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87871585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00-10-16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추상 맥락주의와 한국적 추상
1. 김원 대 김기웅 : 맥락적 추상
갤러리 빙과 성북 구민회관 / 갤러리 빙(1): 생산추상에서 예술추상으로 / 갤러리 빙(2): 예술추상에서 일상적 추상으로 / 성북 구민회관: 보편적 추상 모델과 한국적 추상 / 맥락, 재료 유형, 공간, 기하
2. 메타(이종호+양남철) 대 김인철: 구상현실과 추상현실
설민 빌딩과 하저교회(이쿼녹스) / 설민빌딩(1): 회화추상과 구상현실 / 하저교회(1): 기하추상과 추상현실 / 설민빌딩(2): 구심과 원심 / 하저교회(2): 원심적 구심
3. 승효상 대 김광현: 현실 모델과 양식 모델(1)
이문 291 / 건축문화 사옥 / 동숭동 문화공간 / 등뼈형 공간과 1990년대 한국다움 / 양식 모델과 현실 모델 / 보편성의 수용과 건축가의 자아의식
4. 문정일 대 방철린: 현실 모델과 양식 모델(2)
논현 133: 양식 모델과 1990년대의 시의성 / 스템(STEP)과 하늘마당 II
5. 추상의 역설: 추상과 쓰레기(1)
추상은 쓰레기를 잘 담아내야 할까 / 잡동사니와 간판
6. 김헌 대 이일훈: 추상과 쓰레기(2)
다중감각과 한국다움 / 아현동 3세대를 위한 주택: 자기 완결성과 독립 오브제의 문제 / 등촌불이와 나루터 공동체: 한국적 추상의 한국적 패러디 / 한국적 추상과 공예의 인위성의 문제
2부 길과 경치
1. 동일성과 개별성: 중간자적 다양성과 현실 해석
2. 길, 문, 브리지: 이동과 머묾
설민 빌딩과 명지대 방목 기념관: 세 개의 브리지와 세 개의 길 / 하저 교회와 돌마루 공소: 두 개의 문과 두 개의 길 / 동숭동 문화공간: 소비의 억압구도와 만보객
3. 먼 경치와 가까운 경치: 자연과 차경
먼 경치와 친숙한 차경: 설민 빌딩과 동숭동 문화공간 / 가까운 경치와 자연의 차경: 하저 교회와 명지대 방목기념관 / 갇힌 자연과 닫힌 경치: 김헌 대 승효상
4. 액자와 소품: 현실의 복층구조
액자와 숨통: 이문 291, 동숭동 문화공간, 내심경 / 소품과 상징: 백문기 대 김희곤
5. 김준성 대 김희곤: 사고와 사건
'사건 사고'와 필연성의 문제 / 김포 한누리 병원: 사고와 필연 / 만남-1: 사건과 우연
6. 유걸 대 방철린: 구조와 변화
밀알학교: 구조화된 구조와 이상주의 / 스템(STEP): 탈구조와 변화
제3부 중심과 투명성
1. 최승원 대 장세양: 안팎과 투명도 문제
추상, 중심, 투명도 / 오 화백 아틀리에(1): 불투명한 투명성과 침묵하는 웅변 / 오 화백 아틀리에(2): 한국적 추상과 전도된 역설 / 공간 신사옥(1): 투명, 해방, 불이 / 공간 신사옥(2): 투명의 단절성과 전도된 현실 / 공간 신사옥(3): 추상과 억눌린 한국다움 / 공간 신사옥(4): 예술성과 쫓겨다니는 바람
2. 김헌 대 조병수: 경계와 반투명
일산 주택(1): 폐쇄된 경계와 쫓겨난 일상성 / 일산 주택(2): 불투명한 반투명과 붙들려 온 자연 / 일산 ㄱ자 집: 투명한 반투명과 집 예절 / 용인 솔마당 집: 반투명한 반투명과 이미지 조각
찾아보기
등장 건축가 및 건물
그림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