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88092484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1-01-2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기업중심 가치체계의 성장
본서의 구성단계
제1장 CSR의 개념과 분류
CSR의 이론적 배경 및 논쟁
CSR의 개념 및 구분
CSR의 세부 분류
국가별 대응 현황
제2장 CSR의 추진방향 설정
주요국의 CSR 추진현황
CSR 추진 시 고려사항
CSR 추진의 기대효과
CSR 추진방향 설정
제3장 CSR 추진의 핵심성공요인
국내 기업의 CSR 추진현황
국내외 CSR 위배 사례
한국의 CSR 수준 진단
국내 CSR 추진의 핵심성공요인
제4장 CSR 현황진단 및 전략수립
CSR 전담팀 구성
CSR 현황 진단
CSR 전략 수립
CSR 정보공개 방안 수립
5장 CSR 주요과제 도출
환경적 책임
인권적 책임
윤리적 책임
지속가능보고서
제6장 CSR 소통 및 이행
CSR 소통전략 수립의 고려사항
CSR 소통유형 분석
이해관계자별 소통계획수립
CSR 체계확립 및 확산
책속에서
기업중심 가치체계의 성장
가치체계의 구분은 여러 가지 관점을 기준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전쟁 이후 경제적 가치 창출이 최우선 가치로 요구됨에 따라 국가적 발전방향이 경제발전계획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중추적 핵심기능을 수행했던 기업은 경제적 가치의 체계를 성장 발전시켰다. 그러나 단기간의 경제발전은 경제적 가치로의 편중현상을 야기시켰으며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 가치판단의 기준을 왜곡하게 되었다. 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과 더불어 같이 고려해야 하는 것은 기업의 고객, 공급사, 협력사는 물론 사회적 기반에 대한 장기적인 사회적 책임 인식이며, 이해관계자와 상생의 배려로 성장할 때 더욱 가치체계의 완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CSR 추진의 의식 전환
CSR 활동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비용이 든다고 하더라고 그것은 비용이 아니라 이해관계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투자이며, 기업에 있어서는 거시적으로 보아 이익이 된다는 발상에 근거하여 의식이 전환되어야 한다. CSR 활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신뢰관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향후 일어날 수 있는 리스크를 경감시킴으로써 기업 존립의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한 투자라는 인식이 중요하다.
환경적 책임 내용의 소통 사례
그린 마케팅은 제품과 서비스 개발, 가격정책, 판매촉진과 유통 및 판매채널을 기획하고 이행하며 관리하는 가정에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며, 먼저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어 환경부하를 최소화는 경영활동이다. 그린 커뮤니케이션은 마케팅의 핵심요소로 모든 이해관계자 특히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생산과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시장 소비자의 성향과 행동패턴을 파악하고 소비자들에게 환경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것으로 친환경제품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한다. 또한 마케팅 믹스의 한 요소로 그린 커뮤니케이션 믹스는 소비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의 환경 개선 성과를 알려 기업에 대한 이미지 제고를 도모하고 친환경제품의 판매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