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9118595402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4-2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Ⅰ. 미술, 사람들과 함께하다
1. 우리는 모두 사진 예술가 - 슈팅 백 프로젝트
벼랑에 선 사람들, 관심에 굶주린 아이들 | 슈팅 백 프로젝트 | 인디언 보호구역으로의 확대 | 예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2. 달동네에 색채의 옷을 입히다 ? 브라질의 파벨라 페인팅 프로젝트
범죄의 온상이 된 파벨라 | 두 이방인의 벽화 그리기 | 파벨라 페인팅 프로젝트 | 산타마르타의 프라사 칸탕 프로젝트 | 다양한 반응들
3. 낙서화를 따라 관광코스가 만들어지다 ? 게릴라 아티스트 뱅크시
뱅크시가 체포됐다고? | “그 그림은 당신 것이오” | 낙서화를 따라 관광코스가 만들어지다 | 뱅크시 작품을 주목하는 이유 | 도발적인 작품들 | 뱅크시 작품의 힘 | 뱅크시라는 인물 | 유머 속에서 빛나는 진지함
4. 미술을 가르친다는 것 ? Tim Rollins+K.O.S.의 사례
비교육적 환경에서 시작한 미술교육 | 방과 후 학교, 미술과 지식의 학습장 | 생존한 아이들 | 읽고 토론하고 생각하고 그리기 | 같지만 다른 책장 위의 그림
5. 평범한 이웃에게 바치는 존경과 사랑 ? 존 에이헌의 실물 조형
사우스 브롱스 사람들 | 사우스 브롱스 명예의 전당 | 아파트 벽에 설치된 작품들 |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찬사 | 구체적인 이름들
6. 상처를 치유하는 조형물 ? 마야 린의 「월남전 참전용사 기념비」
하늘로 솟지 않은 기념비 | 방문객과 대화하는 벽 | 반대 여론을 딛고 일어서다 | 상처를 치유하는 조형물 | 수직구조에서 수평구조로
Ⅱ. 미술, 세상에 맞서다
1. 세상은 정의로운가 ? 알프레도 자르의 작품 세계
이미지는 순수하지 않다 | 강대국의 횡포 고발하기 | 「지리 = 전쟁」 | 르완다 프로젝트 | 슬픈 「구테테 에메리타의 눈」 | 광주 비엔날레와 실패한 작품? | 개념미술과 시대정신 | 「베네치아, 베네치아」 | 미술계부터 문화제국주의를 철폐하자 | 알프레도 자르의 표현방식
2. 전쟁의 진실을 전하는 사진의 진실 ? 예술노동자연합의 사회적 참여
「아기들도?」의 탄생 | 흑백필름과 컬러필름 | 예술노동자연합의 문제제기와 실천 | 미술관의 권위와 관습 허물기
3. 68혁명, 새로운 세계를 향한 질주 ? 68혁명의 꽃이 된 민중공방의 포스터
1968년, 전 세계가 열병을 앓다 | 실패한 정치혁명, 성공한 문화혁명 | 희망과 분노의 나날들 | 분노한 학생들 | 바리케이드의 밤 | 미술대학 점거와 민중공방의 결성 | 익명의 포스터들 | 불꽃처럼 타올랐던 50일
4. 백인 남성의 지배에 도전장을 던지다 ? 게릴라 걸스의 선전포고
차별과 편견 드러내기 | 미술계의 양심 | 벽보 붙이는 여자들 | 가면을 쓰고 이름을 숨기고 | 유머로 다가가는 비판 | 여성차별에서 인종차별로 | 게릴라 걸스의 과거와 미래
Ⅲ. 미술, 그 시대정신
1. 이 깃발은 누구의 깃발인가 ? 우리 땅에서 우리를 이방인으로 만드는 것
서울대학교 문장이 말하는 것은? | 우리의 전통은 무엇인가 | 일본과 중국 국립대학의 문장들 | 무엇이 우리를 이방인으로 만드는가
2. 살색은 어떤 색인가 ? 다문화 사회 속, 한국미술의 정체성
인상파가 백인의 미술이라고? | 백인은 백인미술, 흑인은 흑인미술, 그러면 우리는? | 금발 인형과 함께 자란 우리 아이들
3. 공공을 위한 미술, 개인을 위한 미술 ? 공공미술의 양적 확대와 질적 결핍
회화의 역사는 벽화에서 시작되었다 | 공공성에서 멀어진 현대미술 | 모던아트의 진전과 변화 | 한국 공공미술의 변천 | 조각의 수적 우세와 벽화의 빈곤 | 이제는 공공미술의 가치와 질을 거론할 때
4. 퇴폐미술의 반란 ? 나치가 기획한 《퇴폐미술전》
엉터리 화가에 대한 분노 | 《퇴폐미술전》에 몰려든 인파 | 자유와 아방가르드에 대한 나치의 증오
5. 미술에 나타난 전쟁 ? 미술은 전쟁과 폭력을 어떻게 묘사하나
폭력과 잔혹의 이미지들 | 전쟁에 대한 객관적 묘사 | 20세기의 전쟁과 미술 | 반기념비의 출현 | 월남전, 그 이후 | 한국미술에 나타난 한국전쟁 | 한국미술은 왜 전쟁 표현에 소극적인가 | 한국미술은 우리 삶의 다양함을 포괄하고 있나
인명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우리 미술이 보다 다양하고 활달해졌으면 한다. 그리고 작가 혼자 느끼고 즐기는 미술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계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예술이 보다 많아졌으면 하고 바란다. 여기의 글들이 미술로부터 소외되는 사람들을 줄이고, 미술을 즐기는 사람을 늘리는 일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책머리에>
예술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디온은 어느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내게 슈팅 백 프로젝트가 없었다면, 지금쯤 나는 어느 길모퉁이에서 마약을 팔고 있거나, 돈을 얻기 위해 누군가를 쐈을 거예요.”
<우리는 모두 사진 예술가 - 슈팅 백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