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택상 색, 채의 건축술

김택상 색, 채의 건축술

김택상, 김원식, 홍가이 (지은이)
수류산방.중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택상 색, 채의 건축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택상 색, 채의 건축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91555808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0-05-25

책 소개

단색화 전통을 새롭게 잇는 대표 화가 김택상의 작품집이다. 2020년 1월 서울 리안 갤러리에서 열렸던 개인전 '색과 빛 사이에서'의 발표작을 중심으로 작업실 풍경과 제작 과정, 2019년 웅갤러리 개관전 '담색물성' 출품작 등 근작을 밀도 깊게 소개했다.

목차

01 Detail Images of KIM Taek Sang’s Works
02 《Between Color and Light》 KIM Taek Sang Exhibition [Leeahn Gallery Seoul]

03 _기술과 시의 축조물 : 김택상, 회화적 건축가 [김원식] [빛과 색 : 색채의 공간성과 장소성] Architectonics of Light, and Color [KIM Wonsik] Spatiality and Placeness of Color and Light

04 Time Lapse Images of Work : <Breathing Light?Air 2>
05 _Time Lapse Images of Work : part of <Breathing Light?Air 2>

06 색과 빛 사이에서 : 시간성의 회화 [성신영] Between Color and Light : Visualization of Temporality [SUNG Shinyoung]

07 Works of 《Between Color and Light》 [Leeahn Gallery Seoul]
_08 《Damsaekmulsung》 Group Exhibition [Gallery Woong, Seoul]

09 김택상 : 빛의 길이, 색의 지속 [최재혁] Length of Light, Continuity of Color [CHOI Jaehyuk]

10 Scenes at KIM Taek Sang’s Atelier [Ilsan, Korea]
_11 Time Lapse Images of Work : <Breathing Light?Emerald Gray>
12 Time Lapse Images of Work : part of <Breathing Light?Pink 2019-1>

13 김택상, 빛의 화가 [홍가이] [예술은, 내가 좋아하는 이에게 이걸 봐! 재미있지? 어때? 하고 말을 건네는 것] Meister-Painter of Light, Kim Taek Sang [Kai Hong] Possibility of Daamhwa

