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당뇨병
· ISBN : 9788986077018
· 쪽수 : 186쪽
· 출판일 : 2013-09-10
목차
I장. 당뇨병 교육 총론: 당뇨병 교육이란 무엇인가
1. 당뇨병 교육의 역사
2. 당뇨병 교육의 개념과 목표
3. 당뇨병 교육의 필요성
4. 당뇨병 교육의 대상
5. 당뇨병 교육의 방법
6. 당뇨병 교육의 평가
7. 당뇨병 교육을 위한 기구?조직의 역할
8. 당뇨환자 모임체의 필요성 및 국내 현황
II장. 당뇨병 교육자, 피교육자의 역할
1. 환자 자신의 중요성(조직의 한 부분으로서)
2. 가족의 역할
3. 당뇨병 교육 간호사의 역할
4. 약사의 역할
5. 당뇨병 영양사의 역할
6. 당뇨병 사회복지사의 역할
7. 당뇨병 교육자의 자세와 소통 능력
III장. 당뇨병 환자 교육의 단계와 내용
1. 환자 교육
2. 당뇨병 환자 교육의 3단계
3. 개별적 자가 관리 교육
IV장. 당뇨병 환자 교육의 방법
1. 교육의 형태에 따른 당뇨병 교육방법
2. 시청각 교재의 선택과 사용
3.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당뇨병 교육
V장. 팀어프로우치 당뇨병 교육
1. 교육팀의 정의와 필수요소
2. 팀어프로우치 당뇨병 교육
3. 팀구성원들의 역할과 문제점
4. 팀어프로우치 실시 시의 고려사항
5. 단계적 팀어프로우치에 의한 환자 교육
VI장. 당뇨병 관리요법에 대한 교육
1. 당뇨병 진단 교육
2. 식사요법 교육
3. 운동요법 교육
4. 경구혈당개선제요법 교육
5. 인슐린요법 교육
6. 인슐린주입기 사용 환자 교육
7. 자가측정(Self Monitoring) 교육
VII장. 당뇨병 합병증에 대한 교육
1. 저혈당증 교육
2. 만성합병증 교육
3. 당뇨병 발(足) 관리교육
VIII장. 특정 그룹에 대한 당뇨병 교육
1. 소아당뇨병 환자 보호자 교육
2. 당뇨병 산모
3. 노인 당뇨병 환자 교육
4. 문맹자?저학력자 당뇨병 교육
IX장. 당뇨캠프(Diabetes Camp)
1. 당뇨캠프의 필요성
2. 당뇨캠프의 의의
3. 당뇨캠프의 목적
4. 당뇨캠프 스태프의 구성과 역할
5. 당뇨캠프에서 교육
X장. 여행가는 당뇨병 환자 교육
1. 출발 전
2. 여행을 하면서
3. 돌아와서
XI장. 환자 교육에서 어려운 점
XII장. 당뇨병 교육의 평가
XIII장. 당뇨병 속설을 바로잡기 위한 교육
1. 당뇨병에는 과연 보리밥인가?
2. 당뇨병에는 날콩이 좋다?
3. 당뇨병에 알칼리식품?
4. 당뇨병과 식이섬유
XIV장. 당뇨병 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
1. 당뇨병 교육의 과거
2. 당뇨병 교육의 현재
3. 당뇨병 교육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