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88990828217
· 쪽수 : 173쪽
· 출판일 : 2005-08-05
책 소개
목차
'칸의 탄생' 이전
1. 구축의 시작 _ 조용한 혁명 - 예일 대학 아트갤러리
2.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 필라델피아 교통 연구
3. 칸 철학의 '원형' 등장 - 유태인 커뮤니키 센터, 바스하우스
4. 구체화된 '구축의 질서' - 펜실베이니아 대학 리처드 의학연구동
5. '빛과 그림자'의 영감과 룸으로서의 '창' - 마가렛 에슈릭 주택
6. '중정'의 발견 - 솔크 생물학연구소
7. '모임'을 표현하고 '켜 구성'을 인식하며 - 제1 유니테리언 교히
8. 마을을 향해 열려 잇는 건물 - 포트웨인 무대예술극장
9. 공간과 형태로 표상된 '공동성' - 브린모어 대학 어드먼홀
10. 공간의 위계성을 벗어나 '병치'로 - 노만 피셔 주택
11. 벽돌과 콘크리트로 된 '고대 폐허의 원초성' - 필립 엑서터 아카데미 도서관
12. 구축된 '중성적인 존재로서의 건축' - 킴벨 미술관
13. '내부공간성'을 지양하고 일상적인 표정을 연출하며 - 베스엘 회당
14. 파사드와 내부공간에 조성된 거리 - 예일 대학 영국미술연구센터
칸의 교훈
후기
루이스 칸 약력
답사 길잡이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연구실 내부에 발을 들여놓으면 칸이 의도한 것의 의미를 어렴풋이 알 것 같다. 마치 연구실로 이루어진 집합주택과 같은 인상을 받는다. 예를 들어 어느 연구실에서 한 연구자가 밤늦게 창문을 통해 밖을 내다보면 가까운 곳에서 불빛이 켜진 다른 연구실이 보여서 '아, 저기 있는 사람들도 아직 열심히 연구하고 있구나'라며 격려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연구실 하나하나가 마치 한 채 한 채의 주거처럼 각각이 고유한 표정으로 설계되어, 자연과 '마을의 불빛'과도 같은 온화한 분위기가 감돈다. 따라서 연구실이 복도를 따라 일렬로 늘어서 있는 종래의 건물과는 달리 독특한 투명감이 느껴지는 것 같다. 이러한 특징은 건물 설계의 중심 테마를 이곳에서 일하는 연구자 한 사람 한 사람의 개별성을 분명히 표현 하는 데에 두고, 하나의 건물을 만드는 것은 하나의 가로를 만드는 일과 같은 의미를 가지는 행위라는 그의 건축 철학에서 비롯된 것이다.
- 본문 55쪽, 구체화된 '구축의 질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