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패셔닝 비엔나

[큰글씨책] 패셔닝 비엔나

재닛 스튜어트 (지은이), 송종열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5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9,000원 -0% 0원
1,770원
57,2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패셔닝 비엔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패셔닝 비엔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비평
· ISBN : 9791128865510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2-05-28

책 소개

‘세계 파괴의 실험장’이라고까지 불린 세기말 빈을 ‘패션’이란 키워드로 해석해 낸다. 세기말 빈에서 명성을 떨친 건축가이자 그 시절 커피하우스에서 문화담론을 생성하고 이끌어 간 아돌프 로스의 비평을 통해, 복식이 은유하는 가면의 기능, 복식에 의한 계층 구분, 복식의 변화에 따른 사회 변화를 짚는다.

목차

감사의 글

들어가며
1. 탐구하기와 발굴하기
원텍스트성
출간된 로스 텍스트 컬렉션
‘기록보관소의 어질러진 공간’
강연과 에세이
‘공연의 중대한 비결’
파라텍스트성
봄(seeing)에 관한 예증적 범주
로스 텍스트의 위치 찾기
자아와 타자의 변증법
이야기꾼

2. 다른 것−국가문화 신화론
미국: 영감의 원천
잉글랜드: ‘파괴에 기뻐하기’
고전적 고대성: ‘우리는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에서 고전주의자들이다’
독일: ‘돼지의 문화’
터키 그리고 발칸 국가들: 동양의 위협
일본: ‘납작해진 꽃들’, ‘납작해진 사람들’
파푸아뉴기니: 내면의 레드 인디언 극복하기

3. 자아−로스가 말하는 빈의 사회적 차이
소비의 영역
부르주아지
부르주아지와 귀족의 관계
고상함의 이상
귀족: 변화와 안정의 변증법
엘리트 소비
생산 영역
농민: 산업화 이전의 농촌 디스토피아
장인: 산업화 이전의 도시 유토피아
민주적 소비의 이상(理想)
대중 소비와 엘리트 소비 간의 긴장

4. 차이의 드러냄과 감춤
패션
표상 의복(Tracht, 민속의상)의 역할
숙녀복
영국 신사

5. 내러티브의 위치 찾기−도시, 그 인공물 및 명소들
실내로서의 도시
전시회 및 박물관
≪다른 것≫(1903)
<가정의 실내 둘러보기>(1907)
‘도시 투어’(1913∼1914)
교외로부터의 위협(1920년대)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재닛 스튜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패셔닝 비엔나: 아돌프 로스의 문화비평≫(2000)과 ≪도시에서의 대중연설≫(2009)의 저자이며, 오스트리아와 독일 문학과 시각 문화, 문화 사회학 및 도시 역사에 관련하여 폭넓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더럼대학교 예술인문학부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송종열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축비평가. 비평 저널 《건축평단》 편집장을 지냈으며, 대학에서 건축비평, 건축인문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꽃과 칼: 건축 아르고스』(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평지원), 『시티 몽타주』(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단테움: 이탈리아 파시즘 치하 건축, 시학, 정치학』, 『패셔닝 비엔나』, 『건축의 이론과 실천 1993-2009』(공역) 등이 있으며, 「비판적 글쓰기: 역사와 이론 사이에서」, 「건축-인문학 논의에 관련한 비판적 소고」 등 다수의 논설이 있다. 현재는 고트프리트 젬퍼의 『스타일Der Stil』(명저 번역지원사업, 공역)을 우리말로 옮기고, 비평서 『건축비평 토대 놓기l』(가제)를 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여성복의 바탕이 되는 동기는 감춤(disguise)이라고 하지만, 이러한 감춤의 요점은 감추어진 것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이다. 감춤은 드러냄의 도구가 된다. 에두아르트 푹스(Eduard Fuchs)는 “사람들이 자신의 신체 특정 부분을 가리게 된 것이 원래 본능적인 수치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오해라는 것은 (…)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보다도 우리는 의복이 장식과 치장으로만 기능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주장함으로써 이런 견해를 뒷받침한다.


로스의 사회·문화적 변화 모델에 따르면 사물의 형태 변화는 문화적 변화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그는 사물의 형태를 직접 바꾸려는 시도에 비판적이다. 그는 ≪다른 것≫에서 안장 제작자에 얽힌 이야기를 활용하여 실용적인 지식이 없으면서 자신들이야말로 여전히 현대적인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예술 공예 운동의 대표자들을 비판한다.(Loos 1903b: 1?2) 로스가 말하는 이야기 주인공인 안장 제작자는 자신이 제작한 제품이 정말로 현대적인 것인지 확인하고 싶어 자문을 구하기 위해 응용예술학교 교수를 찾았다. 교수는 학생들에게 정말로 현대적인 안장을 디자인하라는 과제를 내놓았다. 그는 [학생들이 제출한] 결과물에 흐뭇해하면서, 안장 제작자에게 제작된 물건들의 형태를 와서 보라고 일렀다. 안장 제작자는 그 디자인들을 주의 깊게 살핀 다음 그 교수를 돌아보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존경하는 선생님! 만약 제가 말 타기, 말, 가죽과 노동에 대해 당신만큼 아는 게 없었더라면 저 역시 당신만큼 풍부한 상상력을 발휘했을 것입니다.”(Loos 1903b: 2) <절약에 대하여>에서는 이 이야기와 예술 공예 운동[의 디자이너들]이 디자인한 여성복의 형태(Loos [1924] 1983: 213)를 연결한다. 안장의 형태가 그 장식적 기능에 종속된 것처럼, 여성의 몸은 예술 공예 드레스의 장식 기능에 종속된다. 두 경우 모두 디자이너의 실수는 내부로부터 디자인하기보다 외부로부터 디자인하려 한 것인데, 그 때문에 ‘자연스러운’ 형태가 옷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옷에 형태를 부과하는 것이다.


전시회는 현재[의 것]에 초점을 맞추고, 단 몇 달만 유지될 터이므로(Eco 1997b: 204) 덧없는 느낌이 특징인 반면, 박물관은 역사에 초점을 맞추고 연속성의 감각을 특징으로 한다. 역설적인 것은 박물관은 변화를 문서화함으로써 영속성과 지속성을 내포하는 반면, 전시회는 과거도 미래도 아닌 시간 속에 얼어붙은 도시의 스냅 샷으로서의 모습을 통해 변화를 분명하게 표현한다는 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