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상
· ISBN : 9788989103394
· 쪽수 : 605쪽
· 출판일 : 2001-06-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 생명철학의 주제에 대하여
제1장 존재의 이론에 있어서의 생명과 신체의 문제
1. 법생명력론과 죽음의 문제
2. 법기계론과 생명의 문제
3. 이원론의 역사적 역할
4. 이원론의 붕괴의 산물로서의 관념론과 유물론
5. '의식'과 '외부세계' 사이에서의 생명의 소멸
6. 신체를 존재론적 중심에 위치시킴과 인과성의 문제
7. 요약
제2장 지각, 인과성 및 목적론
1. 인과성과 지각
2. 인간동형론과 목적론
제3장 다윈주의의 철학적 측면
1. 근대적 자연관에서의 근원의 문제
2. 현대적 근원 이념의 생명 영역에의 적용
3. 발전관을 통한 생명 개념의 혁명
4. 인과적 필연성과 본질적 우연성
5. 발전이론 속에서의 유물론의 승리와 위기
부록 : 생명이론에 있어서의 데카르트주의의 의미
제4장 조화, 평형 그리고 생성 - 체계 개념과 이 개념의 생명체에 대한 적용
제5장 신은 수학자인가? - 물질 대사의 의미에 대하여
1. 문제제기
2. 자연의 수학에 대한 고대적 의미와 현대적 의미
3. 고전적 창조론과 유대적-기독교적 창조론
4. 이원론의 수확 : 영혼과 정신을 결여하고 있는 자연
5. 수학자인 신(神)이 생명체를 바라보다
6. 살아 있는 신체가 보여주는 반증
7. 형상과 질료
8. 변증법적인 자유
9. 신적인 수학자 : 그의 시각에 대한 비판
10. 신체적인 인식 주관의 우월성
부록 1 : 자연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의 수학의 그리스적 사용
부록 2 : 화이트헤드의 생명체의 철학에 대한 언급들
제6장 운동과 감정 - 동물영혼에 대하여
제7장 인공지능학과 목적, 한가지 비판
부록 : 유물론, 결정론 그리고 정신
제8장 시각의 고귀함, 지각의 현상학을 위한 탐구
1. 모상(模像)의 동시성 또는 시각의 시간적 측면
2. 역동적인 중립화
3. 공간적 간격
제9장 모상화하는 인간 : 모상화의 자유에 대하여
들어가기 전에
1. 모상(模像)이란 무엇인가?
2. 유사성에 대한 지각
3. 시각적인 지각에 있어서의 추상화와 모상성
4. 싱상과 모상화의 형상적 자유
5. 이름과 상(像)의 보편성
6. 방법적 실험의 결과
제9장에서 제10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 생명체의 철학에서 인간철학으로
제10장 이론의 실천적 사용에 대하여
제11장 그노시스, 실존주의 그리고 허무주의
1. 인간의 고독 : 파스칼에서 니체까지
2. 인간과 세계의 그노시스적 이분화
3. 부분과 전체에 대한 이론의 몰락
4. 고대와 현대의 반법칙주의
5. 현재가 없는 시간성
6. 자연의 무관심
제12장 불명성과 오늘날의 실존
한스 요나스 연보
<생명의 원리>의 내용
<생명의 원리>의 과제와 방법
한스 요나스의 생명철학 해설
감사의 말
찾아보기
책속에서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이란 살려고 애쓰는 특성을 가진 존재이며, 죽음과 모험에 노출되어 있는 존재이다. 생명의 원리는 자유이다. 자유는 가장 원시적이고 낮은 수준의 생명체에서 시작하여 그 이상의 모든 생명체에게서도 실현되고 있다. 가장 원시적인 생명체의 전(前)자각적 자극반응도 그 생명체가 자신의 가능성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기존의 한계를 박차고 나오는 것이기 대문에 이미 가장 기초적인 형태의 자유이다. 모든 생명체의 물질대사도 기초적인 형태의 자유이며, 동물생명의 이동장소, 감각과 정서능력도 자유의 양태들이다. 더 진화된 생명체일수록 더 높은 수준의 자유를 보여준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유 가운데에서도 초월하는 자유 때문에 인간이라는 생명체는 구체적으로 사는 실존의 차원에서 본질과 초감각적인 것의 지평을, 유한한 시간의 지평에서 영원의 지평을, 조건적인 것에서 무조건적인 것의 지평을 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