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91131521
· 쪽수 : 561쪽
· 출판일 : 2010-02-26
목차
제1장 수산자원 연구의 분야와 역사
1. 개관
2. 수산자원 연구의 목적
3. 수산자원 연구의 분야
4. 수산자원 연구의 역사
제2장 수산자원과 환경
1. 수산자원의 특징과 어업환경
2. 수산자원의 물리적 환경
3. 수산자원의 화학적 환경
4. 수산자원의 생물학적 환경
5. 수산자원의 지질학적 환경
6. 수산자원의 생물지리적 환경
7. 내수면환경
8. 기후와 수산자원
제3장 수산자원의 종류와 계군
1. 수산자원의 종류
2. 주요 수산자원의 생물
3. 수산자원의 단위와 계군
4. 수산자원의 변동요소
제4장 수산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1. 이동과 회유
2. 섭식과 생에너지역학
3. 에너지와 호흡
4. 소화와 배출
5. 감각기관
제5장 수산자원생물의 재생산과 가입
1. 개체군 성숙과 산란
2. 개체군의 초기감소와 가입과정
3. 어구의 선택성
제6장 수산자원생물의 연령과 성장
1. 연령과 연령조성
2. 개체의 성장식
3. 매개변수 추정방법
제7장 개체군의 양적변동
1. 개체군의 사망
2. 개체군의 양적 변동
3. 잭나이프 및 붓스트랩 방법
4. 수산자원 생물의 생산량과 회전율
제8장 자원량 추정법
1. 간접추정법
2. 해양조사에 의한 직접추정법
제9장 수산자원의 평가
1. 개관
2. 잉여생산량 모델
3. 가입당 생산량 모델
4. 재생산 모델
5. 지연차분 개체군 평가모델
6. 기타 개체군 평가모델
7. 다종자원 복수어구어업 평가
제10장 수산자원의 관리와 개발
1. 자원관리와 어업규제
2. 자원관리의 목표
3. 자원관리 방법
4. 잠재생산량과 개발전망
제11장 생태계기반 자원평가 및 관리
1. 개관
2. 수산자원관리 개념의 변천
3. 해양생태계 모델
4. 해양생테계 기반 어업자원 평가 및 관리
부록
부록1. 사용된 기호와 약어
부록2. 회귀분석
부록3. Leslie 행렬에서의 고유치의 생물학적 의미
부록4. Pope 모델의 간편식 유도과정
부록5. Pella and Tomlinson 모델의 미분방정식 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