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해양과학문화의 현재와 미래

한국해양과학문화의 현재와 미래

김우창, 장순근, 김웅서, 강정극, 고철환, 권문상, 정필수, 장창익, 이형대, 강봉룡, 이석용, 최중기 (지은이)
바다위의정원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10% 0원
2,500원
4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해양과학문화의 현재와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해양과학문화의 현재와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해양과학
· ISBN : 9791198197092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그간 쌓아온 해양 분야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해양연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각 해양의 미래, 해양과학과 기술, 해양자원, 해양환경, 해양영토·해양정책, 해양과 민족문화, 해양사, 해양법, 해양교육과 진로 편을 맡아 집필하였다.

목차

발간사
발간 취지문
축사

프롤로그
바다와 인간: 인간의 의지, 윤리와 겸허 _ 김우창

1 해양진출|원양어업 그리고 극지와 태평양 진출 _ 장순근

1. 원양어업
2. 극지 연구
3. 태평양 해양 연구
2 해양과학과 기술

2 해양과학과 기술|책으로 살펴본 한국의 해양과학 _ 김웅서

1. 조선의 해양과학 도서
2. 1900년대 초·중반해양과학도서
3. 1900년대 후반 해양과학 도서
4. 2000년대 해양과학 도서
5. 해양과학의 현재와 전망

3 해양자원|왜 자원의 보고인가, 해양자원의 세계 _ 강정극

1. 해양자원
2. 천해저광물자원
3. 심해저광물자원
4. 해양석유와 가스
5. 해양에너지자원

4 해양환경|한국 연안해역의 환경과 생태계 관리 _ 고철환

1. 환경과 생태계의 관계
2. 해양환경·생태계관리와해양수산발전기본법
3. 해양환경종합조사 및 해수수질, 퇴적물환경평가
4. 환경관리해역: 육역·해역의통합관리
5. 해양보호구역과 해양생태계
6. 해양환경 관리의 핵심은 ‘공간관리’

5 해양영토/해양정책|한국 해양정책의 연혁적 고찰 _ 권문상

1. 해양의 가치 변화와 갈등
2. 해양정책의 개념
3. 해양수산행정 조직의 변천 과정
4. 해양정책의 변천 과정

6 해양산업|해운·조선·물류, 항만산업의 성장 _ 정필수

1. 공급망시대
2. 해운산업의 현황과 전망
3. 조선산업의 현황과 전망
4. 물류산업의 현황
5. 항만산업의 현황과 전망
6. 해양대국의 꿈, 지구촌 해상물류 체제 완비

7 어업과 수산|한국의 어촌 문화와 어업의 미래 _ 장창익

1. 식량산업으로서 수산업과 어업
2. 해양어업의 역사
3. 어촌 생활사
4. 21세기의 해양어업
5. 해양어업의 미래

8 해양과 민족문화|한민족의 해양문화와 해양예술 _ 이형대

1. 해양과 한민족의 생활문화
2. 한민족의 해양신앙과 해양의례
3. 해양문학과 해양예술

9 해양사|한국 해양사의 전개와 전환 _ 강봉룡

1. 한국 해양사: 바다로 한국사 보기
2. 삼국시대: 태동기, 연안해로의 시대
3. 통일신라~고려시대: 융성기, 황해횡·사단해로및해양실크로드의시대
4. 조선시대: 전환기, 해금의 시대
5. 근현대의 해양 담론: 해양의식 고취 노력과 ‘신반도적성격론’ 제안
10 해양법|해양법의 역사 그리고 영역 _ 이석용

1. 갈등을 해결하는 역할, 해양법
2. 해양법의 흔적과 시작
3. 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바다
4. 국가의 경제적 관할권이 미치는 바다
5. 국가관할권 이원의 바다

