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86509700
· 쪽수 : 287쪽
· 출판일 : 2006-01-23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 독도를 일본은 왜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가?
2. 독도는 울릉도에서 과연 육안으로 보이는가?
3. 독도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언제일까?
4. 고대의 자료에는 독도가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5. 고려시대 자료에는 독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6. 조선시대 자료에는 독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7. 독도에서 '공도정책'이란 용어는 왜 없애야 하는가?
8. 조선시대 독도를 찾아 나선 사람은 누구인가?
9. 안용복은 일본을 왜 찾아갔나?
10. 조선 후기 울릉도 수토정책은 어떻게 세워졌나?
11. 조선 왕조 정부가 이규원을 울릉도 검찰사로 파견한 까닭은?
12. 울릉도 개척의 실제와 이주민 실태는 어떠했는가?
13.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의 독도 영토주권은 무엇인가?
14. 일본은 왜 다케시마의 날을 2월 22일로 정했던가?
15. 일본의 강제 편입 이후 독도는 과연 시마네현에서 관할하였던가?
16. SCAPIN 제 667호와 샌프란시스코 조약은 독도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
17. 한일회담 때 독도에 관한 어떤 밀담이 오고갔는가?
18. 독도의용수비대는 어떻게 조직되고 활약했던가?
19. 독도의용수비대원 서기종씨는 어떻게 살아왔는가?
20. 독도는 한국 어민의 생활사에 왜 중요한가?
21. 한국 어민들은 독도를 맨처음 어떻게 찾아갔었나?
22. 독도에서만 일컫는 재미있는 바람의 이름은?
23. 독도의 해저 어장을 어민들은 어떻게 알았는가?
24. 독도에서 살았던 한국인들은 누구인가?
25. 독도어장의 고기잡이는 어떻게 이루어졌나?
26. 옛 지도에서 우산국과 독도는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른바 조선초기에 공도정책이 실시되었다는 논자들은 육지 백성 가운데 불법적으로 섬에 들어간 사람들을 다시 육지로 쇄환하는 자료들을 갖고 '공도정책'이 시행되었다는 자료로 잘못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독도의 경우 지금은 물론 조선시대에도 사람이 살 수 없는 무인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공도정책 때문에 사람이 살지 않았다는 인식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 본문 73~7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