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9143548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5-01-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모든 성공의 시작은 작은 관찰에서 시작되었다
Chapter 1 관찰의 메커니즘
보지 말고 관찰하라
전체와 부분을 함께 보라
정확한 의도와 주의력이 필요하다
친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보기
3년 후 미래는 어떻게 달라질까?
반복하면서 미세한 차이를 발견하라
Chapter 2 체화된 문제 해결 사고
창의력을 생산성으로 연결시켜라
Why? What? How? 끊임없이 질문하라
아이디어를 섞으면 더 강해진다
아이디어는 낡은 요소들의 새로운 집합이다
문제를 푸는 해결 원리
Chapter 3 킹핀을 찾아라
고정관념은 망하는 지름길이다
두뇌가동률을 높여라
고민의 강도가 셀수록 핵심이 잘 보인다
가용지식을 재조직하라
이기고 시작하라
Chapter4 본질을 밝혀내는 통찰력
역발상으로 차별화하라
팔지 말고 사게 하라
문제를 미리 발견해서 조치하라
제대로 된 질문을 하라
고객보다 유능한 마케터는 없다
Chapter5 성취의 맥을 잡는 법
상식파괴자가 되라
엉뚱한 발상과 황당한 재미가 만났을 때
어떻게 결핍을 발견할 것인가
지금 서 있는 길을 새롭게 보라
Chapter6 문제 해결 중심의 조직운용법
집단 창의성의 힘을 이용하라
경쟁자의 정의부터 다시 내려라
꿈과 감성을 판매하라
남들이 시도하지 않은 일을 하라
현장을 한 번 더 찾아가라
속도전략으로 앞서 나가라
Chapter7 관찰하고 분석하는 지독한 시스템
바나나는 하얀색이다
혁신은 자기부정으로 완성된다
직감보다는 사실과 데이터가 중요하다
관찰, 세부를 알아차리는 힘
에필로그 하루에 하나씩 아이디어를 기록하라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는 평범하기 때문에 놀라운 발견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찾을 수 있는 놀라운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평범해진다.
- ‘보지말고 관찰하라’ 중에서
아이폰, 딤채, 퀴담처럼 시장을 선도하는 창조적 상품은 천재의 머리에서 어느 날 갑자기 떠오른 것이 아니다. 사물이나 현황을 관찰하여 한두 개의 특성으로 단순화하고, 숨겨진 패턴을 발견하고, 문제의 원인을 추적하고 본질을 구체화하며, 도구를 활용하여 본질을 확인하고, 현실에 맞는 대안을 만들어내고, 지식과 경험의 통합으로 해결책을 찾는 등 여섯 단계의 과정을 거쳐 탄생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창조적 사고의 6단계’이다.
- ‘창조적 사고의 6단계’ 중에서
세계적인 디자인기업 아이데오는 소비자의 감춰진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하는 모습이나 가정에서 상품을 이용하는 모습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기록한다. 그 다음 전문가들이 모여 그 관찰 결과를 놓고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신상품 아이디어를 도출해내곤 한다.
ABC 방송의 요청으로 5일 만에 멋없고 쓰기 불편했던 쇼핑카트를 하나의 작품으로 승화시킨 사례도 소비자들을 연구한 실증자료를 기초로 여러 분야 간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아이데오 직원들은 소비자들이 쇼핑카트를 가지고 쇼핑을 할 때 무엇을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지 다각도로 관찰하고 설문 조사했다.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것은 계산대 위에서 물건들을 분류해 봉투에 담아야 하는 것이었다. 아이데오는 소비자보다 유능한 마케터는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고객들이 쇼핑을 하면서 물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바구니에 집어넣을 수 있는 쇼핑카트를 세련되게 디자인하여 만들었다. 이 쇼핑카트가 출시된 후 고객들은 계산대에서 예전보다 빨리 계산을 마치고 물건을 싸서 나올 수 있게 되었다.
미국의 식품회사 제너럴 밀이 한 직원의 아이디어로 스푼 없이 짜 먹는 요구르트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도 고객을 면밀히 관찰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 직원은 요구르트의 주 고객 중 하나인 어린이들을 관찰했다. 아이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노는 것이었다. 예컨대, 운동장에서 놀 때에도 뛰어 노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한 손에 음료수를 들고 마시면서 놀았다. 뚜껑을 따고 스푼으로 떠먹는 기존의 요구르트 제품은 어린이들이 놀면서 먹을 수 없다는 것을 안 그는 ‘한 손에 쥐고 먹을 수 있는 요구르트’를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냈다.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제너럴 밀은 포장 기법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아이들이 스푼 없이 먹을 수 있는 튜브 형식의 요구르트를 출시했고 미국 시장에서 히트 상품이 되었다.
- ‘고객보다 유능한 마케터는 없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