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0828224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05-08-05
책 소개
목차
황홀경의 바로크
1. 바로크 도시 - 끝없이 펼쳐지는 쾌락
성도 로마의 계획
포폴로 광장
나보나 광장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 광장
후기 바로크 로마의 도시 공간
절대왕정의 바로크 수도, 토리노
2. 로마 바로크 - 극적 공간
로마 바로크 _ 베르니니와 보로미니
베르니니 _ 연극적 종합예술로서의 바로크
성 베드로 성당의 발다키노
코르나로 성당
성 베드로 광장, 스칼라 레지아
3개의 교회 _ 극장으로서의 집중식 교히
보로미니 _ 여기(勵起)된 기하학
파동벽 _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상이한 형태의 병치
여기된 벽화
전체를 뒤덮은 거대한 용기
3. 피에몬테 바로크 - 중층으로 된 기하학
구아리노 구아리니 _ 무한 투상
카펠라 산티시마 신도네
산 로렌초
필리포 유바라 _ 여기된 생체적 표현
베르나르도 비토네 _ 무한 변용 공간
산튜아리오 델라 비지타치오네
산 루이지 곤차가
산 베르나르디노
산타 키아라(브라)
산타 키아라(토리노)
산타 마리아 디 피아차
후기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교묘한 건축적 장치를 통해 이 성 안드레아 상고 천상(랜턴) 사이의 연결은 극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우선 힘차게 굴곡치는 엔타블러처는 간결하게 매듭지어진 아래 부분의 지상계와 윗부분의 천상계를 구획함으로써 두 세계의 구분을 극적으로 돋보이게 한다. 그리고 돔 아래쪽에 수직적 영역(드럼)을 설치하여 공간의 수직성.극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돔과 드럼이 명확하게 구별되면 이 수직적 효과도 줄어들지만, 이 건물에서는 드럼에 뚫려진 개구부가 돔까지 연장됨으로써 돔과 드럼은 하나로 융합되어 있다. 랜턴에서 들어오는 한줄기 힘찬 빛 아래에서 돔 전체가 신비로운 승천극의 장이 되고, 넓고 장대한 광경이 나타난다.
- 본문 77쪽, '로마 바로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