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영화와 근대성

한국영화와 근대성

변재란, 주유신, 곽현자, 김선아, 박현선, 박지연 (지은이)
소도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영화와 근대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영화와 근대성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한국영화
· ISBN : 9788995151624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01-03-22

책 소개

현재 한국의 영화연구 지형에서, 그리고 한국 영화사 서술에서 가장 중심적인 주제 중 하나는 '근대성'이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민족주의와 정체성, 젠더와 성차, 공간과 시간성, 스타 등과 같은 주제들을 통해 그 시기의 영화들이 어떻게 근대성의 내용과 구조를 표현하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다.

목차

서문 / 주유신

1. '자유부인'과 '지옥화': 1950년대 근대성과 매혹의 기표로서의 여성 섹슈얼리티 / 주유신
2. 근대의 시간, 국가의 시간: 1960년대 한국영화, 젠더 그리고 국가권력 담론 / 김선아
3. '노동'을 통한 근대적 여성주체의 구성: '쌀'과 '또순이'를 중심으로 / 변재란
4. 미망인과 양공주: 최은희를 통해 본 한국 근대여성의 꿈과 짐 / 곽현자
5. 밀실에서 거리로?: 1960년대 한국영화의 공간과 여성 / 박현선
6. 박정희 근대화 체제의 영화정책: 영화법 개정과 기업화정책을 중심으로 / 박지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변재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영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1997년 “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는 모토로 시작된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공동집행위원장이다. 여성영화인모임,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 공저로 『문화지리와 도시공간의 표상』(2011), 『한국영화와 근대성』(2005), 『여성영화인사전』(2001) 등이 있고, 편저로 『페미니즘/영화/여성』(1993)이 있다. 역서는 『세계 영화사』(1998)가 있다. “한국 영화사에서 여성 관객의 영화 관람 경험 연구”(2000)로 중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영화사와 여성 관객, 여성영화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주유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미학을 전공했고, 중앙대학교에서 영화이론과 영상예술학으로 각각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6년 부산에 자리를 잡은 이후 영화이론과 비평 이외에도, 부산의 영화 산업과 정책 관련 연구를 수행했고 ‘아시아영상중심도시특별법’ 추진, ‘유네스코 영화창의도시’ 관련 프로젝트 등에 참여했다. 석사 때 페미니즘 연구에 입문한 이후 ‘시네페미니스트’로서의 정체성과 책임감으로 글을 써왔고, 이 과정에서 섹슈얼리티, 민족주의, 근대성과 같은 주제에 이끌렸으며 한국영화사와 영화장르의 문화정치학 등에 대한 관심도 꾸준했다. 2013~14년의 연구를 계기로 ‘스토리텔링’에 주목했으며 문화콘텐츠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넘어서는 스토리텔링의 역할에 관심을 갖고 있다. 특정 지역이나 커뮤니티, 정치적·역사적 희생자 집단은 물론이고 평범한 개인에 이르는 다양한 주체들의 억압받거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로서의 ‘스토리텔링’, 그리고 이를 통한 개인 혹은 집단의 치유와 상호소통, 나아가 새로운 방식의 역사쓰기가 그것이다. 앞으로는 부산이 ‘영화도시’라는 이름에 걸맞은 문화적·산업적 생태계를 갖추고, 나아가 ‘유네스코 영화창의도시’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해나가는 과정에 미력하나마 힘을 보태고자 한다.
펼치기
김선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에서 영화영상이론을 전공, 박사 학위를 받았다.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California, USA)에서 Media Studies 소속 Research Scholar로 2년 동안 활동한 바 있다. 박사논문으로 '한국영화의 시간, 공간, 육체의 문화정치학: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를 중심으로'(2005)를 썼으며 '몸의 장르와 미메시스 영화관객성'(영상예술연구 8호, 2006), 'Globality of Violence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Cinema' (9th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Congress on Women, 2005) 등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영화라는 낯선 경계 -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의 국가, 섹슈얼리티, 번역, 영화>, <학교엔 귀신이 산다 - 여고괴담 2>(공저)(연대미디아트연구소 펴냄, 2004), <한국영화와 근대성 - '자유부인'에서 '안개'까지>(공저)(소도출판사, 2000)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현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과학』 재외편집위원. 조지메이슨(워싱턴) 대학교 현대고전어문학과 교수. 한국영화의 모더니즘과 정치적 미학에 관한 연구로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얼바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한국학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게스트 프로그래머, 미디어아트연구소 전임연구원,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영화소설 『길』, 번역서 『영화, 아나키즘의 상상력』을 작업했고, 공저로 『한국영화와 근대성』, 『할리우드프리즘』, 『아이다 루피노』, 『문화론의 도래와 파장』, East Asian Film Noir, A Companion to World Literature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냉전의 문화정치, 한국영화, 기억과 정동 연구, 시네페미니즘 등이다.
펼치기
박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평택대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