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의 선택 (위기의 북한 경제와 한반도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74424657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7-08-13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74424657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7-08-13
책 소개
북한의 기근을 이해하지 않고는 한반도 평화에 대한 전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기근에서 파생된 현재 북한의 문제들과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 책. 기근으로 인해 북한에서는 북한 사회에 너무나 깊은 상처가 새겨졌으며, 이 상처가 현재 북한의 경제 및 정치적 위기의 요인이 되고 있다고 파악한다.
목차
서론Introduction
Chapter 01 북한의 기근, 원조 및 시장
PART Ⅰ 기근에 대한 전망
Chapter 02 대기근의 발단
Chapter 03 불행의 분배: 기근과 식량 배급제의 붕괴
PART II 인도주의적 원조의 딜레마
Chapter 04 원조 정권: 모니터링 문제
Chapter 05 전용
Chapter 06 원조의 정치경제학
PART III 변화하는 북한에 대한 논의
Chapter 07 대처, 시장화 및 개혁 : 새로운 취약요소
Chapter 08 국제적, 비교적 관점에서의 북한
책속에서
평양은 쭉 1위를 차지했고, 때로는 다른 도에 비해 1인당 배급량이 2배에 가깝기도 했다. 자강도와 황해남도의 곡창지대 역시 높은 배급량을 보였지만, 남포와 개성 그리고 북서 및 북동부에 우치한 도는 훨씬 생활이 어려웠다. 정부는 1998년 추수 후 곡물 배급량을 현저하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분배가 고르게 되었는지 의심스럽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최악의 기근이 지나갔다.-p117 중에서
기근은 반감기가 길다. 심각한 식량난의 영향은 단기적으로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타격을 입은 정치와 사회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반향 된다. 가령 이사를 가고, 식량을 구하러 다니고, 자산을 팔고, 물물교환을 하고, 시장거래를 하는 등 대처 행동을 해야 하며, 이는 경제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p241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