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91105805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2-07-05
책 소개
목차
1. 간추린 신라사
■ 56대, 992년의 역사
■ 박혁거세, 왕이 되다
■ 현명한 자, 이사금
■ 김씨, 마립간이 되다
■ 석가모니와 같은 집안 성골왕
■ 통일을 성취한 집안
■ 155년간 20명의 왕
■ 선종(禪宗), 호족이 믿는 구석
■ 경순왕의 항복
2. 천년 왕국의 수도 경주
■ 경주 분지와 방리제
■ 90만 명의 인구
■ 국제적 감각이 넘치던 도시
3. 신화의 시간
1. 나정(蘿井)
■ 알을 깨서 꺼낸 박혁거세
■ 신화에 담긴 비밀
■ 나정은 우물이 아니다
2. 오릉(五陵)
■ 박혁거세의 죽음이 수상하다
■ 계룡이 낳은 알영
■ 박혁거세 왕의 사당 숭덕전
3. 치밀한 사내, 석탈해
■ 알을 깨고 나온 석탈해
■ 수로왕과 겨루기
■ 탈해왕의 무덤
■ 화백회의의 시작 표암
4. 황금유물로 가득한 돌무지덧널무덤
■ 주거지와 공존한 왕릉
■ 무덤이 거대해진 이유
■ 독특한 구조, 돌무지덧널무덤
■ 무덤의 양식이 변하는 이유
■ 표주박 모양의 무덤
■ 무덤의 이름을 정하는 원칙
■ 금관은 장례용품
■ 금관의 형태 분석
■ 금관과 함께 출토되는 허리띠
■ 관모와 관식
5. 무덤 사이를 걷는 즐거움, 대릉원
1. 죽어서도 나라를 지킨 미추왕릉
2. 경주에서 가장 큰 황남대총
■ 황남동의 큰무덤
■ 유리제품, 로마에서 오다
3. 무덤 내부를 볼 수 있는 천마총
■ 돌무지덧널무덤의 생김을 확인하는 곳
■ 천마총에서 발견된 말다래
4. 대나무가 자라는 검총
6. 노동동, 노서동 고분군
1. 금관이 최초로 발견된 금관총
■ 금관총 발굴비사
■ 재발굴된 금관총
■ 금관총은 누구의 무덤인가?
■ 금관총에서 발굴된 유물
2. 어린아이의 무덤 금령총
■ 금방울이 출토되다
■ 금령총 금관의 수난
3. 화려한 신발바닥이 나온 식리총
4. 스웨덴 황태자가 발굴한 서봉총
■ 기차역에 흙을 공급하기 위해 발굴
■ 연수원명 은합
■ 서봉총 유물의 수난
■ 데이비드총
■ 서봉총과 데이비드총의 재발굴
5. 고구려가 담긴 호우총
■ 우리 손으로 한 첫발굴
■ 지하 2m에 설치한 덧널
■ 고구려 그릇 호우
■ 광개토태왕을 기념하는 호우
6. 돌방무덤의 공존
■ 소뼈가 발견된 우총
■ 말뼈가 발견된 마총
■ 두 명을 합장한 쌍상총`
7. 천년 왕국의 궁궐
1. 월성(月城)
■ 첫 궁궐은 남산자락
■ 석탈해와 월성
■ 신라 멸망 후 사용되지 않은 땅
■ 성벽 바닥에 묻힌 사람
■ 청양루에서 기다린 손님, 월명사
■ 귀정문에서 기다린 손님, 충담
■ 해자에 빠져 죽은 무관랑
■ 석빙고의 과학
2. 월지(月池)
■ 문무왕, 백제가 부러웠다
■ 신비로운 월지의 구조
■ 물을 공급하는 입수구
■ 신선의 세계, 삼신산과 무산십이봉
■ 연못바닥
■ 임해전
■ 월지에서 있었던 일
■ 월지에서 발견된 귀족들의 생활
■ 사라진 주사위 주령구
3. 김알지의 숲, 계림
4. 월정교와 춘양교
■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 마름모꼴 교각
■ 제대로 복원된 것일까?
■ 월정교에서 있었던 일
■ 효불효교라 불리는 춘양교
5. 첨성대
■ 첨성대에 대한 왈가왈부
■ 어떻게 오르내렸을까?
■ 첨성대의 위치에 대해
■ 다른 나라의 첨성대
8. 불교, 신라를 휘어잡다
1. 불교가 필요한 이유
■ 묵호자 불교를 전하다
■ 신라는 왜 늦었을까?
