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88105917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07-08-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영화 속 아나키스트의 진실과 거짓
1장 아나키즘과 영화 : 재현과 자기 재현
영화와 '아나키스트의 수난' / 미국의 아나키즘 : 자기 재현의 위협 / 아나코 페미니즘, 영화, 그리고 폭력의 문제
2장 영화, 아나키즘, 그리고 혁명 : 영웅, 순교자, 유토피아의 순간
아나키즘과 국가사회주의라는 유령 / 영화와 스페인 혁명 / 영화, 아나키즘, '자유 코뮌'
3장 아나코 생디칼리슴 대 '노동에 대한 저항'
아나키즘과 '노동의 퇴락' /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의 아나코 생디칼리슴 / 르네 클레르의 아포리아 / 만사형통: 68년 5월과 노동자 관리 / 노동 거부 혁명 : 페트리의 '노동자계급 천국에 가다' / 일요일의 삶: '게으를 수 있는 권리' 찾기 / 추신 : 게으름뱅이와 신新허무주의자
4장 영화와 아나키스트 교육학
교실에서의 아나키즘 : 교육적 개선 대 탈교육 / 교실 영화 : 권위, 개혁, 그리고 아나키 / 교실 반란과 '감각의 교육' : <품행 제로>, <라탈랑트>, 그리고 <만약에> / <호모 아카데미쿠스>와 아나키스트 지식인의 딜레마 / 교실을 넘어선 교육학 : 네덜란드 무단 점거와 톰킨스스퀘어 공원의 전투 / 아방가르드 교육학?
5장 아나키스트 미학을 찾아서
[ 부록 ]
1. 아나키스트 인물 해설
2. 영화 찾아보기
옮긴이의 글 - 혁명의 패배에서 배운다 / 박현선
책속에서
초기 영화에서 현대 영화에 이르기까지 상업적인 감독이건 좀 더 세련된 감수성을 지닌 작가건 많은 영화들은 아나키스트 주인공을 사악한 인물로 설정해 왔다. 그러나 민족적, 인종적인 집단의 스테레오타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오직 긍적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누어 사고한다면, 우리는 그런 스테레오타입을 형성하고 결정해 온 역사적.미학적인 변동 과정을 놓치게 될 것이다.
브라이언 체이트가 <영미 문학과 사회>에서 '유대인의 형성 과정'을 개괄했던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스크린에 아나키스트를 담아내려는 어리석고 들뜬 노력 속에서 감독들은 '놀랄 만큼 다양하고 모순되며 과잉 결정된 재현들'을 만들어 냈다. 그리고 아나키스트에 대한 악의적인 묘사는 헨리 루이스 게이트 주니어가 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인종차별적인 유형학을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계몽주의가 우리에게 물려준 과학과 이성의 합리주의 담론에 의해 저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고는 한다. 상업 영화에서 대부분의 아나키스트들은 우생학자와 범죄학자가 낙인을 찍은 '격세유전의 인종들, 즉 아일랜드인, 유대인, 실업자, 범죄자, 그리고 광인'의 비합리성과 폭력성을 지닌 인물들로 형상화된다.
- 본문 28~29쪽, '1장 아나키즘과 영화: 재현과 자기 재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