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8900705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4-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18세기 독일 시민사회와 독일 시민문학_ 독일 고전주의 예술개념의 탄생
1. 18세기 독일 시민사회의 특수성
2. 18세기 독일 시민문학 형성의 전제조건
3. 18세기 독일 시민문학의 형성과정
4. 독일 고전주의 예술이념
1장 청년 루카치의 비평활동과 그의 개념체계의 생성 과정
1. 세기말의 정신적 흐름과 독일 시민지식인의 사회적 상황
2. 『영혼과 형식』에 나타난 독일적 유미주의와 루카치의 낭만주의 개념
3. 『소설의 이론』에 나타난 독일 고전주의 해석과 총체성 개념의 등장
2장 『역사와 계급의식』에 나타난 마르크시즘 해석
1. 부다페스트 학파의 지식인들: 루카치, 만하임, 하우저
2. 루카치의 정치적 실천과 헤겔적 마르크시즘 수용
3장 루카치 문학사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독일 고전주의 문학관
2. 현대 독일 문학사관
3. 독일 고전주의의 신화
4장 루카치 『미학』의 기본 사상
5장 독일 시민문학의 가능성과 한계_ 루카치와 브레히트의 리얼리즘 논쟁
6장 루카치 미학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_ 두 이론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7장 독일 고전주의 이념의 현대적 의미_ 토마스 만과 루카치의 관계
1. 독일 고전주의 미학이념에 의한 방향 정립
2. 『마의 산』에 나타난 토마스 만의 루카치상
3. 독일 고전주의에 대한 토마스 만과 루카치의 상이한 관점_독일 시민문화와 유대주의의 상관관계
4. 이론과 실제_ 루카치의 정치관
편집자의 글: 루카치를 연구해오신 선생님께
학위논문 심사평
루카치 연보
문헌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의 총체성을 획득하는 것이 예술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는 생각은 독일 고전주의 예술이념의 핵심이다.
서사시가 그 자체로 완결된 삶의 총체성을 형상화한다면, 소설은 삶의 숨겨진 총체성을 찾아내 이를 다시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