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술/음료/차 > 술
· ISBN : 9788991292666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10-07-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전에·2
이 책을 읽는 방법·7
막걸리란 무엇인가
1. 막걸리의 정의·10
2. 막걸리의 역사·12
3. 막걸리 음용법·16
지역별 막걸리
서울·경기
가평 잣 막걸리·23 ┃강화 쑥 생 막걸리·24 ┃광주 경안 막걸리·25 ┃부자생술·26 ┃불곡산 막걸리·27 ┃산삼 가득 생 막걸리·28 ┃생 이동 쌀막걸리·29 ┃서울 생 막걸리·30 ┃서울 생장수 막걸리·31 ┃서울 장수 월매쌀막걸리·32 ┃수원 생 막걸리·33 ┃이천막걸리 송백·34 ┃지평 쌀 막걸리·35 ┃참살이 탁주·36 ┃톡 쏘는 맛 쌀 찹쌀 동동주·37 ┃통일 생 막걸리·38 ┃파주 쌀 막걸리·39 ┃포천 골드 쌀막걸리·40 ┃ 포천내촌 찹쌀 막걸리·41 ┃포천 일동 생 막걸리·42 ┃포천토속 찹쌀 생 동동주·43 ┃ 그곳, 그 막걸리·44
강원도
강릉 그린 생 동동주·47 ┃맑은 백세 막걸리·48 ┃삼척 순곡주·49 ┃ 설악 쌀 막걸리·50 ┃송정 동동주·51 ┃원주 치악산 생 쌀 막걸리·52 ┃정선 아우라지 옥수수 막걸리·53┃주문진 쌀 동동주·54 ┃춘천 생 막걸리·55 ┃한계령 동동주·56 ┃허생원 메밀꽃술·57 ┃홍천 팔봉산 생 동동주·58┃ 그곳, 그 막걸리·60
충청도
결성 막걸리·63 ┃고택 찹쌀 생주·64 ┃공주 알밤 막걸리·65 ┃덕산 생 쌀막걸리·66 ┃면천 샘물 생 막걸리·67 ┃생 옥천 탁주·68 ┃소백산 오곡 진상주·69 ┃속리산 대추 막걸리·70 ┃신선도 쌀 막걸리·71 ┃앙성 건강막걸리·72 ┃양촌 순수 생 막걸리·73 ┃예산 생 막걸리·74 ┃장연 인삼 막걸리·75 ┃종천 생 막걸리·76 ┃참새와 허수아비 쌀 막걸리·77┃천안 쌀 생 막걸리·78 ┃탁배기 검은콩 막걸리·79 ┃태안 생 소원·근흥 막걸리·80 ┃통큰 사람·81 ┃하얀연꽃 생 쌀막걸리·82 ┃햇탁·83 ┃현미 막걸리 월향·84 ┃ 그곳, 그 막걸리·86
전라도
개도 생 동동주·89 ┃나누우리·90 ┃남원 춘향골 생 막걸리 ·91 ┃내장산 더덕주·92 ┃노안 생 동동주·93 ┃대대포·94 ┃대마 할머니 생 한동주·95 ┃ 대잎 생 동동주·96 ┃마이산 생 쌀 막걸리·97 ┃무등산 쌀 생 막걸리·98 ┃ 산이 생 막걸리·99 ┃생 땅끝누리 고구마 막걸리·100 ┃솔잎 생 막걸리·101┃송명섭 생 막걸리·102 ┃울금주·103 ┃원광 생 막걸리·104 ┃의신 울금 생 막걸리·105 ┃전주 명가 생 막걸리·106 ┃진도 울금 막걸리·107 ┃천둥소리 우리쌀 막걸리·108 ┃함평 나비축제 막걸리·109┃ 그곳, 그 막걸리·110
경상도
가고파 생탁주·113 ┃금곡 생 막걸리·114 ┃누보 쌀 막걸리·115 ┃단촌 생 막걸리·116 ┃동백 생탁주·117 ┃두메산골 쌀 생탁주·118 ┃ 보배 용원 생 막걸리·119 ┃부산금정산 막걸리·120 ┃ 빙계(얼음골) 생 막걸리·121 ┃생탁 쌀 막걸리·122 ┃쌀 동동주 군항주·123 ┃아침이슬 쌀 막걸리·124 ┃울산 웅촌 생 탁주·125 ┃울산 태화루 쌀 동동주·126 ┃
진주 생 쌀 막걸리·127 ┃천지 생 막걸리·128 ┃춘산 햅쌀 생 막걸리·129 ┃ 칠보주·130 ┃포항 생 막걸리·131 ┃한사발 생 막걸리·132 ┃화개장터 막걸리·133 ┃회곡 순쌀 막걸리·134 ┃ 그곳, 그 막걸리·136
제주도
제주 감귤 막걸리·139 ┃제주 보리쌀 막걸리·140 ┃제주 좁쌀 막걸리·141 ┃ 그곳, 그 막걸리·142
부록
전국 막걸리 지도·144
막걸리 색인(가나다순)·15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만약 ‘노벨술상’이 있었다면 그 첫 번째 수상자는 아마도 막걸리가 되었을 것이다. 최고의 건강식품이자 최고의 청량음료이며, 살아 숨 쉬는 최고의 술이기에 막걸리가 1등을 차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막걸리가 값이 싸다고, 빨리 만들어진다고 그 제조법까지 쉬운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빨리 만들어지는 막걸리야말로 양조 과학의 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어디에 가서든 이 말을 진심으로 사람들에게 전하고 다닌다. 막걸리는 분명 우리에게 그만한 가치가 있으므로. 과거 우리 막걸리는 지금처럼 단순히 즐기기 위한 술이 아닌, 땀 흘려 일하고 난 후 시원한 청량감으로 노동의 힘겨움을 씻어주는 탄산음료였으며, 먹을 게 없던 시절에는 배고픔을 달래주는 건강음료였다.
맛 좋고 인심 좋은, 전라도 막걸리
전라도 지역은 특산품을 이용한 막걸리들이 유난히 많은 곳이다. 맛 좋은 음식이 많은 지역답게 막걸리 또한 다른 지역의 막걸리보다 맛이 좋다. 담양의 대나무나 진도의 울금 그리고 솔잎이나 자색고구마 등 지역의 특색이 살아 있는 맛 좋은 막걸리들을 만날 수 있는 전라도 지역, 소비자들에게 조금 더 손쉽게 다가갈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