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순환기
· ISBN : 9788987808499
· 쪽수 : 203쪽
· 출판일 : 2006-10-01
책 소개
목차
Key Word로 Case찾기
이 책에 사용된 주요 약제의 상품명/ 일반명 대조표
Case 1 발열과 흉통.. 심근경색인가?
Case 2 반복되는 흉부 압박감
Case 3 오래 지속된 흉통
Case 4 ST 상승을 동반하는 복통과 구토
Case 5 이른 아침에만 흉통을 느낀다
Case 6 운동유발에 의한 ST상승
Case 7 운동 부하로 흉부 불편감과 ST하강이 보였다
Case 8 감기라고 생각했지만 흉통이 생겼다
Case 9 양년자의 ST상승
Case 10 평탄한 T파
Case 11 거대음성 T파가 보이는 심질환은?
Case 12 진구성 심근경색이 의심되지만 Q파가 없다
Case 13 3유도에 Q파가 보인다
Case 14 여성환자의 운동부하검사
Case 15 디지탈리스 복용환자의 흉통
Case 16 디지탈리스 투여중인 고령자
Case 17 심전도로 전해질 이상을 알 수 있다?
Case 18 QRS폴이 넓은 빈맥(1)
Case 19 QRS폴이 넓은 빈맥(2)
Case 20 증상이 없는데 WPW 증후군
Case 21 증상이 없는 심실조기수축을 어떻게 할까?
Case 22 빈발성 심실조기수축에 대한 항부정맥제에 병용 요법을 어떻게 생각하나?
Case 23 온몸으로 유발되는 심실빈맥
Case 24 비지속성 심실빈맥을 어떻게 치료할까?
Case 25 심근경색 후의 빈맥
Case 26 갑자기 시작되었다가 갑자기 정지하는 빈맥발작
Case 27 심계항진 등 증상이 많은 중년 여성
Case 28 심방 기외수축인가, 심실조기수축인가?
Case 29 P파도 없고 세동파도 없는 심전도
Case 30 P파의 이상과 과잉 심음
Case 31 승모판 폐쇄부전에 동반하는 심방세동의 치료는?
Case 32 지속적인 심계항진
Case 33 처음 발작으로, 동반된 기초질환이 없는 심방세동
Case 34 발작성 심계항진, 예방으로 사용되는 항부정맥제는?
Case 35 심방세동 환자에게 디지탈리스를 투여했는데 왜 심계항진이 계속 되는 것인가?
Case 36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갖고 있는 심방세동
Case 37 만성 심방세동 환자에게 TIA가 생겼다
Case 38 심방세동에 대한 항부정맥제 치료 중에 심한 심계항진이 보였다
Case 39 심방조동에 대한 동조율화
Case 40 실신한 전공의
Case 41 항부정맥제 복용중의 실신
Case 42 무증상의 서맥에 대한 대응은?
Case 43 권태감이 있고 심확대와 저전위차가 지적되었다
Case 44 홀터 심전도에서 이상이 지적되었다
Case 45 자각 증상은 없지만 PQ시간의 연장이 보인다
Case 46 증상이 없는 bifascicular block
Case 47 여대생의 서맥과 방실블록
Case 48 방실블록으로 생각되지만 심전도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Case 49 증상이 없는 각블록
Case 50 특이한 각블록
Case 51 완전 방실블록에 관하여
Case 52 칼슘 길항제에 의한 서맥?
Case 53 학교 검진에서 심전도상의 QT연장이 지적되었다
Case 54 심박동기는 필요한가?(1)
Case 55 심박동기는 필요한가?(2)
Case 56 심박동기 이식 후의 심전도 이상
Case 57 위험 인자는 없지만, 심기능 저하와 심전도의 이상이 보인다
Case 58 이전부터의 심잡음.. 선천성 심질환?
Case 59 복부 수술 2주일 후에 출현한 호흡곤란
Case 60 컴퓨터가 발견한 심전도 이상
Case 61 입원중의 모니터 심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