■ 이차돈 사건의 전말
■ 불교, 국가 업그레이드의 기회
■ 늦었지만 가장 발전
■ 칠처가람 이야기
2. 신라의 상징 황룡사
■ 진흥왕의 꿈
■ 규모는 크지만 단순한 황룡사
■ 국가보물 장륙존상
■ 백제인 아비지와 구층목탑
■ 황룡사대종
■ 황룡사터 발굴비사
■ 솔거의 금당벽화
3. 향기로운 황제의 사찰 분황사
■ 부처의 가호를 바라는 절박함
■ 특이한 분황사의 구조
■ 주춧돌만 남은 법당
■ 분황사 모전석탑
■ 삼룡변어정, 용궁의 변신
■ 솔거의 관음보살도
■ 자장이 머물며 불교를 정비하다
■ 첫 새벽, 원효
■ 가장 오래된 분황사 당간지주
■ 분황사 우물의 돌부처
4. 사천왕사지
■ 문두루비법으로 물리친 당나라
■ 사천왕사의 역사
■ 최초의 쌍탑가람
■ 사천왕사의 구조
■ 귀부 두 개
■ 양지라는 스님
■ 선덕여왕과 사천왕사
■ 월명사가 거닐었던 사천왕사
5. 사천왕사를 숨기기 위해 창건한 망덕사
■ 망덕요산의 절
■ 망덕사에서
6. 선덕여왕릉
■ 도리천에 묻힌 선덕여왕
■ 여왕이 탄생한 이유
■ 고신라 문화전성기
9. 석굴암, 민족문화의 자존심
■ 토함산
■ 석굴암, 창건의 전말
■ 석굴사원을 향한 열정
■ 석굴 조영의 원리
■ 조금 다른 팔부신중
■ 신라의 몸짱, 인왕상
■ 당당한 사천왕상
■ 범천과 제석천
■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 영락없는 인도인, 십대제자상
■ 미스 신라, 십일면관음보살
■ 유마거사가 앉은 감실
■ 본존불은 어떤 부처일까?
■ 부처는 웃지 않는다
■ 본존불은 언제 완성했을까?
■ 연화문 광배
■ 신비로운 돔형천장
■ 석굴암의 결로현상
■ 석굴 수리 후 남은 석조물들
10. 불국사, 경전을 걷다
1. 불국사, 화석처럼 쌓인 이야기
■ 불국사 창건 이야기
■ 불국사는 불국토를 재현한 곳
■ 신라인들에게 생소했던 곳
■ 산지에 평지처럼 건축한 곳
2. 불국사 석축 앞에서
■ 두 쌍의 당간지주
■ 구품연지
■ 백운교와 청운교
■ 볼수록 놀라운 석축
■ 범영루와 좌경루
■ 연화교와 칠보교
3. 사바세계, 대웅전 영역
■ 다보탑과 석가탑
■ 해석되지 못한 다보탑의 구성
■ 다보탑의 사자
■ 아! 석가탑
■ 석가탑의 팔방금강좌
■ 무구정광다라니경의 출현과 논쟁
■ 탑에 다라니경을 넣는 이유
■ 아사달과 아사녀 허상
■ 삼층석탑 살빼기
■ 무영탑
■ 석가탑, 다보탑은 남산돌이다
■ 다보탑은 동편, 석가탑은 서편
■ 대웅전 앞 석등
■ 신라 기단에 앉은 대웅전
■ 격조있는 공간 만들기, 회랑
■ 말을 많이 하는 무설전(無說殿)
4. 극락세계, 극락전 영역
■ 극락전
■ 신라 3대 청동불, 아미타불
5. 보타락가산 관음전
6. 연화장의 세계 비로전
■ 비로자나불의 수인이 바뀐 이유
■ 일본까지 다녀온 사리탑
■ 불국사 화장실 유구
11. 삼국통일을 이룬 집안
1. 문무대왕릉
■ 통일을 완성하다
■ 고래가 사는 바다에 뿌리다
■ 만파식적
■ 문무대왕비 발견의 전말
2. 감은사지
■ 창건 이야기
■ 바다에 접한 절
■ 감은사 삼층석탑
■ 감은사 법당의 비밀
3. 서악동 고분군
■ 태종무열왕릉
■ 우리나라 최초의 귀부와 이수■ 나라를 위해 인질이 된 김인문
■ 화합의 아이콘 김양
4. 흥무대왕 김유신묘
■ 신라왕릉의 12지신상
12. 천년 왕국의 멸망
1. 포석정
■ 경애왕은 억울하다
■ 유상곡수연을 즐기던 포석
2. 멸망의 원인 골품제
■ 어느 나라에나 신분제는 있었다
■ 실생활 전반을 관여했던 골품제
■ 성골과 진골
■ 건국의 주체 6부촌장
■ 6두품이 불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