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8671395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0-06-15
목차
1. 수퍼맨이 되어야 하는 현장 관리활동
Contents
현장관리자 능력개발 가이드북
제 1 주 현장의 환경변화와 기업목적
1.1 기업목적과 이념
1.1.1 기업목적과 가치창조
1.1.2 개인목표와 조직목표의 합치
1.1.3 기업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목표
1.1.4 현장관리자의 능력
제 2 주 현장관리자의 역할과 기본적 사고방식
2.1 현장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방식
2.1.1 현장관리에 대한 기본원칙
2.1.2 현장관리자의 임무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세
2.2 현장관리자의 기본적 역할과 임무
2.2.1 현장관리자의 입장과 역할
2.2.2 현장관리자의 역할
2.2.3 현장관리자의 기본적 역할
2.2.4 현장관리자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
제 3 주 현장관리의 직무수행내용과 과정
3.1 현장관리자의 직무수행내용과 임무
3.1.1 작업관리
3.1.2 물건관리
3.1.3 작업개선
3.1.4 조직관리
3.1.5 노무관리
3.2 현장관리자의 직무수행 과정
3.2.1 현장관리자의 하루일과
3.3 현장관리자의 현장관리활동
3.3.1 생산계획 : 생산활동의 방향을 설정한다
3.3.2 작업 및 품질개선 : 생산활동의 수집을 향상한다.
3.3.3 품질보증 : 생산활동의 수준을 확보한다.
3.4 현장관리자의 기능과 특질
3.4.1 현장관리자가 갖는 기능
3.4.2 현장관리자의 자세
3.4.3 현장관리자에게 요구되는 기대
3.4.4 현장관리자로서의 역할의식
제 4 주 현장의 조직활성화
4.1 현장조직의 활성화
4.1.1 현장 중심의 경영
4.1.2 현장의 활성화 방향
4.1.3 현장 활성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4.2 조직의 활성화
2. 현장에의 관리활동과 부서 조직원의 지도 육성
Contents
현장관리자 능력개발 가이드북
제 1 주 현장관리활동의 절차
1.1 일의 진행 관리
1.1.1 현장관리의 의의
1.1.2 효과적으로 일을 진행하는 방법
1.1.3 계획의 수립
1.1.4 지시 ? 명령
1.1.5 일의 체크 확인
1.1.6 조정
제 2 주 현장문제의 해결과 개선
2.1 일하는 방법의 개선
2.1.1 현장관리자와 개선활동
2.1.2 문제의 해결방안
2.2 제안활성화
2.2.1 제안활성화의 의의
2.2.2 제안활성화의 목적과 중요성
2.2.3 제안활동의 2가지 장해요소
2.3 제안의 단계별 프로세스
2.3.1 제안의 ABC
2.4 창조성 개발에의 어프로치
2.4.1 창조성이란 무엇인가?
2.4.2 창조성을 높이는 요소
2.4.3 창조성 개발방법
제 3 주 일할 의욕고취와 동기부여
3.1 의욕의 부여와 OJT
3.1.1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
3.1.2 성과, 능력, 의욕의 관계
3.2 자극의 수용방법과 인간행동
3.2.1 사람에 따라 관심의 대상은 달라진다.
3.2.2 의욕은 누구에게나 있다.
3.2.3 구성원의 의욕을 이끌어내는 것은 리더의 역할
제 4 주 부서 조직원의 지도 육성
4.1 지도육성
4.1.1 지도육성의 의미
4.1.2 구성원의 지도?육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
4.2 현장관리자와 OJT
4.2.1 OJT의 기본개념
4.2.2 기업내교육에서 OJT의 중요성
4.2.3 신입사원은 올바로 스타트 시켜야 된다
4.2.4 신입사원을 맞이하는 방법(체크리스트)
4.2.5 회사에서 행하는 일상지도 활동
4.3 OJT의 실천
4.3.1 현장지도의 조건
4.3.2 OJT 실천상의 문제점
4.3.3 OJT 실천 기회와 방법
4.3.4 현장 지도의 순서와 내용
4.4 효과있는 지도육성의 방법
4.4.1 효과적인 지도란
4.4.1 직접지도와 간접지도
4.4.1 단계적인 지도
4.4.1 작업의 효과적인 지도방법
3. 인간관계와 리더십의 개발
Contents
현장관리자 능력개발 가이드북
제 1 주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1.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와 기능
1,1,1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중요성
1,1,2 바람직한 의사소통의 장애요소
1,1,3 커뮤니케이션의 장해 극복
1.2 조직커뮤니케이션과 경청의 기술
1.2.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1,2,2 경청의 기술
1.3 설득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1.3.1 알기쉬운 커뮤니케이션
1.3.2 설득의 의의와 기술
1.3.3 설득력을 높이는 기술
1.3.4 어려운 조건하에서 설득을 할 때
1.4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요인
1.4.1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인들
1.4.2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제 2 주 고충처리와 카운슬링
2.1 고충처리의 의의와 자세
2.1.1 고충처리란 무엇인가?
2.1.2 고충의 종류 및 내용
2.1.3 부하의 불평불만 해결을 위한 조건
2.2 상담(카운슬링)의 활용
2.2.1 상담이란 무엇인가?
2.2.2 상담면접의 주요 방법
2.2.3 현장관리자와 고충의뢰자와의 관계 수립
제 3 주 현장관리에의 리더십
3.1 리더십의 의의
3.1.1 변화의 시대에 있어 리더십이란
3.1.2 리더십을 좌우하는 세가지 요인
3.1.3 영향력의 여러 가지 요인
3.2 리더십의 견해와 활동
3.2.1 X.Y 이론
3.2.2 리더의 유형
3.2.3 상황대응 리더십
3.2.4 효과적인 리더십유형
3.3 현장관리자의 역할과 이상적인 유형
3.3.1 조직이 지향하는 세가지 기능
3.3.2 현장관리자의 다섯 가지 유형
3.3.3 다섯 가지 유형에 자신을 비추어 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