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과학 123호 - 2025.가을

문화과학 123호 - 2025.가을

(AI 세계질서’특집호)

김현준, 신현우, 김종진, 김상민, 장여경, 강신규, 이광석, 조윤희, 후지이 다케시, 김보명, 조정환, 신광영, 김진균, 연혜원, 임태훈, 김상철, 김성윤, 심소미, 김상규, 장진승, 민찬욱, 에스탐파 (지은이), 『문화/과학』 편집위원회 (엮은이)
문화과학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540원
15,6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과학 123호 - 2025.가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과학 123호 - 2025.가을 (AI 세계질서’특집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7122802600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9-12

책 소개

123호(가을) ‘AI 세계질서’ 특집은 소버린 AI와 AI 전환(AX) 담론이 부상하는 상황에서 AI가 만들어내는 세계의 문제, 즉 국가와 기술기업, 그리고 기술자본이 우리 삶의 방향을 닦달하고 주권적 명령을 내리는 현실을 비판하였다.

목차

5 123호를 내며 : AI는 과연 세계를 변혁하는가
/책임편집위원 : 김현준·강신규·신현우·이광석·조윤희

특집 / AI 세계질서
21 AI는 (어떤) 세계를 생성하는가 : 최첨단의 운명론과 ‘거대 기술과학’으로서 AI 주권 및 대전환 정책 담론 비판 / 김현준
49 AI 열전(Thermal war), 세계체제의 기술 체계 : 열의 장막 속 빅테크 지대의 부상 / 신현우
71 AI 도입과 증강의 노동구조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자본의 편향적 활용과 노동 통제 위험성을 중심으로 / 김종진
88 인공지능이라는 이데올로기 생성 장치와 식민주의적 추출 시스템 / 김상민
110 한국의 인공지능기본법과 ‘영향받는 사람’ / 장여경

기획 / 한국 극우의 계보
157 ‘극우’ 해체하기, 또는 생활 속의 반파시즘 / 후지이 다케시
170 한국 극우의 젠더(반대) 정치학 : 보수 개신교 반동성애 운동을 중심으로 / 김보명
186 극우의 정동정치와 유사직접민주주의 / 조정환

동시대 분석
211 세습 계급 사회 / 신광영
227 인문사회계열 비정규교수의 연구 지원 / 김진균

텍스트의 재발견
243 몸들이 만나 우리를 지연시킬 때 / 연혜원
— 강유정 외, 『다시 만날 세계에서』
— 이유정 외, 『이토록 평범한 내가 광장의 빛을 만들 때』
255 “낡은 것은 죽어가고 있지만 새로운 것은 아직 태어날 수 없다” / 임태훈
— 신현우의『알고리즘 자본주의』
267 현실 기반 정책연구자가 던지는 ‘트윈 전환의 선순환’이라는 다소 위험한 제안 / 김상철
— 김병권의『AI와 기후의 미래