11 해양교육과 진로|해양교육, 어디까지 왔나 _ 최중기

1. 해양교육
2. 해양진로
3. 우수 인력의 진입을 위한 모멘텀이 필요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웅서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에서 생물교육학과 해양학을 공부하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해양생태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바다에 오르다》 《북극에서 다산을 만나다》 《해양 생물》 《우리 바다 서해 이야기》 《플랑크톤도 궁금해하는 바다상식》 《도심 속 바다생물》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빙하기》 《바다는 희망이다》 《아름다운 바다》《난파선의 역사》 《미래 동물 대탐험》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석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하와이East-WestCenter객원연구원 예일대, 워싱턴대, 버클리대 Visiting Scholar 사법고시등각종시험위원 외교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등 자문위원 사단법인 해양법포럼 회장 한남대학교 법과대학장 대한국제법학회 회장 국제해양법학회 회장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장창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 명예교수 Fisheries Oceanography(SCI급) 편집위원 해양수산부장관 수산정책자문위원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미국 워싱턴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Ph.D.) KIST 해양연구소 선임연구원(해외유치과학자, 1988~1990)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연구교수(1991~1992) 한국해양연구소 책임연구원(응용생태연구실장, 1992~1993)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수산과학위원회 위원장(1997~1999) 대통령자문 농어업농어촌 특별대책위원(청와대, 2003~2004)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청와대, 2004~2006) 국제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CCSBT) 의장(2009~2010) 국제해양관리위원회(MSC) 기술자문이사(2005~2010) 주요 논저 -저서 수산자원생태학(우성문화사, 1991) 외 9권의 국내 저서 The Sea : Marine Ecosystem-Based Management(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외 7권의 국외 저서 -논문 생태계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지표와 기준점 연구(한국어업기술학회, 2010) 외 90여 편의 국내 논문 An IFRAME approach for assess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isheries(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2011) 외 50여 편의 국외 논문이 있음.
펼치기
장순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지질학을 공부한 장순근은 프랑스 보르도 I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5년 한국남극관측탐험대에 지질학자로 참가하면서 남극을 좋아해 남극에서 겨울을 네 번씩이나 보냈다. 대자연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그는 쇄빙선이 북극을 처녀 항해할 때에도 참가했고 적도태평양도 체험했다. 남극에서 글쓰기를 배운 그는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완역했다. 그 번역으로 한국일보사가 주는 한국출판문화상을 1994년에 받았다. 2009년에는 제10회 대한민국과학문화상을 받았다. 그는 청소년들을 위한 교양과학책을 아주 많이 썼으며 계속 집필하고 있다. <야! 가자, 남극으로>, <바다는 왜?>, <공룡알 화석의 비밀>, <우리 땅 바위와 화석>, <펭귄의 눈물>, <살아있는 화석물고기 실러캔스>는 그 일부이다.
펼치기
강봉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한국 해양사 연구에 매진하여 《장보고: 한국사의 미아 해상왕 장보고》 《바다에 새겨진 한국사》 등을 썼습니다.
펼치기
강정극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공부하였다. 프랑스 파리? 대학교에서 지질구조학 석사 후 과정을 거쳐 올레앙(Orleans) 대학교에서 광물자원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태평양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갈라파고스의 꿈』(공저) 『태평양 바다 속에 우리 땅이 있다고』(공저) 『Handbook of MARINE MINERAL DEPOSITS』(공저) 『심해저 자원개발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권문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7년 경희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법학석사(1979년)와 법학박사(1989년)를 취득했다. 1982년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국가해양정책분야와 해양법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해왔다.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정책연구센터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정책연구실장,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해양정책학과 주임교수와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초대원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에서 근무 중이며 국제 해양법 연차대회 조직위원장, 적도해양포럼 운영위원장, 한국해양정책학회의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정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종합물류연구원GLORI) 원장 (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부원장, 원장대행 (전) 대한민국 해군 자문위원
펼치기
김우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이형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바다와 인간: 인간의 의지, 윤리와 겸허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노(老)항해사의 노래(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는 바다, 항해 그리고 선박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도덕적 반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의 시에서 다루어진 항해 이야기는 도덕적 의의로 요약된다. 되풀이하건대, 이 가사(歌辭)의 요지는 항해에 대한 서사(叙事)가 아니라 그것에 깃들어 있는 도덕적 알레고리다.


원양어업 그리고 극지와 태평양 진출
우리나라는 두 방향으로 해양에 진출했다. 하나는 원양어업이며, 다른 하나는 극지와 태평양 진출이다. 원양어업 진출 목표가 경제성장이라면, 극지와 태평양 진출은 경제성장 외에도 과학연구가 주요 목표 가운데 하나였다.


책으로 살펴본 한국의 해양과학
우리나라에서 해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우리의 오랜 역사를 돌이켜볼 때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많은 사람이 한 번쯤 들어보았을 해양과학 관련서적이 발간된 시기도 200여 년 전부터다. 조선 후기인 1800년대 들어서 《우해이어보》, 《자산어보》, <전어지> 등 해양생물을 과학적으로 기술한 도서가 발간되기 시작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