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문학
· ISBN : 9788987548104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1-03-22
책 소개
목차
여는 시_ 느보산에 핀 지팡이 꽃 ㆍ 6
제1부_사랑의 열매
이분법 ㆍ 10
끈 ㆍ 12
구름꽃집 ㆍ 14
융능(陰陰)에서 . 16
여독 ㆍ 18
엄마의 기차 ㆍ 20
달과 그물 ㆍ 22
제2부_ 희락의 염매
천국의 기억 ㆍ 26
호수 ㆍ 28
절정 絶頂 ㆍ 30
그믐달 ㆍ 32
젖어서 아름다운 ㆍ 34
귀소 ㆍ 36
부도(不到)2 ㆍ 38
제3부_ 화평의 열매
위험한의식 ㆍ 42
그릇에대한기억 ㆍ 44
멀리뛰기 ㆍ 46
건널목 ㆍ 48
도깨비풀 ㆍ 50
제4부_ 인내의 열매
구옥(舊屋)을 떠나며 ㆍ 54
마늘밭에서 ㆍ 56
인어왕자 ㆍ 58
눈꺼풀 ㆍ 60
눈물샘2 ㆍ 62
소래산에서 ㆍ 64
눈물의 카푸치노 ㆍ 66
제5부_ 양선의 열매
몽학도蒙學徒 ㆍ 70
틈 ㆍ 72
호조벌소금바람 ㆍ 74
적멸시인 寂滅詩人 ㆍ 76
팽이치기 ㆍ 78
제6부_자비의 열매
서울역방향제 ㆍ 82
그리운 봉자씨 ㆍ 84
천수賤壽 ㆍ 86
포리에서 ㆍ 88
그에게로부터 온 편지 2 ㆍ 90
녹향병원 앞 은강교회 ㆍ 92
제7부_ 충성의 염매
발자국 ㆍ 96
천직還職 ㆍ 98
밥숨 ㆍ 100
사즉생死卽生 ㆍ 102
부도不到 ㆍ 104
따뜻한 슬픔 ㆍ 106
까띠뿌난에서 만난 예수 ㆍ 108
모자 ㆍ 110
제8부_온유의 열매
신발로 돌아 온 사랑 ㆍ 114
숟가락 ㆍ 116
하산 下 山 ㆍ 118
뼈에도 꽃이 피는 ㆍ 120
분꽃 ㆍ 122
산 ㆍ 124
제9부_절제의 열매
그리운 비수 ㆍ 128
꽃게 이야기 130
판도라 132
내 몸에 검객 134
방전(放電)시대 136
원미도인 박기서 138
저자소개
책속에서
□ 여는 시
느보산에 핀 지팡이 꽃
예배당 계단에 앉은 늙은 모세가 묻는다
여기서 강 너머 그 평야가 보이는가
이곳에 저 강을 건널 지팡이는 있는가
흠칫 놀라 돌아보니 이곳은
눈물로 무덤을 이룬 그의 느보산
돌아보면 돌판을 깬 일이나
혈기로 바위를 친 일 따위가
강 하나 건너지 못할 흠인가 싶다가도
혀를 끌끌 차며 다시 지팡이를 잡는다
성산아래 강을 건너지 못한
남루한 지팡이 하나
그 마른 가지로 물길이라도 재려했으나
그저 내려오지 못할 산길을
오르고 또 오르고 있네
40년의 고단한 탈옥도
남루한 제의(祭儀)로 남았고
지팡이로 지켜 온 사람들도
다 흙이었거니 했지만
단단한 자갈로 따로 앉은 유령들
볼수록 낯선 유령, 유령들이었네
그의 지팡이에는
세상에 없는 꽃이 피고
그 꽃에 묻은 외로움은
느보산 바위 밑에
수맥처럼 오늘도 흐르네
느보산 보다 높은 3층 예배당에서
저기 흐르는 사람들을 내려다보네
그가 피우다만 꽃들을 다시 피우며
나도 마른 꽃처럼
우두커니 앉아 보았네
□ 제1부 사랑 편
끈
고향에서 올라 온 택배 상자
파김치 뚜껑에 칭칭 감긴
끈
40년 된 성경책
시편詩篇에 드리워진 붉은
끈
어머니 이마에
강물처럼 흐르는 그 짙은 끈
Faith Essay _ 사람에게는 누구나 끈이 있다. 인맥의 끈, 지식의 끈, 집착의 끈 등이 자신을 지탱하는 힘이 된다고 믿고 찾기도 하며, 의지하기도 한다. 그것에 더하여 우리는 ‘신앙의 끈’이라는 자연인이 갖지 못하는 매우 특별하고도 분명한 끈이 있다. 신앙이라는 끈은 신비하게도 안일(安逸)할 때는 잘 보이지 않다가, 고난가운데 문득 나타난다. 원망 가운데 있을 때에는 사라졌다가 용서 가운데 나타난다.