14 Time Lapse Images of Work : part of <Breathing Light?Deep Wine>
15 Detail Images of KIM Taek Sang’s Atelier

저자소개

홍가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청소년기 한국을 떠나 1960년대의 반월남전 운동, 히피운동, Youth Culture운동 등의 미국사회의 격변기를 온몸으로 부딪치며 대학과 대학원을 다녔다. 물리학에서 철학으로 인지과학에서 융·복합 인문학으로의 학문적 여정도 그런 자신의 정체성 찾기의 고뇌와 무관하지 않다. 서구문명이 내재적으로 안고 있는 허무주의에 대한 논문을 20대에 박사논문으로 쓰고 나서도, 자신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여정은 환갑이 넘어서도 계속되어, 북미와 유럽을 오가면서 미국의 프린스튼, MIT, 와그너, 멜릴란드대학 유럽분교, 영국의 캠브리지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한국에서는 이화여대, 연대정보통신전문대학원, 서울대 미학과, 서울예술대학, 부산의 경성대학과 동서대학 등지에서 교환, 객원교수 또는 해외초빙교수로 강의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재직했다. 한국에서는 공간잡지와 객석에 칼럼양식의 예술, 문화, 연극, 영화, 무용, 미술에 관련된 비평을 연재한 것이 책으로 묶어져서 나왔다. 정치적 행위의 일환으로서의 희곡쓰기도 하여, 여러 편의 희곡작품이 한국, 영국, 미국, 헝가리, 독일 등지에서 공연되었다. [희곡집] <I AM A HIBAKUSHA> (원작.영어 대본, 동경국제연극센터 출판, 1984년, 1985년 국립극장에서 당시 허 규 극장장의 배려로 당시 연우무대 연출가 김석만 교수에 의해 한글로 번역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이윤택, 홍유진, 제씨에 의해 연출·제작되었고, 수많은 대학에서 학생극으로 제작되었다. KBS에서는 1989년 “영주의 증명”이란 제목으로 8.15특집 2부작으로 당시 이유황 PD에 의해 제작되었다. 국제적 프레미어는 1984년 에딘버러 연극축제에서 캠브리지의 멈머서 극단에 의해서 제작·공연. (1984년1월 한 달 동안 영국 캠브리지대학 영문학부에서 워크숍으로 진행 되었던 공연으로 그해 여름 에딘버러 축제에 참가하였다.) <The Unappeaseds: Plight of Korean Comfort Women during Japanese Occupation> (영어 원작으로 역시 김석만 연출가에 의해 국립극장에서 의뢰하여 한글로 번역된바 있다. 1986년2월 영국의 캠브리지대학 영문학부의 학생들에 의해 무대에 올려졌다. 연출은 당시 캠브리지대학 처칠칼레지의 팀 크립 교수가 맡았다. 한국에서는 이화여대 영문학과 영어원어 연극제작으로 1990년 공연되었고, 계원예대의 공간연출학과에서도 이 강 교수의 연출로 1997년과 2000년에 공연된 바 있다.) <Nostoi: Children of Prometheus 4부작> (회귀: 불의 아해들) 공간사에서 1988년 출간 [평론집] <현대미술비평과 세계문화> 미진사 (절판되었음) <세계문화비평>, 예음사 출판 (절판되었음) [출판 준비되고 있는 책들] ● 소설 <운명: 히바쿠샤 소설> (브레히트가 희곡 “Three Penny Opera”를 <3페니 소설>로 재해석·번역·창작했듯이, 먼저 희곡으로 썼던 “히바쿠샤”를 소설화 시킨 것이다. 영화대본으로 각색한 것도 신종 문학 장르로 간주하여 따로 발간할 것이다. 1997년 예음사에서 출판예정이었으나, 1997년말 IMF때 회사가 부도나면서, 중단되었던 것. ● <한 동양 청년의 긴 내면을 향한 정체성 탐구의 여정> ● <니진스키 소설> 세계정신문화사로서의 장편소설; 니진스키 영화 대본의 소설적 새 해석 ● 테크놀로지의 정치경제철학; ● 정치경제학의 신학: 우상 숭배교로서의 신자유주의 시장경제 자본주의 (Carl Schmitt의 Political Theology와 Walter Benjamin의 Capitalism as Religion의 21세기적 맥락에서의 재해석) ● 카테콘적 역사학적 접근으로서의 현대허무주의(Katechontic Historiography of Contemporary Nihilism)<Pacific Jerusalem> (태평양변의 예루살렘: 인류의 집단적 운명이 LA에서 결정나다) ● <Pacific Jerusalem> (태평양변의 예루살렘: 인류의 집단적 운명이 LA에서 결정나다) ● <Vaslav Nijinsky: A Philosophical Portrait of an Artist> (1973년 이태리 우르비노의 국제언어학과 기호학 연구소에 유학할 때 우르비노 출신인 Pier Paolo Pasolini의 St. Paul: A Screenplay을 영향을 받아 시작하여 몇 년 후 뉴욕에서 완성한 작품이다.)
펼치기
김택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나 강원도 원주의 산골 마을에서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보냈다. 중앙대 회화과에 진학했고 홍익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젊은 시절에는 예술의 사회적 소통을 치열하게 고민한 바 있는데, 2006년 부산 비엔날레 ‘바다 미술제’에서 류병학 전시 감독과 함께 벌인 '해운대 도로 프로젝트'도 그 고민의 충돌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작가로서 자신만의 고유한 소통 방식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1990년대 중반 어린 시절 기억 속에 남아 있던, 그리고 한국인의 서정적 심상과 통하는 자연의 빛과 색을 새로이 발견한다. ‘포스트 단색화’ 또는 ‘단색화 1.5세대’라는 평단의 분류에 안주하지 않고, 기존 단색화 담론을 넘어서는 더 투명한 미의식의 세계를 자신의 작품과 독특한 방법론을 통해 모색하고 있다. 김택상은 2000년대 들어 ‘숨 빛(Breathing Light)’또는 ‘담화(淡畵)’ 등으로 명명되는 연작을 국내외 화랑에서 꾸준히 선보여 왔다. 새로운 담론은 물론 관조적 명상으로 이끄는 그의 작품은 일본, 아트바젤 홍콩을 비롯한 서구 미술 시장에서도 호응을 얻어 왔다. 카이스갤러리 전속 작가로 활동한 바 있으며, 2019년 리안갤러리 전속 작가로 계약했다. 1991년부터 청주대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했고, 2020년부터 일산의 작업실에서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화면은 자연적 충적토[沖積土, 유수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된 흙]에 의한 지형도에 비교할 만하며, 지질 구조적이라거나 축조적 의미에서 ‘텍토닉[tectonic]’ 성격을 지닌 작품이 된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작품의 요지는 묘사하고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구축되고 축조되는 것으로 옮겨진다. 뿐만 아니라 앞에서도 한 차례 언급했듯 텍토닉의 어원인 테크네[techne, 術]는 단순히 무엇인가 생산하거나 행하는 기술의 의미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적 상태로의 숭고화를 의미함은 그의 작품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의미심장하다. 그의 색채면, 즉 얇은 켜는 겹쳐짐으로써 다중의 지층을 이루어 입체적인 축조물이 되었다. 동시에 기술적이며 시적인 응고물이 되었다.” - 김원식


“우주와의 연결성을 발견한다는 것은 대단히 거대한 각성일 필요도 없다, 그저 아주 흔한 하나의 조약돌이 강가에서 우연히 발끝에 차였는데 갑자기 그 조약돌을 눈여겨보게 되면서 새로운 무엇을 느끼게 되었다면, 이를테면 자기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또는 먼 옛날의 기억이 떠오르면서 잊었던 어떤 인연이 회상되었다든지 하는, 의외의 환희와 놀라움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다. 이런 예상치 않았던 순간적인 발견으로 오는 기쁨은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해 끙끙거린 결과로 오는 것도 아니고, 어떤 책에서 배운 공식에 대입해서 오는 것도 아니고, 어떤 결과를 내려는 목적을 위한 행위의 결과로서 오는 것도 아니다. 뜻밖에도 보잘것없는 (강변 모래사장의 조약돌 같은) 주변의 어떤 것과의 만남 속에서 나오는 것으로, 가장 순수한 차원에서 조그만 깨달음이 온 결과일 뿐이다. 그리고 그런 순수하고 조그마한 즐거움 또는 놀라운 환희를 내가 좋아하는 또 배려해 주고 싶은 주변의 다른 사람이나 누구한테 ‘이걸 봐! 재미있지? 어때?’라고 하듯 가장 인간적으로 말을 거는 것, 이것이 바로 예술이다.” - 홍가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