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88996980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09-06-29
목차
역자 서문 과학으로서의 우생학 담론을 위하여
제1장 과거의 우생학
1. 우생학 문헌들
2. 우생학 법률들
3. 우생학과 나치즘
제2장 묻혀버린 기억들
1. 우생학과 집단유전학
2. 우생학과 분자유전학
제3장 우생학의 회귀
1. 치료인가 조기검진인가?
2. 유전된 질병, 프로그램된 생리
역자 해제 역사 속의 우생학
우생학의 등장 / 골턴의 생물통계학과 우생학 / 다윈의 선택이론과 우생학 /
사회다윈주의와 우생학 / 다윈과 사회다윈주의 / 자연법칙과 사회법칙
우생학과 인종주의 / 우생학과 정치 / 20세기 초 우생 사상의 확산
우생학과 유전학 / 우생학 프로그램과 실천 / 새로운 우생학
과학장 이론에 비추어본 우생학 / 우생학의 최근 연구 동향
책속에서
다양한 사회정치적 이데올로기들 또한 이 생물학 이론으로부터 자양분을 받았다. 자유경제주의는 우생학으로부터 자유경쟁의 자연적 정당성을 찾으려 했다. 극우파는 우생학으로부터 그들의 인종주의 원리의 근거를 찾으려 했으며, 좌파는 마르크스와 다윈을 연결시키려 했다. 우생학은 생물학과 이러한 사회정치적 사상들 사이에 다리를 놓아주었다. - p.77 중에서
분자유전학은 개체와 개체생리에 관심을 두며, 집단의 유전학적 상황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대세인 분자유전학은 개체에 주목할 것을 요구한다. 집단적 접근은 이제 하위 방식이 되었고, 그 결과 과거의 우생학 사상은 생물학에서 자취를 감추어갔다. 게다가 물리·화학적 접근방법들로 인해 분자유전학은 ‘정밀과학’에 가까워졌다. - p.83 중에서
20세기 초반에는 우생학을 간판으로 하는 집단선택주의 개념이 지배적이었지만, 이제는 유전프로그램을 간판으로 하는 개체생리학 개념이 지배하게 되었다. 유전프로그램은 동물-기계 이론의 현대판인 동물-컴퓨터 이론이다. - p.90 중에서
유전자 치료가 가설적이며, 이것이 언젠가 효과적인 결과를 낳을지 전혀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사실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여기서 핵심은 치료라기보다는 ‘유전된 질병’ 담론이기 때문이다. 이 유전된 질병 담론은 점점 더 불충분하다는 주장이 잦아지고 있는 프로그램된 생리 이론의 마지막 보루인 셈이다. - p.11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