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1324107
· 쪽수 : 473쪽
· 출판일 : 2005-08-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Chapter 1 희극적인 것.웃음.유머
희극적인 것(코믹)
웃음
유머(해학/골계)
Chapter 2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_ 수사학과 우스꽝스러움
'호머의 홍소'와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
무지의 우스꽝스러움 - 플라톤
무해한 실수와 결점 - 아리스토텔레스
무해한 규범의 일탈 - 키케로
Chapter 3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_ 육체의 명예 회복
성경에 기록된 웃음
1) 아브라함과 사라의 웃음
2) 하느님의 웃음과 인간의 웃음
민중의 웃음 - 카니발의 웃음, 물질적.육체적 웃음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의 웃음 - 라블레
Chatper 4 17세기_ 웃음의 우월이론 - 비웃음
'웃음의 우월이론' - 토머스 홉스
'웃음의 우월이론'의 논쟁
1) 아이들의 순수하고 끊임없는 웃음 - 포프
2) 선으로서 웃음과 악으로서 비웃음 - 스피노자
혈액순환과 호흡운동 그리고 근육운동으로서의 웃음 - 데카르트
Chapter 5 18세기 영국_ 웃음의 불일치이론 - 유머
18세기 영국의 웃음 - 청교도의 영향
웃음의 패러다임 변화 - 웃음에서 유머로
참된 유머와 그릇된 유머 - 애디슨과 허치슨
'웃음의 불일치이론' - 제임스 비티
Chapter 6 18세기 독일_ 이성의 위기와 웃음
미학과 실생활에서의 우스꽝스러움
웃음의 불합리성과 이성의 위기 - 칸트
어릿광대 하를레킨의 논쟁 - 고췌트, 레싱, 뫼저
독일에서의 '유머' 수용
Chatper 7 19세기 초반_ 객관적 웃음이론의 해체와 주관적 웃음이론
'주관적 웃음이론' - 장 파울
관념주의 미학자들의 관점 - 졸거, 쉬체, 보우터백, 바이세, 루게, 피셔
우스꽝스러운 것과 본연의 희극적인 것 - 헤겔
쇼펜하우어의 주지적 불일치이론과 19세기 초의 '아이러니'
Chapter 8 19세기 후반_ 웃음의 심연
개인적인 실재와 역사적인 실재 사이의 모순 - 맑스
웃음은 악마적이며, 따라서 심오하게 인간적이다 - 보들레르
기존의 가치와 규범체계를 전도시키는 웃음에 대한 견해 - 니체
심리학적 관점의 웃음이론 - 다윈, 스펜서, 맆스, 프로이트
Chapter 9 20세기_ 모범적인 웃음이론
메커니즘적인 경직성의 웃음 - 베르그송
규칙과 규칙위반 사이의 갈등 - 윙어
부정적인 것의 긍정화 - 리터
철학적.인류학적인 관점의 웃음과 울음 - 플레쓰너
Chapter 10 웃음의 미학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관념주의 철학과 낭만주의 미학은 희극적인 것의 이론을 사변과 형이상학적 세계 해석의 길로 가게 했다. 정신의 무한한 자유와 유한한 실존의 필연적인 제한성 사이의 모순은 파기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믹은 속박에서 벗어난 주관성으로 이해되었고, 주관적인 자유와 자의가 희극의 원칙이라고 주장되기도 했다. 사람들은 희극적인 것은 완전한 비극적인 것과 꼭 같이 고귀하고 고상한 것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피셔는 희극적인 것을 현상과 관념의 반대로서 보았다. 그에게 있어서 희극적인 것은 "관념에게 다리를 걸어 넘어뜨리게" 하며, 관념의 현상이 희롱하는 "장난"이다. - 본문 23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