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포브스 100대 기업] > 삼성
· ISBN : 9788990106643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08-06-20
책 소개
목차
서문
한국어판 서문
1장 변화하는 삼성: 재벌에서 초국적기업으로
1. 잿더미 속에서 일어나다
2. 개발주의에 편승한 삼성
3. 수출 전사 되기 그리고 노동 전사로 살아남기
4. 삼성의 세계화와 노동의 시장화
5. 글로벌 삼성 만들기
6. 삼성 ‘주인’ 혹은 ‘노예’의 눈물과 기쁨
7. 도전 받는 무노조 정책
제2장 삼성화인가 중국화인가 : 중국 삼성전자의 노동관계
1. 재벌기업 삼성의 성장과 노사 관계의 삼성화
2. 초국적 기업 삼성의 중국 진출과 성과
3. 삼성의 자본과 노동전략: 중국 국유기업 개혁과 노동의 비정규직화
4. 세계 시장 경쟁의 강화와 중국 노동자
제3장 초국적 기업에서의 노동조건 : 삼성 인디아의 경우
1. 인도 전자산업과 한국 기업의 진출
2. 삼성전자 인디아의 노동조건
3. 저임금, 불안정한 노동조건과 인도 노동자의 미래
제4장 삼성 타이 : 직접적 노사관계의 회피
1. 삼성의 동남아시아 거점, 태국
2. 삼성전기 타이의 노동 유연화 전략과 노조의 대응
3. 태국의 전자산업 발전 정책과 노동자
제5장 정부-초국적기업 동맹과 삼성 말레이시아 노동자
1. 삼성 말레이시아의 성공과 경영 전략
2. 삼성 말레이시아 노동자와 노동조건
3. 삼성 말레이시아의 노사관계와 무노조 전략
4. 말레이시아 정부와 외국 기업의 긴밀한 관계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기업 노동자들의 거듭된 파업과 연이은 노조 결성 시도는 중공업화를 통해 재벌이 누리던 상대적 우위가 더는 노동자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중공업이 수출과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이 됨에 따라 더 강한 협상력을 갖춘 노동자들이 더 많은 경제적 보상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권리를 민주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정치적 보상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중공업 부문 노동자들의 높아지는 열망으로 말미암아 재벌 사업장 역시 노동 운동으로부터 더는 자유로울 수 없었다. 재벌들은 위기에 처한 듯했다. 단순히 다각화되고 독점적 사업에서 추가 이윤을 벌어들이는 재벌이라는 것만으로, 그리고 이 추가 이윤 가운데 일부를 노동자들과 나눈다는 것만으로 무노조 정책을 고수하기란 어려웠다. 국가 역시 무노조 정책을 더는 보장해 줄 수 없었다. (55쪽, '1장 변화하는 삼성: 재벌에서 초국적 기업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