육안이 아닌 영안으로만 잡히는 것이 신앙의 끈이다. 마치 고향에서 올라온 어머니 사랑이 담긴 택배상자에 칭칭 감긴 끈처럼 벌판같은 우리의 생애를 칭칭 감아주는 하나님의 사랑의 끈은 말씀이라는 동아줄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오늘도 우리는 말씀의 끈을 기도로 잡고 하나님을 느껴야한다. 나를 절망과 죽음이라는 무저갱(無底坑)의 나락에서 건지기 위해 이 땅에 붉은 끈으로 오신 예수님을 잡아야 한다. 우리에겐 그 무엇보다 그의 사랑의 끈이 가장 필요하다. 어제나 오늘이나 내일이나. 마라나타! 예수여, 어서 오소서!
구름꽃집
오십이 넘은 어느 날
아내와 낯선 꽃집에 갔다
꽃집 안에는 들어가지 않고
문 앞에 놓인 안개꽃만
고르기 시작했다
장미나 백합화, 후리지아
수선화를 만나기도 전에
그녀의 가슴에는 이미
안개가 번지기 시작했다
안개 낀 아침풍경의 그녀가
내게 말했다
이제 이 꽃을 포장해 주세요
나는 부풀어 올라 그녀를 감쌌다
오십이 넘어 나는
꽃집 아저씨가 되어
비로소 안개꽃을 구름으로
포장하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꽃집에서는
박무(薄霧)와 백운(白雲)이
동색(同色)인 것을 알기 시작했다.
Faith Essay _ 천국의 모형은 가정에서 출발되었다. 하나님은 천지를 창조하시고 사람을 만드신 후에 그 이름을 아담이라 하고 그의 갈비를 취해 그의 배필을 만들어 주시고 그와 함께 가정이 창조된 것이다 교회보다 먼저 창조된 가정, 교회보다 먼저 창조된 사람, 교회보다 먼저 창조된 자연, 이렇게 창조의 순위를 역추적하다 보면 문득 우리는 신앙이 지나치게 교회 안에 머물러 있는 형식적인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아내와 꽃집에 갔을 때 오십이 넘은 아내가 이렇게 꽃을 좋아하고 마치 꽃과 일체가 되어가는 것을 보고 몹시 미안하고 부끄러웠던 기억이 있다. 사는 것이 다 그렇지 뭐 하면서 무심하게 가족을 대하고, 가장 편안하다고 가장 함부로 대했던 시간은 없었는지 반성하게 된다. 안개꽃을 한 아름 받아든 아내의 미소에서 그동안 마음의 가득한 안개가 걷히는 듯 했다. 사랑은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 그 자체로 숭고한 것이다. 오늘 내 곁에 있는 가족을 향해 사랑의 꽃이 되길 희망한다. 잠시라도 그에게 하얀 꽃다발이 되어 그의 행복한 미소가 되어 다가가길 다시 기도해본다. 사도 바울은 이렇게 가르친다. “우리가 지금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지금은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고.(고전13: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