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열하일기 답사기

열하일기 답사기

안동립, 강계두, 강명자, 궁인창, 김희곤, 안옥선, 엄수정, 윤광일, 이윤선, 이효웅, 조평규, 최성미 (지은이)
동아지도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050원
32,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열하일기 답사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하일기 답사기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중국여행 > 중국여행 에세이
· ISBN : 9788985433778
· 쪽수 : 140쪽
· 출판일 : 2025-07-17

책 소개

245년 전, 연암 박지원은 4천 리 사행길을 걸으며 그 기록을 《열하일기》에 남겼다. 우리 답사단 24명은 연암의 발자취를 따라 그가 걸었던 길을 직접 걷고 느끼며, 각자의 시선으로 담아낸 생생한 원고를 한 권에 담았다.

목차

열린 세상으로 가는 길 4~5
시대를 넘어선 울림 6~7
차례·판소리 8~9
사철가·호남가 10~11
연암 박지원의 가계(家系) 12~13
열하일기를 따라서 배우는 길 위의 인문학 역사 답사 14~15
창덕궁 돈화문, 열하일기 출발 재현 16
지하철로 떠나는 역사 답사 17~18
열린 세상으로 가는 대장정 답사기 19~66
열하에서 온 편지·남도 인문학 팁 67~71
수양산 백이·숙제와 고사리 72~81
열하일기를 따라서 82~88
열하 4천리를 다녀와서… 89~91
시간여행을 통해 본 박지원 92~96
연암이 꿈꾸었던 실학정신, 여전히 미완 상태 계속되고 있다! 97~103
열하(熱河)를 가다 104~122
중국 승덕 뉴스에 소개된‘고조선유적답사회’123
연암 박지원의 길을 따라 2,300km 124~129
답사 일정표 130~131
고조선유적답사회 연혁 132~133
답사단 명부·역사 답사 지도 134~135
답사 화보 136~137
판권, 참고문헌 138

저자소개

조평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통영에서 출생하였다. 통영에서 통영동중학교(현 동원중학교)를 졸업하였으며, 고졸검정고시를 거쳐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였고, 중국장강상학원(CKGSB) EMBA,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MBA) 및 일반대학원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 졸업 후 한국상업은행(현 우리은행)에 근무하다가 중국 베이징으로 건너가 25여 년간 중국에서 사업을 하였다. 중국연달그룹(부총재, 부회장, 수석부회장)을 역임하고 귀국하였다. 현재는 ㈜인팩 사외이사, ㈜동원개발 고문으로 있다. 중국에서 재중한국인회 부회장과 수석부회장으로 봉사하였다. 서울국제학교재단 감사, 아시아발전재단 이사, 대구시 경제특보, 서울종합과학대학원 초빙교수, 단국대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한국인으로는 드물게 중국의 정재계에 고급 인맥을 가진 중국전문가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고액기부자 모임 ‘아너소사이어티’ 회원이다. 저서로는 《중국을 뒤흔든 한국인의 상술》, 《중국에 가서 네꿈을 펼쳐라》 등 다수의 저서를 출판하였다. 〈한국경제〉와 〈아주경제〉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방송출연으로는 KBS1 〈글로벌 성공시대 - 조평규 편〉, 아리랑TV 〈Heart to Heart〉 등에 출연한 바 있다.
펼치기
강명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임실 출생 2003년 계간 '시선사' 시 등단 2005년 '차라리 바위가 되고 싶은' 시집 '시선사' 2006년 '문학미디어' 수필 등단 2003년 동서커피문학상 수상 2007년 박경리 토지문학상 수상 전북 문인협회 회원 신문학 회원 전북 가톨릭 문우회원 문학미디어 회원 시선사 회원 현대시 회원 임실문학 회원 외 다수 전 임실다문화가정 한글강사 현 전북도민일보 도민기자, 임실신문 기자, 임실문화관광 해설사, 성수산 문화유적 발굴단 회원
펼치기
안동립 (지은이)    정보 더보기
Donglip An, 1957, 동아지도 대표, 경북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출생, 부천시 거주 후포중학교, 동도공고, 대구미래대학 졸업,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특급기술자, 고조선유적답사회 회장, (사)한국영토학회 이사, 간도학회 이사, 한국지도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도 제작자이며 독도 연구가, 고조선유적답사회를 이끌며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잃어버린 우리 역사의 현장을 찾아 다니며 그 발자취를 따라 기록하고 있습니다. 독도사랑상(동북아역사재단), 대통령 표창(국가기록원), 문무대왕 해양대상(경상북도)을 수상하였습니다.
펼치기
강계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윤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국립목포대학교 HK교수, 전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 이사장, 문화재전문위원
펼치기
김희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행정학 박사, 시인, 소설가, 수필가
펼치기
안옥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무주군 문화관광해설사
펼치기
엄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리꾼, 요가강사, 양장사
펼치기
윤광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화순소방서
펼치기
이효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동해연구소, 해양탐험가, 해양사진가
펼치기
최성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임실문화원장
펼치기

책속에서



‘고조선유적답사회’가 주관한 답사는 18세기 조선이 마주했던 세계를 현대의 언어로 다시 읽어내려는 집단적인 인문학 실천이었습니다. 인천을 시작으로 단동, 심양, 북경을 거쳐 열하에 이르는 2,300km의 여정은 단순히 공간을 이동한 것이 아니라, 시대와 문명의 간극을 넘나드는 깊이 있는 사유의 발걸음이었습니다.

이 책은 한 사람의 기록이 아닌, 12명의 필자가 각자의 관점과 목소리로 써 내려간 다층적인 구성이 특징입니다. 연암의 글처럼 날카롭고 풍부한 관찰이 살아있고, 때로는 정서적이고 해학적이며, 철학적인 성찰까지 담겨 있어 '길 위의 인문학'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다양성과 깊이를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 또, '닫힌 세계'와 '열린 세계' 사이에서 고뇌하던 한 지식인의 실천적 철학이자, 조선이라는 고립된 공간을 넘어서려 했던 지적 탐험의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연암의 여정을 되짚는 것을 넘어, 그의 사상을 오늘날의 맥락 속에서 더욱 깊고 넓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연암을 아끼는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감동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는 열린 사유의 첫걸음이 되는 선물이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 글쓴이들은 언젠가 낯선 독자들과 함께 이 길을 다시 걸을 날을 꿈꿉니다. 그 길 위에서 연암이 그러했듯이, 기쁜 마음으로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