이론의 재구성
283 비판적 문화연구와 ‘사물 논리’의 접합 가능성과 쟁점들 / 김성윤

이미지 큐레이팅 / 심소미×김상규
132 장진승
138 민찬욱
144 에스탐파

저자소개

신광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현 동아시아사회학회 회장이며,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공저),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김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술, 미디어, 예술의 접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비)인간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는 문화연구자다.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로 일하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 한국문화연구학회와 캣츠랩의 운영위원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큐레이팅 팬데믹》(공저), 《서드 라이프》(공저), <사회적 참사와 사물의 정치>,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신체, 어펙트, 뉴미디어>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민의 다른 책 >
김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함께 연구하고 있다. 의자와 전시를 무척 좋아해서 퍼시스의 디자이너로 다양한 의자를 디자인하기 시작했고 예술의전당 디자인미술관에서 큐레이터로 일한 뒤부터는 <한국의 디자인>, <오래된 미래> 등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는 전시를 기획해 왔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디자인박물관 관련 연구도 꾸준히 해 왔고 현재는 생태 전환 디자인과 사물 연구, 20세기 사회주의 체제의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런 관심을 바탕으로 『의자의 재발견』, 『디자인과 도덕』, 『관내분실: 1999년 이후의 디자인 전시』 등을 쓰고 『사회를 위한 디자인』, 『뉴 큐레이터: 건축과 디자인을 전시하기』 등을 옮겼다.
펼치기
강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책임연구위원으로, 방송, 게임, 만화, 팬덤 등을 연구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흔들리는 팬덤》, 《서브컬처 비평》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변영만의 비판적 근대정신과 문예추구」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문학과 근대전환기』, 『모던한문학』 등의 저서가 있다. 현재 (사)다산연구소 연구실장,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부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심소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큐레이터이다. 도시공간과 예술 실천의 관계를 전시, 공공프로젝트, 리서치를 통해 탐구하고 이를 큐레토리얼 담론으로 재생산하는데 관심을 둔다. 2023?24 프리즈-브레게 파트너십의 큐레이터로 전시를 기획하였다. 또한, 문화연구지 계간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이며, 콜렉티브 ‘리트레이싱 뷰로’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큐레이팅 팬데믹』 및 『주변으로의 표류: 포스트 팬데믹 도시의 공공성 전환』이 있으며,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현대 블루 프라이즈 디자인2021’ 및 ‘이동석 전시기획상2018’을 수상했다.
펼치기
조정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경남 진양군 대평면 내촌리에서 태어났다. 박정희 정권의 서슬이 퍼렇던 1968년 국민학교 6학년 때 아이러니하게도 전교어린이승공회 회장을 맡았다. 진주중학교에 진학했으나 남강 댐공사로 마을이 수몰되어 서울로 전학했다. 서울대학교에 진학했으나 군인들이 교문을 지키고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학교가 싫어서 자취방이나 다방에서 소설과 시를 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대학원에서 한국근대문학을 연구하던 중 광주민중항쟁의 진상을 알게 되면서 친구들과 모여 맑스주의 미학을 공부했다. 이후 문학은 노동자·민중과 함께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민중미학연구회> 창립에 참여했다. <민중미학연구회> 사건으로 1986년 12월 31일 오후에 남산 안기부로 끌려가 고문당했다. 1987년 1월 19일 서울구치소로 이감되었는데 소내에서 1월 14일에 박종철 군이 물고문으로 사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서울구치소에서 벌어졌던 재소자인권투쟁 현장이 대학, 대학원보다 더 진정한 학교이고 함께한 동지들이 교수보다 더 훌륭한 스승이었다고 느낀다. 감옥에서 구상한 노동계급 당파성 문학을 실천하기 위해 1988년 김사인, 박노해, 신은주를 비롯한 여러 문학예술가들과 『노동해방문학』을 창간하여 주간으로 활동했다. 1990년 10월 30일 전국 지명수배가 되어 1999년 12월 24일 수배해제되기까지 안기부(국정원)의 추적을 받았다. 이십여 년의 기간이 나에게는 1980년대에 가졌던 정통 맑스레닌주의적 관점을 자기비판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었던 고통스럽지만 행복한 시간이었다. 1994년경부터는 국가, 자본, 당에서 독립적인 다중의 제헌활력에서 사회혁명의 동력과 지도력을 찾는 자율주의적 관점을 갖게 되었고 갈무리 출판사를 만들어 관련 출판물을 내기 시작했다. 1986년부터 호서대, 중앙대, 성공회대, 연세대 등에서 한국근대문예비평사와 탈근대사회이론을 강의했다. 『실천문학』 편집위원, 월간 『노동해방문학』 주간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다중문화공간왑>, <다중네트워크센터>, <다중지성의정원>으로 이어지는 집단지성 공간을 만들어 현재 대표 겸 상임강사로 활동 중이다. 5·18 광주민중항쟁을 분석한 『공통도시』, 21세기 자본주의의 거대한 전환을 다룬 『인지자본주의』, 인지자본주의하에서 다중 누구나가 예술인간으로 되고 있음에 주목한 『예술인간의 탄생』, 대의민주주의가 직접민주주의에 의해 섭정되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전망을 다룬 『절대민주주의』 외에 십수 권의 책을 썼고 수십 권의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임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인문학협동조합 총괄이사. 문학과 테크놀로지, SF 문화, 사운드스케이프 예술, 환경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 《우애의 미디올로지》(2012), 《검색되지 않을 자유》(2014) 등이 있으며, 《쓰레기 기억상실증》이라는 새로운 책의 출간을 앞두고 있다.
펼치기
김성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 융합지식과사회연구소 전임연구원. 이데올로기와 감정,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대중문화와 문화변동 등을 연구하고 있다. 문화이론 전문지 『문화/과학』편집위원, 문화연구학회 및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문화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18세상』(2014), 『덕후감』(2016) 등의 저서가 있고, 「우리는 차별을 하지 않아요: 진화된 혐오 담론으로서 젠더 이퀄리즘과 반다문화」(2018), 「플랫폼과 ‘소중’: 생산과 소비의 경합이라는 낡은 신화의 한계상황」(2017) 등의 글을 썼다.
