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9130914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7-06-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역자서문
제1장 영어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
1. 영어 수업에서의 성공에 대한 인식
2. 영어 수업상의 목적과 목표 수립하기
3. 의사소통의 시작과 마무리
4. 영어 수업의 일반 모형
5. 학습 조건 만들기
제2장 새로운 언어 항목 제시하기
1. 영어 강좌에 있어서 새로운 항목
2. 새로운 기능-문법 항목 제시하기
3. 제시에서 쓰기의 위치
4. 제시에서 연습까지
제3장 언어 연습 조직하기
1. 정확성과 유창성 연습의 차이
2. 구두 정확성 연습
3. 구두 유창성 연습
4. 구두 연습에서의 피드백과 교정
5. 쓰기 연습
제4장 어휘 다루기
1. 언어 교수학습에 있어서 어휘
2. 새로운 어휘 다루기
3. 어휘에 관한 활동
제5장 구어 의사소통 기능 계발하기
1. 의사소통
2. 듣기
3. 말하기
제6장 문어 의사소통 기능 계발하기
1. 구어와 문어
2. 독해
3. 쓰기
4. 기능 통합하기
제7장 복습과 교정 활동
1. 복습과 교정 활동의 필요성
2. 언어 학습 과정
3. 복습 활동
4. 교정 활동
5. 개별화된 교정 활동
제8장 수업 계획과 관리
1. 장기적인 계획
2. 단기적인 계획
3. 수업 관리
4. 서로 다른 수업 상황
제9장 강의 교재 활용하기
1. 강의 교재 사용법
2. 강의 교재가 제공할 수 있는 것
3. 새로운 강의 교재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4. 강의 교재 활용하기
5. 강의 교재의 자료로 수업 계획하기
6. 강의 교재 선택하기
제10장 수업 보조 자료
1. 서로 다른 수업 상황
2. 칠판 사용하기
3. 준비된 시각 자료 설계하고 사용하기
4. 실제 물건과 가상의 물건
5. 오디오 카세트
6. 비디오
제11장 시험과 평가
1. 수업, 시험 및 평가
2. 시험의 기본적인 양상
3. 성취도 시험의 제작과 평가
4. 학습, 수업 및 강좌 평가하기
제12장 영어 교수 방법의 발전
1. 교사와 수업 방식
2. 접근법과 교수 방법
3. 접근법 및 교수 방법 개관
4. 현재의 발전
5. 교사의 발전
<용어 해설 Glossary>
<출처 및 심화 읽기 자료>
<색인 INDEX>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시만 해주거나 제시에 뒤이어 연습을 시킨다 해도 학습자가 그것을 학습하지 못한다는 점을 유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새로운 언어 항목에 대해 이러한 최초 초점 맞추기는 시작에 불과하며 학습자는 의사소통할 목적으로 그 언어를 계속 사용해야 합니다. 교사는 때때로 아주 기본적인 기능- 문법적 항목에 다시 초점을 맞추었다가 곧바로 중급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옮아가야 할 것입니다.-p66 중에서
수업 계획은 과마다 다양할 것이고, 교재를 사용하여 활동해본 경험이 축적되면서 계속 변하겠지만 교사는 처음의 일반적인 활동계획을 통해 보다 나은 출발을 할 수 있습니다.-p24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