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06 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

2006 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

(대지에의 경의, Homage to the Earth)

이태호 (지은이)
아트북스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53,1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06 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06 부산비엔날레 부산조각프로젝트 (대지에의 경의, Homage to the Earth)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조각
· ISBN : 9788989800774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06-11-21

책 소개

2006 부산비엔날레의 특별전으로 해운대 APEC 나루공원에서 열린 '부산조각프로젝트(2006.5.27~8.31)의 공식 카탈로그. 행사에 참여한 국내외 작가 총 20명의 작품을 실제 전시된 모습 그대로 간단한 작품설명과 함께 보여주고 있으며, 이태호 전시감독의 서문과 미술평론가인 최태만의 전시 리뷰를 실어 전시 주제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목차

전시감독의 글: 대지에의 경의_이태호
리뷰: 조각공원, 도시의 산소탱크가 될 수 있는가?

사이트 맵
전시감독 및 전시팀장 소개

참여 작가
레너드 헌터 | Leonard Hunter
오상욱 | Oh, Sang-uk
아그네스 아렐라노 | Agnes Arellano
정수모, 정하응, 송필 | Jung, Soo-mo·Jung, Ha-eung·Song Pil
리 후이 | Li Hui
지롤라모 츌라 | Girolamo Ciulla
미구엘 이슬라 | Miguel Isla
미하 울만 | Micha Ullman
베르너 포코르니 | Werner Pokorny
타놈칫 춤웡 | Thanomchit Chumwong
백성근 | Paik, Seong-geun
박봉기, 안시형, 문병탁 | Park, Bong-ki·Ahn, Si-hyung·Moon, Byung-tak
칸 야수다 | Kan Yasuda
안케 멜린 | Anke Mellin
김광우 | Kim, Gwang-woo
천성명 | Chun, Seong-myung
차주만 | Cha, Joo-man
N. N. 림존 | N. N. Rimzon
리처드 해리스 | Richard Harris
루 핀창 | Lu, Pin-chang

좌담: 작품, 관객, 환경이 함께하는 ‘살림’의 공간
스태프

저자소개

이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생. 홍익대학교 미술대 조소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계간미술』기자로 근무하다가 미국으로 유학하여 뉴저지 몽클레어 주립대학원을 다녔다. 뉴욕 일대에서 개인전과 그룹전을, 귀국 후 3회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광주 비엔날레 등에 출품했다. 《아시아의 지금》(2003), 부산 비엔날레 ‘부산 조각 프로젝트’(2006), ‘공공미술 낙산 프로젝트’(2006), 《입양인, 이방인-경계인의 시선》(2007), 《Women Artists In Action》(2007, 샌프란시스코) 등 다수의 국제전을 기획했고 감독을 맡았다. 번역서로는 동시대 미술에 대한 관심으로 테리 바렛의 『미술비평-그림 읽는 즐거움』(아트북스)과 엘리너 허트니의 『포스트모더니즘』(열화당)이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미술대 교수로 재직하며 젊은 미술인들이 자본의 횡포에 치이지 않고 자유롭게 작업과 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길을 고민하고 있다. 또한 낙산공공미술연구소를 운영하며 미술이 존중과 사랑을 받으며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지와 예술작품, 일상이 자연스럽게 만나는 일상 속의 예술공간을 만들기 위해 조각공원의 조성이 일회성 사업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실현 가능한 도시문화 창출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은 우리 모두의 소망일 것이다. 기획자가 강조했듯이 조각공원은 설치된 예술작품의 수용과 향수를 강요하는 듯한 예술의 전당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는 물론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도시의 산소탱크가 되어야 할 것이다. - 본문 24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