펼치기
김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하는시민연구소 소장과 유니온센터 이사장으로 몸담고 있으며, 한국산업노동학회 운영위원과 국회의장실·부의장실의 정책자문을 맡고 있다. 노동정책과 노사관계에서부터 플랫폼노동, 프리랜서, 노동시간, 감정노동, 정의로운 전환, 불안정 청년노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동 현안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 사회의 빈곤한 정치 풍토에서 실천적 활동을 통해 정책의 상상력을 넓혀나가고자 ‘주4일제네트워크’ ‘감정노동전국네트워크’ ‘중대재해전문가네트워크’ 등 노동·시민사회단체와 교류하며 현장의 문제를 정책으로 풀어나가기 위해 힘을 기울이는 중이다.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 전문위원,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 부위원장,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플랫폼노동산업위 공익위원, 서울시 노동권익보호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노동자의 시간은 저절로 흐르지 않는다》 《숨을 참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르크스주의의 시각에서 기술과 문화, 예술을 탐구하는 문화연구자다. 대학에선 문학과 영화를 전공했다. 연구자가 된 후에는 기술비판이론과 미디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플랫폼·인공지능·블록체인·게이밍 영역에 펼쳐진 자본주의 기술과 인간 노동이다. 《사물에 수작부리기》, 《게임의 이론》, 《위기와 성찰의 뉴노멀 시대》, 《인공지능, 플랫폼, 노동의 미래》 등을 썼다.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이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과학기술사회,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디지털과 예술에 대해 강의한다.
펼치기
김보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조교수. 여성학을 공부했으며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여성학과에서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의 역사적 시간성과 인종 정치학의 관계’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여성운동과 페미니스트 실천의 다양한 양상들과 의미들에 대한 역사적, 비교적, 교차적 접근에 관심이 있다. 함께 지은 책으로 《교차성✕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경계 없는 페미니즘》, 《한국 세계시민교육이 나아갈 길을 묻다》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보명의 다른 책 >
연혜원 (기획)    정보 더보기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퀴어와 섹슈얼리티를 주제로 다양한 장르에서 기획하고 글을 쓰고 있다. 서울퀴어세제션에서 세미나 <2020 퀴어돌로지>와 낭독극 <에로-그로 경성> 등 몇몇 기획을 진행했고 퀴어예술 매거진 《them》을 발행했다. 동시대라는 경계를 확장하는 데 지대한 관심이 있다.
펼치기
장진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간 사이의 부정적 관계 요소 극복을 위한 미적 상호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디지털 및 아날로그 데이터 시각화·시청각 아카이브 시스템 등의 매체를 통해 근미래의 차원에 도래할 인식 혹은 인지 구조를 실험하는 작업을 한다. 그는 2020년 현대자동차그룹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ZER01NE 크리에이터, 202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지원작가, 2022년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입주작가, 2023년 사우디아라비아 Misk Foundation Masaha Residency 입주작가, 2024?2025년 서울문화재단 금천예술공장 입주작가로 선정된 바 있다. 《L·A·P·S·E》(CR Collective, 2022), 《Réalité Simulée》(온수공간, 2021) 등의 개인전을 열었고, 《합성열병》(코리아나미술관, 2025), 《디지털 공명》(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2022), 《호텔, 디스토피아》(서울시립미술관 SeMA 벙커, 2022), 《사적인 노래 I》(두산갤러리 서울, 2020)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장진승의 다른 책 >
조윤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 박사과정.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 연구원. 〈문화/과학〉 편집위원. 무성애를 중심으로 섹슈얼리티 및 친밀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장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단법인《정보인권연구소》상임이사. 디지털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인권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랜 기간 진보정당에서 정책담당자로 일하면서 관심을 가져온 도시공간, 지방재정, 공공교통, 문화정책에 대해 《경의선공유지시민행동》, 《한국커먼즈네트워크》, 《나라살림연구소》, 《공공교통네트워크》 그리고 《문화연대》, 《예술인소셜유니온》, 《문화정책리뷰》 활동으로 이어오고 있다. 현재는 《기후위기비상행동》 정치위원회의 위원장으로 기후위기에 대한 백래시 정세에서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기후정치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일을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민찬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물과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스트이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변화하는 일상에 주목하면서 현실과 가상세계의 경계를 키네틱 인스톨레이션으로 구현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뉴욕과 쾰른, 뒤셀도르프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디자인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개인전으로 《휴머노이드 오브젝트》(갤러리 도스, 2022), 《미세표정》(북촌전시장, 2023) 등을 열었고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서울대학교미술관, 2024) 등의 전시에도 참여했다.
펼치기
에스탐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바르셀로나 기반의 콜렉티브로 2017년에 프로그래머, 영상 제작자 및 연구자가 함께 결성. 시청각 매체와 디지털 기술의 관계망을 고고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아카이브, 지도제작, 설치, 비디오 에세이, 실험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시청각적 언어를 다룬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