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기타
· ISBN : 978899137338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8-11-27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건강, 원하면 이룰 수 있다 4
추천의 글 내몸 경영,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쟁력 6
시작하면서 왜 내몸 경영이어야 하는가? 8
프롤로그 내몸 경영, 지금 당장 시작하라 14
CHAPTER 1 내몸 환경 분석 -날카롭게 자신의 주변을 살펴라
·내몸 환경을 주시하라 24
·‘내몸 관점’이 바로 서야 건강하다 29
·그릇된 내몸 학습이 건강을 망친다 42
·평균수명보다 건강수명에 주목하라 49
·‘내몸 욕구’보다 ‘내몸 요구’에 충실하라 53
CHAPTER 2 내몸 경영 목표 -목표는 내 건강의 경쟁력이다
·질병 중심의 삶에서 건강 중심의 삶으로 전환하라 62
·목표만 세워도 반은 성공이다 69
·내몸 지표는 내몸 경영의 나침반이다 73
·내몸 경영의 로드맵, 건강지도를 그려라 82
·내몸 경영, 목표는 전성기 때의 나 90
·내몸 체질 개선, 난초병을 퇴치하라 98
CHAPTER 3 내몸 다운사이징 - 몸과 마음의 짐을 벗어 놓아라
·스트레스 다운사이징, 걱정을 버리고 긍정의 힘을 믿어라 110
·미루기 다운사이징, 지금 바로 시작하라 120
·비만 다운사이징, 체중감량보다 뱃살 줄이기에 도전하라 123
·위 다운사이징, 과식은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다 145
·마음 다운사이징, 소유와 집착이 내몸을 죽인다 151
·목표 다운사이징, 달성 가능한 나만의 목표를 세워라 154
CHAPTER 4 내몸 리스크 관리 - 내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여라
·내몸 리스크 관리, 극복 가능한 위험요소에 집중하라 160
·흡연 리스크 관리, 결심하면 어려운 일도 아니다 163
·음주 리스크 관리, 절주 통감하고 3개월 반주(半酒)를 실천하라 176
·중독 리스크 관리, 중독에서 벗어난 건강한 모습을 이미지화 하라 185
CHAPTER 5 내몸 성장 전략 - 내몸 투자로 잠재역량을 극대화한다
·우선 내몸에 귀를 기울여라 192
·내 시간과 수입의 10%를 내몸에 투자하라 195
·휴식으로 내몸 투자의 효율을 높여라 198
·내몸 성장을 방해하는 성격을 바꿔라 206
·내몸 증상별 리모델링을 실시하라 211
·내몸 성장을 위한 식사법을 실천하라 216
CHAPTER 6 내몸 핵심역량 강화 - 운동량을 늘려 내몸의 활력을 높인다
·일상생활을 운동화하라 226
·운동, 최소한 일주일 3회, 30분은 하라 233
·아침 스트레칭, 생활과 운동을 합치시키는 힘 237
·핵심역량을 강화시키는 동력 1 - 조기검진, 질병을 예견하고 대비한다 241
·핵심역량을 강화시키는 동력 2 - 예방접종, 평생접종으로 개념을 바꾼다 245
·핵심역량을 강화시키는 동력 3 - 부위별 내몸 강화로 경쟁력을 높인다 248
CHAPTER 7 내몸 마케팅 - 멋진 내몸을 알려라
·변화된 내몸을 어떻게 즐기고 공유할 것인가? 268
·‘내몸 카니발’에 돌입하라 271
·내몸 학습, 성과를 공유하고 끊임없이 공부하라 274
·내몸 지원군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라 278
CHAPTER 8 내몸 성공 이야기 - 내몸 리폼, 6개월이 관건이다
·내몸 리폼은 내몸 경영의 초석이다 286
·내몸과 마음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라 291
·내몸 경영, 확실한 차이를 만들어라 293
·끊임없이 개선해 나가야 한다 296
·사례 연구 1
내몸을 바꾼 사람들- 미래에 대한 꿈으로 현재를 극복한 이윤택 씨
·사례 연구2
내몸을 바꾼 사람들- 내몸을 바꾸고 가족과 자신의 행복을 찾은 김빛나 씨
에필로그 내몸 경영 바이러스를 전파하라 311
부록 _ 내몸 경영 노트
건강한 삶으로 나를 바꾸는 실천 프로그램 315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건강에 관련된 지표 중 일부는 수치로 나타난다. 대표적인 것들이 만성질환에 대한 지표들인데 아직도 발병 후 모니터링용으로 사용하는 정도에 그치는 실정이다. 정기적인 체크가 필요해지는 연령에 이르고부터, 가족력이나 위험 징후가 포착되는 경우, 질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꾸준히 건강지표들을 관리해야 한다.
그리고 만약 자신의 수치가 정상이 아닐 경우에는 안일하게 대처하거나 대증약물로 쉽게 해결하려 해서는 안 된다. 앞서 강조했듯 수치변화를 초래한 원인을 발견하여 그 뿌리부터 해결하는 근본주의가 필요하다. '목표만 세워도 반은 성공이다'중에서
그렇다면 내몸 경영의 목표는 무엇일까? 내몸의 완성이기도 한 내몸 성공이란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전성기의 나로 돌아가는 것이다. 남들만큼만 하겠다고 계획해서는 건강수명 100세 시대의 기나긴 여정을 헤쳐 나갈 수 없다. 몸의 전성기가 지나 몸의 기능이 떨어지는 40세 이후에는 오히려 좀 더 공격적으로 최전성기 내몸을 목표로 삼아 이를 이루려는 전략과 투지가 요청된다. 강하게 밀려드는 노화현상을 제어하고 막기 위해서는 모든 싸움에서처럼 내몸 경영에서도 공격이 최선의 방어가 된다. '내몸 경영, 목표는 전성기 때의 나' 중에서
펀드투자와 내몸 투자는 결정적 차이가 있다. 펀드투자는 불확실성을 갖고 있다. 본인의 투자능력과 무관하게 경제 환경이나 여러 변수들에 의해 예상과 다른 결과를 얻는 경우가 왕왕 있다.
반면 내몸 투자에는 불확실성이 없다. 노력한 만큼 비례해 성과를 거둔다. 물론 불의의 사고나 질병의 위험이 있지만 이것 역시 내몸 경영을 계획적으로 한 사람들에게서는 그 확률이 현격히 줄어든다.
만약 나에게 둘 중에 하나를 고르라는 우문을 받는다면 내몸 투자가 먼저라고 대답하겠다. 내몸 펀드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투자원칙은 의외로 간단하다. 내 인생의 10%는 반드시 내몸에 맡기는 것이다. 자기 수입의 10%와 자기 시간의 10%, 자기 에너지의 10%는 온전히 내몸을 위해 투자하는 것이다. 사실 많다면 많다고 할 만한 투자지출이지만 내몸 성공이라는 절대 과제에 투자하는 액수치곤 너무 작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지 10%만의 투자라도 인생 전체를 빛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내몸 투자의 특징이다.
'내 시간과 수입의 10%를 내몸에 투자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