 위한 준비물과 표준 │계획 │로케이션스카우팅 │소품부 조직하기 │제작 준비의 마지막 단계│최종기한 │촬영 계획에 앞서가기 │커버세트 │프리프로덕션의 충고사항
7 색채
컬러 팔레트 │색의 본질에 대한 간단한 레슨 │색 이론 │흑백영화제작 │색 보정 │색감 발전시키기 │색의 발견
8 질감
목재 노화시키기 │석재 노화시키기 │프로덕션디자인에서 오래된 효과의 역할과 목적 │질감 배우기
9 건축
프로덕션디자인을 통한 숏 디자인과 연속적인 스토리텔링의 발전 │영화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디자인 미학의 발전 │영화의 시각화에 충격을 준 모더니스트 디자인학파 │프로덕션디자이너로서 건축가 │건축 │공간의 사용 │포스트모던 영화디자인 │건축에 대한 더 많은 연구
10 시대영화
시대 │시대와 장소
11 장르
연구 │장르는 스토리텔링이다 │장르 연습
12 예산과 스케줄
예산수립 │프로덕션디자인 예산의 수립 │스케줄 │예산 수립에 대한 조언
13 스튜디오 작업
스튜디오 촬영의 장점 │안전절차 │그리드 │미술부의 도구와 작업장 │플랫 │자재와 사용 │도장 │3차원적 중량을 지지하는 구조물 │세트 고정하기 │플랫에 장식물을 고정하는 방법 │오프닝 │사이클로라마 │천장 │바닥과 지면 공간 │스튜디오에 세트를 세우는 절차 │스튜디오에서의 카메라 연출 │리허설 │세트 철거하기 │보관 │세트의 운송 │스튜디오 작업에 익숙해지기
14 로케이션 작업
로케이션 섭외 │로케이션 개조 │한 로케이션에서 다른 지역 촬영하기 │로케이션과 스튜디오 작업을 조화시키기 │모두 조화되게 하기 │로케이션 작업에 대한 조언
15 저예산 제작
프로덕션디자인의 예산 낮추기
16 게릴라 영화제작
17 디지털 프로덕션디자인
CAD 이전의 효과들 │CAD 프로덕션디자인 │가상 프로덕션디자인 │현대 영화제작에서의 CGI │CGI 기술과 프로덕션디자인의 성공적인 결합 │컴퓨터 애니메이션 │디지털 영화제작의 미래
18 프로덕션디자이너를 찾는 방법
부록 A / 프로덕션디자인의 심화학습을 위한 주요 영화 100편
부록 B / 용어 해설
부록 C / 참고문헌
부록 D / 심화학습을 위한 도구
마치는 글
책속에서
프로덕션디자인은 시각예술이자 영화적 줄거리를 만드는 기술이다. 영화의 모습과 스타일은 감독, 촬영감독,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상상력, 예술적 재능 그리고 협동으로 창조된다. 프로덕션디자이너는 각본과 감독의 영화에 대한 비전을 이해해야 하며, 더 나아가 배우가 특성을 발전시키고 스토리를 연기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속으로 그것을 옮길 책임이 있다.
- 1장 ‘프로덕션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는 미술부서의 장이다. 프로덕션디자이너는 물리적인 환경, 세트, 로케이션에 책임이 있고 의상디자이너, 헤어 디자이너,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작업을 감독한다. 또한 영화를 위한 세트, 로케이션, 주변 환경의 선택, 창조, 건축에 책임이 있고 세트디자인이나 예산안을 프로듀서에게 제출해야 한다.
- 2장 ‘각본의 시각화’ 중에서
이 책을 쓰는 목적은 필름메이커들에게 영화를 위한 프로덕션디자인의 미술과 기술을 알려주고, 실용적이고 기술적이며 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 책은 영화의 프로덕션디자인을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왜 하는지’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