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록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전통주 연구가
○ 전남 해남 출생으로, 조선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 자연자원대학원 식품공학과에서 식품가공학을 공부했다. 주요경력으로 전문지 <청소년>을 비롯하여 <월간 식생활>지 편집장을 지냈다.
○ 창작활동으로 전문지 <현대시조> 2회 추천 완료와 <한국시학> 신인작품상, <광주일보> 신춘작품상(시 부문) 및 <월간문학> 신인작품상(시조 부문) 당선으로 문단에 나왔다. 현재 한국문인협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원, 현대불교문인협회원, 광주일보신춘문학회원, 새솔문학회장 등 창작과 문단활동을 하고 있다.
○ 전통주 연구활동으로 ‘한국의 전통주와 떡 축제’ 추진위원 겸 심사위원, 경기도 ‘경기명주’ 심사위원, 농림부 주최 ‘BEST 5’ 선정 전통주 부문 심사위원, 전통주표준화심의위원, G20 정상회의자문위원, 경기도문화재위원,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우리술훈련교육기관협의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 9월 전통주 교육을 통한 전통양주 기술보급과 가양주 활성화 등 전통주 산업진흥에 대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 그 외 중요무형문화유산 ‘문배주’와 ‘면천두견주’ 기록영화 자문 및 집필을 했으며, 특히 지난 20년간 국내 전통주 및 가양주에 대한 현장조사와 발굴활동을 비롯하여 그동안 잊혀지고 맥이 끊긴 전통주 850여 종을 재현해 기술전수에 전념했다. 또한 ‘술방사람들’ 및 전국적 조직인 ‘탐주회’ 회원들을 배출했으며, 전통주품평회와 가양주가꾸기운동, 찾아가는 양조장 답사, 주품 및 계절별 주안상 및 주기개발 전시회, ‘박록담의 시주풍류회’를 통한 지역 술 알리기와 대한민국명주대상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통주 대중화 운동과 고유 음주문화 확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현재 사)한국전통주연구소 소장으로, 국내 최초로 전통주 교육기관인 연구소 부설 ‘전통주교육원’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작품집 및 저서로 시집 <겸손한 사랑 그대 항시 나를 앞지르고>(도서출판 산방), <그대 속의 확실한 나>(문학과지성사), <사는 동안이 사랑이고만 싶다>(조선문학), <박록담의 시주풍류>(바룸출판사)가 있으며, 전통주 관련 저서로 <한국의 전통민속주>(효일문화사), <우리의 부엌살림>(공저, 삶과꿈), <명가명주>(효일문화사), <우리 술 빚는 법>(도서출판 오상), <우리 술 103가지>(공저, 도서출판 오상), <다시 쓰는 주방문>(바룸출판사), <양주집>(공저, 코리아쇼케이스), <전통주 비법 211가지>(코리아쇼케이스), <버선발로 디딘 누룩>(공저, 코리아쇼케이스), <꽃으로 빚는 가향주 101가지>(공저, 코리아쇼케이스), <문배주>(국립문화재연구소), <면천두견주>(국립문화재연구소), 영문 해외보급판 <술(SUL,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전통주 주방문(전5권 세트, 바룸출판사)>, <주찬방 주해>(공저, 글누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