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독서에세이
· ISBN : 9788990024480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5-12-16
책 소개
목차
1. 책과 교양
교양이란 무엇인가/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진정한 교양을 위해 해야 할 일/ <신곡>을 읽는 방법
2. 역사
역사책들에 대하여/ 역사철학의 주제들/ 역사서술의 객관성과 당파성/ 역사를 보는 두 관점
우파 역사가의 거대서사/ 역사와 당대의 현실
3. 근대
개인주의/ 아동의 탄생/ 근대사의 주제들/ 자연과학이란 무엇인가/ 칼 마르크스
정념과 오성: 마르크스의 경우/ 자본가 계급과 지식인: 공병호의 경우/ 안토니오 그람시
벤야민과 파사젠베르크/ 도시와 근대성/ 자본주의 시대의 사랑과 상품
칸트와 마르크스의 '윤리적 개입'
4. 파시즘
파시즘의 정의/ 파시즘의 근본원리/ 파시즘에 있어서 '대중의 국민화'/ 스타일과 파시즘
상징의 정치화, 정치의 심미화/ 계몽주의와 '민족정신'/ 나치 시대의 지식인/ 현대의 인종주의
시민공동체와 파시스트적 잔재의 청산/ 공화주의에 대하여
5. 전쟁
전쟁, "잔인한 교사"/ 총력전의 뒤끝/ 전선기자에 대하여
6. 한국과 동아시아
조선 유학의 한계/ 조선 사회의 유교적 변환/ 주희의 커리큘럼과 조선의 관학官學
<논어>를 둘러싼 계면쩍은 장면/ 매천 황현이 파악한 구한말/ 구한말 유자儒者가 파악한 세계
식민지 조선과 세계/ 한국 현대사의 공포/ 해방공간의 시대정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대부들만의 교양의 총화라 할 수 있는 성리학적 세계가 파탄에 이른 뒤 구한말과 일제 식민지배 시대를 거치면서, 그리고 잠시도 쉴 틈 없이 현대사를 겪어온 한국인들에게도 교양은, 극단적으로 말하면, '치장'이나 '우아 떨기'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제 이것을 넘어서 진정한 의미의 '이론과 실천의 도야'를 이루려면 어찌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 본문 1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