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정일 이후의 한반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095911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4-12-29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095911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4-12-29
책 소개
북한 정치와 유사국의 선례를 통해 미리 살펴보는 북한 및 한반도의 정치적 변화상. 지은이는 북한 내부의 경제 상황 변화에 주목하고, 북한을 향한 외부 영향 및 체제 교체 확률에 관한 계량분석 모델을 직접 개발해 후속 정권의 성격 및 체제 교체의 과정과 영향을 상세하게 예측한다.
목차
추천사
역사 서문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감사 말씀
1. 북한의 정치적 변화
급격한 정치 변화인가 또는 북한은 혁명 (전) 단계 사회인가?
북한이 붕괴할 것인가, 붕괴하지 않을 것인가?
2. 체제 전환의 모델
모델의 배경
경과
3. 체제 전환의 과정
2002년 7.1 경제관리 개선 조치
점진적 통합
급진적 통합
4. 한국에 미치는 영향
포용의 경제학
맺는말
부록 - 자료부록 / 참고문헌
책속에서
한국이 북한의 점진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고 가정해보자. 김정일이 북한에서 개혁의 길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서울이 김정일의 뒤를 이을 개혁적인 새로운 정치 체제의 옹립에 성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이 경제 통합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까? 이 시나리오의 핵심은 두 개의 독립국가를 유지하면서 정치, 경제적으로 충분히 통합을 이루어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는 또한 두 개의 독립국가가 장기간에 걸친 협상을 통해 더욱 심도있는 통합을 추진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는 북한의 붕괴를 막으면서 북한의 정치, 경제 시스템의 충분한 개혁을 이루어내 한국과 일정 수준의 통합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 본문 106쪽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