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해양과학
· ISBN : 9791198197092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발간 취지문
축사
프롤로그
바다와 인간: 인간의 의지, 윤리와 겸허 _ 김우창
1 해양진출|원양어업 그리고 극지와 태평양 진출 _ 장순근
1. 원양어업
2. 극지 연구
3. 태평양 해양 연구
2 해양과학과 기술
2 해양과학과 기술|책으로 살펴본 한국의 해양과학 _ 김웅서
1. 조선의 해양과학 도서
2. 1900년대 초·중반해양과학도서
3. 1900년대 후반 해양과학 도서
4. 2000년대 해양과학 도서
5. 해양과학의 현재와 전망
3 해양자원|왜 자원의 보고인가, 해양자원의 세계 _ 강정극
1. 해양자원
2. 천해저광물자원
3. 심해저광물자원
4. 해양석유와 가스
5. 해양에너지자원
4 해양환경|한국 연안해역의 환경과 생태계 관리 _ 고철환
1. 환경과 생태계의 관계
2. 해양환경·생태계관리와해양수산발전기본법
3. 해양환경종합조사 및 해수수질, 퇴적물환경평가
4. 환경관리해역: 육역·해역의통합관리
5. 해양보호구역과 해양생태계
6. 해양환경 관리의 핵심은 ‘공간관리’
5 해양영토/해양정책|한국 해양정책의 연혁적 고찰 _ 권문상
1. 해양의 가치 변화와 갈등
2. 해양정책의 개념
3. 해양수산행정 조직의 변천 과정
4. 해양정책의 변천 과정
6 해양산업|해운·조선·물류, 항만산업의 성장 _ 정필수
1. 공급망시대
2. 해운산업의 현황과 전망
3. 조선산업의 현황과 전망
4. 물류산업의 현황
5. 항만산업의 현황과 전망
6. 해양대국의 꿈, 지구촌 해상물류 체제 완비
7 어업과 수산|한국의 어촌 문화와 어업의 미래 _ 장창익
1. 식량산업으로서 수산업과 어업
2. 해양어업의 역사
3. 어촌 생활사
4. 21세기의 해양어업
5. 해양어업의 미래
8 해양과 민족문화|한민족의 해양문화와 해양예술 _ 이형대
1. 해양과 한민족의 생활문화
2. 한민족의 해양신앙과 해양의례
3. 해양문학과 해양예술
9 해양사|한국 해양사의 전개와 전환 _ 강봉룡
1. 한국 해양사: 바다로 한국사 보기
2. 삼국시대: 태동기, 연안해로의 시대
3. 통일신라~고려시대: 융성기, 황해횡·사단해로및해양실크로드의시대
4. 조선시대: 전환기, 해금의 시대
5. 근현대의 해양 담론: 해양의식 고취 노력과 ‘신반도적성격론’ 제안
10 해양법|해양법의 역사 그리고 영역 _ 이석용
1. 갈등을 해결하는 역할, 해양법
2. 해양법의 흔적과 시작
3. 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바다
4. 국가의 경제적 관할권이 미치는 바다
5. 국가관할권 이원의 바다
11 해양교육과 진로|해양교육, 어디까지 왔나 _ 최중기
1. 해양교육
2. 해양진로
3. 우수 인력의 진입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
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바다와 인간: 인간의 의지, 윤리와 겸허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노(老)항해사의 노래(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는 바다, 항해 그리고 선박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도덕적 반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의 시에서 다루어진 항해 이야기는 도덕적 의의로 요약된다. 되풀이하건대, 이 가사(歌辭)의 요지는 항해에 대한 서사(叙事)가 아니라 그것에 깃들어 있는 도덕적 알레고리다.
원양어업 그리고 극지와 태평양 진출
우리나라는 두 방향으로 해양에 진출했다. 하나는 원양어업이며, 다른 하나는 극지와 태평양 진출이다. 원양어업 진출 목표가 경제성장이라면, 극지와 태평양 진출은 경제성장 외에도 과학연구가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였다.
책으로 살펴본 한국의 해양과학
우리나라에서 해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우리의 오랜 역사를 돌이켜볼 때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많은 사람이 한 번쯤 들어보았을 해양과학 관련서적이 발간된 시기도 200여 년 전부터다. 조선 후기인 1800년대 들어서 《우해이어보》, 《자산어보》, <전어지> 등 해양생물을 과학적으로 기술한 도서가 발간되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