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87578477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8-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
건축 작품,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이론과 실천, 우리는 무엇을 희망하는가?
한국 건축비평의 무기력성: 현실진단과 과제
건축불가능성: 도취와 ‘궁정풍 사랑’
Ⅱ
한국성: 집단오인과 실체 없는 도구
전통해석: 번역과 혼성성
도시의 실상, 일상을 통해 읽는다
비판으로서의 일상: '일상의 건축' 담론에 대한 비판적 소고
마땅히 물어야 했던 것, 그럼에도 묻지 않았던 것
건축-페미니즘 틈 읽기
세월호 참사, 공공성을 묻다. 세월호 이후의 건축
Ⅲ
건축의 힘: 힘이 없는 모든 것은 휩쓸려간다
오감도 유감: 제14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황금사자상 수상’을 돌아보며
차마 이름 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_(템플Temp’L)
비겁한 자의 통행증, 고상한 자의 묘비명
건축의 정치성: 자유공간과 ‘국가주도-아방가르드’ ─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주제에 관한 소고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다수 건축가들이 자신들은 건축을 보았을 때, 좋은 건축을 알아볼 수 있다고들 말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갖고 있는 건축비전과 미래를 확정하는 기준을 주장하는 것은 분명 행복한 일이다. 그런데도, 건축 직능에만 관련된 문제가 아닐 테지만, 좋은 작품을 인식하는 데는 늘 변덕스럽다. ......
우리는 늘 물어야 한다. 무엇이 적절한지,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이 가능한지, 그리고 우리가 꿈꾸고 염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가지고 짓는다. 현실을 위해서, 그러니까 더 나은 현실을 위해서 말이다.
-<건축 작품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오늘날, 건축에 대한 접근방식이 건축의 의미보다 건축이 작동하는 방식과 '무엇을 행하는가?'에 상당부분 치우쳐 있긴 해도 여전히 이론의 역할을 저버릴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구축만을 볼 것이냐, 구축 너머 세상을 볼 것이냐?
-<이론과 실천, 우리는 무엇을 희망하는가?>
예술을 향유한다는 것! 그것은 곧 포이에시스poiesis의 근원적 힘으로 ‘새로운 세계를 여는’ 시적詩的순간을 맞이하는 것과 깊이 연관되어 있을 뿐 아니라 존재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순간이기도 하다.
-<마땅히 물어야 했던 것, 그럼에도 묻지 않았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